$\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미디어 콘텐츠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이미지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Images of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Demonstration Represented in New Media Contents: Focusing on Simulacra and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1, 2020년, pp.13 - 28  

신세인 (충북대학교) ,  하민수 (강원대학교) ,  이준기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표적인 뉴미디어 매체인 유튜브 상에서 재현되고 소비되는 과학 실험의 이미지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이미지의 강력한 지위와 가상과 실재의 경계의 모호함에 대해 논의한 보드리야르시뮬라시옹시뮬라크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유튜브의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 영상 사례를 분석했다. 총 14편의 국내외 과산화 수소 분해 실험 관련 유튜브 영상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뉴미디어 매체 속에서 과산화 수소 분해실험은 전형적으로 과학적 실험을 의미하는 기호들과 함께 재현되고 있었으나, 가장 핵심적인 기호는 실험을 통해 생성되는 거품이었다. 콘텐츠의 더 많은 소비 촉진을 위하여 유튜브 속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거품은 더욱 자극적인 '초거대한 거품 폭발'의 이미지로 변화되어갔다. 뿐만 아니라 유튜브의 댓글을 통해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을 수행하는 교실에서도 이 거대한 거품의 이미지는 실재보다 더 실재같은 시뮬라크르이며, 실제 실험의 수행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시뮬라시옹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며 수많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뉴미디어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뉴미디어 속 과학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친밀함과 접근성을 높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즉각적이고 표면적 이미지만을 주로 다루는 뉴미디어의 특성으로 인해 과학실험의 목적이 '스펙터클 이미지의 생성'으로만 고착될 위험성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는 뉴미디어의 특성과 한계를 이해를 토대로 그 속에서 재현되고 굳어지는 과학 관련 이미지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학 미디어리터러시가 요구됨을 주장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of scientific experiments represented and consumed on YouTube, a representative of today's new media.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case studies of YouTube's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 based on Baudrillard's th...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에서 이미지의 강력한 지위와 가상과 실재의 경계의 모호함에 대해 논의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과 시뮬라크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유튜브의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 영상 사례를 분석 한 결과는? 총 14편의 국내외 과산화 수소 분해 실험 관련 유튜브 영상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뉴미디어 매체 속에서 과산화 수소 분해실험은 전형적으로 과학적 실험을 의미하는 기호들과 함께 재현되고 있었으나, 가장 핵심적인 기호는 실험을 통해 생성되는 거품이었다. 콘텐츠의 더 많은 소비 촉진을 위하여 유튜브 속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거품은 더욱 자극적인 '초거대한 거품 폭발'의 이미지로 변화되어갔다. 뿐만 아니라 유튜브의 댓글을 통해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을 수행하는 교실에서도 이 거대한 거품의 이미지는 실재보다 더 실재같은 시뮬라크르이며, 실제 실험의 수행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시뮬라시옹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며 수많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뉴미디어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뉴미디어 속 과학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친밀함과 접근성을 높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즉각적이고 표면적 이미지만을 주로 다루는 뉴미디어의 특성으로 인해 과학실험의 목적이 '스펙터클 이미지의 생성'으로만 고착될 위험성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는 뉴미디어의 특성과 한계를 이해를 토대로 그 속에서 재현되고 굳어지는 과학 관련 이미지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학 미디어리터러시가 요구됨을 주장했다.
포스트모던 소비사회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포스트모던 소비사회는 소비재와 상품의 생산이 중심이었던 모더니즘 사회와는 달리 기호를 생산한다는데 그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런 사회에서는 실재보다는 이미지와 가치를 소비하고 교환하게 되며, 특정 대상의 실재의 본질이나 심지어는 실재의 존재 유무는 더이상 중요하지 않게 된다.
뉴미디어란 무엇인가? 뉴미디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뉴미디어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올드 미디어(old media)와 달리 소셜 미디어를(social media) 포함한 인터넷 미디어나 디지털 미디어를 의미한다. 뉴미디어는 최근 우리 삶 곳곳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며, 소위 뉴미디어의 시대를 이끌고 있다(Doh, 2018; Paek, 2018; Lee & Kim,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Bae, Y. J., & Kim, M. J. (2012). Research on expressing femme fatale characters according to Baudrillard symbol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10(2), 389-397. 

  2. Barrett, D. (2010). Supernormal stimuli: How primal urges overran their evolutionary purpose. New York, NY: W. W. Norton. 

  3. Baudrillard, J. (1981). Simulacres et simulation. Paris: Galilee. 

  4. Bertucci, P. (2006). Back from wonderland: Jean Antoine Nollet's Italian tour (1749). In L. Evans, A. Marr (eds.), Curiosity and wonder from the renaissance to the enlightenment, Aldeshot: Ashgate, pp. 193-211. 

  5. Byun, T. (2017). A literature review on media-based learning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3), 417-427. 

  6. Cho, C. M, (2013) Images of alchemy and science in popular ar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3), 267-293. 

  7. Conklin Jr. A. R., & Kessinger, A. (1996). Demonstration of the catalytic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3(9), 838. 

  8. Darly, A. (2000). Visual digital culture: Surface play and spectacle in new media genre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9. Debord, G. (1967).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London: Rebel Press. 

  10. Doh, S. J. (2018).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new media research in Korea during 20 years (1997-2016):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1(1), 36-63. 

  11. Flusser, V. (1999). Towards a philosophy of photography (Yoon, J. S., Trans.). Seoul: Communication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12. Hacking, I. (1983). The representing and intervening: Introductory topics in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Han, J. A. (2016). The notion and forms of pataphor in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desig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0), 399-406. 

  14. Harrison, T., & Wajrak, M. (2016). Chemical demonstrations: exciting students about chemistry and helping them to understand chemical concepts. Australia: Cengage Learning (Australia). 

  15. Ho, Y. J., & Kim, J. Y. (2009). Simulation as an apartment advertising research.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31(0), 28-36. 

  16. Holmes, R. (2010). The age of wonder: The romantic generation and the discovery of the beauty and terror of science. New York, NY: Harper Collins. 

  17. Jang, K. H. (2018). A study on meaning of '-chung' combined coinage.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42, 89-115. 

  18. Jyun, H. Y., & Hong, H. G. (2010). Students' perceptions on chemistry I class using YouTube video clip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4(4), 465-470. 

  19. Kang, S. (2015). A historical study on image researches in advertising and a new direction for oncoming studi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6(2), 393-419. 

  20. Kim, D. (2016). A study on the sublime aesthetics in advertisem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4, 109-121. 

  21. Kim, G. M., Seo, J. W., & Jeon, J. H. (2018). A study on the harmfulness of video viewing as leisure activity - Recommendation algorithm on YouTube about off-topic content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0(11), 171-183. 

  22. Kim, M. S. (2015). Namsangol Hanok village: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culture as images.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6, 41-69. 

  23. Kim, S. (2019). The acceleration of post-literal illiteracy and the deterioration of symbolic capital - About the strengthening of YouTube's control -. The Journal of Image and Cultural Contents, 16, 91-117. 

  24. Kim, S. D., & Lee, Y. H. (2009). Change of cognitive process according to daliylization of video contents. Future Research based on Digital Convergence (I) series 09-03. Korean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5. Kim, Y. G., & Yoo, M. S. (2019). Discourse analysis on Momchoong calling: Based on analysis of articles. Global Creative Leader, 9(1), 43-63. 

  26. KOFAC (2019). Science culture data book. Seoul: Korea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7. Koltay, T. (2011). The media and the literacies: Media literacy, information 

  28. Korpan, C. A., Bisanz, G. L., Bisanz. J., & Henderson, J. M. (1997). Assessing literacy in science: Evaluation of scientific news briefs. Science Education, 81(5), 515-532. 

  29. Lachapelle, S. (2015). Conjuring science: A history of scientific entertainment and stage magic in modern France. London, UK: Palgrave Macmillan. 

  30. Lee, C. H. (1994). Jean Baudrillard's theory of postmodern semio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31, 23-39. 

  31. Lee, J. H., & Kim, S. K. (2013). The impact of new media properties to self-efficacy and market platform attractivenes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4), 315-338. 

  32. Lee, J. K., Shin, S., & Ha, M. (2015). Comparing the structur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experiment' in science and bi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997-1006. 

  33. Lee, S. (2002). Two roles of experiment: Fact acquisition and theory testing. Cheolhak, 72, 273-294. 

  34. Lee, S. (2009). Phenomena and instruments. Hanul Academy: Seoul. 

  35. Lee, S. H. (2018). Interpassivity of personal webcasting media epoch. Journal of East Asian Cultures, 73(0), 11-27. literacy, digital literacy. Media, Culture & Society, 33(2), 211-221. 

  36. Macluhan, M (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Cambridge, MA: The MIT Press. 

  37. Min, B. W. (1993). Peirce's pragmatic semiotics. The Journal of Human Studies, 4, 117-138. 

  38. Ministry of Education (2019). Elementary school textbook science 6-1. Teacher's Edition. 

  39. Mun, D. K. (2009). A new cultural order: A study on the order of simulation. Journal of Pan-Korean Philosophical Society, 55, 451-472. 

  40. Nadis, R. (2005). Wonder shows: Performing science, magic, and religion in America. Rutgers University Press: New Brunswick, NJ. 

  41. Paek, H. J. (2018). How new media platform affects the relationships among risk characteristics, risk perceptions,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A test of conditional process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2(3), 215-245. 

  42. Parent, A. (2004). Giovanni Aldini: From animal electricity to human brain stimulation. The Canad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 31, 576-584. 

  43. Park, J. H., & Lee, Y. J. (2019). A study on mobile video usage of generation Z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Focused on YouTube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7, 312-327. 

  44. Park, T. W. (2006). Plato's realism, the reality is whether the by-product of idea, or the source of simulacrum? Philosophy and Culture, 12, 63-85. 

  45. Park, T. W. (2007). Domination of spectacle and self-alienation of human beings.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33(0), 191-224. 

  46. Ryu, R. Y., Kim, D. J., Hwang, H. S., Park, S. Y., Lee, S. K., & Park, K. T. (2011). Analysis of experiments for the rules of material change unit in 9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s applying small-scale chemistry.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5(3), 529-540. 

  47. Schaffer, S. (1983). Natural philosophy and public spectacle in the eighteenth century. History of Science, 21(1), 1-43. 

  48. Schwartz, V. R.(1997) Spectacular realities: Early mass culture in Fin-de-Siecle Pari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Shakhashiri, B. Z. (1983). Chemical demonstrations: A handbook for teachers of chemist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WS. 

  50. Shin, Y. J., Jin, M. S., Han, M. J., Lee, K. Y., Jeong, E. Y., Kang, J. C., Kang, S. J., Son, J. W., Bae, Y. H., Lee, B., Lim, H. Y., & Ha, E. S., (2013). Textbook of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Cheonjae Textbook. 

  51. Stephens, E. (2015). "Dead eyes open": The role of experiments in Galvanic reanimation in nineteenth-century popular culture. Leonardo, 48(3), 276-277. 

  52. Tsai, P. Y., Chang, C. S., Chang, H. P., & Chang, W. H. (2013). Effects of prompting critical reading of science news on seventh graders' cognitive achie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8(1), 85-107. 

  53. Wiseapp and Wiseretail (2020.01.09.). General trends for 1020 is Youtube, 3040 use together Youtube, Kakotalk, and Naver. Retrieved from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4885991&memberNo32291422 

  54. WISLscifun (2012. 3. 13). Prof. Shakhashiri and the "Elephant's Toothpaste" Demonstration, 2010 [Video file]. Retrieved from https://youtu.be/mkH_FrWDfAY 

  55. Yoo, E. H. & Kim, H. (2019). Displaying of women's exercising body through image-based-SN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8(3), 51-66. 

  56. Yoon, M. H. (2009). Spectacle and flaneur in digital space. Discourse 201, 12(2), 107-135. 

  57. Zimmerman, C., Bisanz, G. L., Bisanz, J., Klein, J. S., & Klein, P. (2001). Science at the supermarket: A comparison of what appears in the popular press, experts' advice to readers, and what students want to know.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0(1), 37-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