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수준과 결정요인 - 영구임대주택과 다가구 매입임대주택 비교연구 -
Determinants of Housing Cost Burde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in Seou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urchased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Housing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4, 2020년, pp.25 - 42  

강승엽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전희정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의 영구임대 주택과 다가구 매입 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 수준의 차이와 주거비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SH주택공사에서 실시한 2017년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2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t검정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영구임대주택의 주거비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구임대주택의 경우 소득과 나이 그리고 주거급여 수급이 요인이, 다가구 매입임대주택의 경우 소득과 주택면적이 주거비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는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통한 주거복지정책의 실행 시 주거비부담능력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주거비 부담수준을 완화하기 위하여 공공임대주택 유형별로 차별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housing cost burden and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 cost burden between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purchased rental housing residents in Seoul. We used the 2017 SH Public Housing Resident Survey and employ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43)

  1. 국토교통부, 2003, 대도시 내 소규모 공공임대주택 확보방안. 

  2. 국토교통부, 2019, 주택보급률. 

  3. 노경섭, 2016,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서울: 한빛아카데미. 

  4. 서울연구원, 2015, 서울 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보고서, 서울: 서울연구원. 

  5. 통계청, 2017, 한국의 사회 동향. 

  6. 곽인숙.김순미, 1999, 임차가구의 주거비용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2), pp. 127-144. 

  7. 김안나, 2007,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 이론, 32, pp.227-256. 

  8. 김준형, 2019, RIR은 국내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을 측정할 수 있는가?, 국토계획, 54(4), pp.94-108. 

  9. 김동원.배민경.박승훈, 2016, 수도권과 광역권의 청년 임차가구 주거비 부담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8(2), pp.210-215. 

  10. 김혜승.홍형옥, 2003, 저소득층의 주거비지불능력을 고려한 주거비보조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85-102. 

  11. 권건우.진창하, 2016, 생애주기별 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4, pp.49-69. 

  12. 권연화.최열, 2015, 노년층의 가구구성 및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4), pp.977-986. 

  13. 권대철.고진수, 2010, 입주자 주거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공공임대주택과 매입공공임대주택정책 비교 연구, 국토계획, 45(4), pp.43-55. 

  14. 남원석, 2011, 일본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능력 변화와 정책적 함의,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4), pp.23-32. 

  15. 박경준.이성우, 2015, 다층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비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 87, pp.33-48. 

  16. 박서연.전희정, 2019, 주거복지정책 유형별 주거비 부담수준결정요인 분석: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수급가구의 비교연구,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4(3), pp.27-48. 

  17. 박은철.이재수.이시우.이자은, 2015,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격 및 임대료체계 개선방향 연구, 도시행정학보, 28(1), pp.1-31. 

  18. 박준.김현정.이신, 2018,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분석, 공간과 사회, 66, pp.142-175. 

  19. 박근석.주관수.이현정, 2015, 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주택관리 만족도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3), pp.85-97. 

  20. 손철, 2011, 수도권의 공간적 주택하위시장 식별에 대한 연구 국토연구, pp.151-166. 

  21. 안용진.김주현, 2018,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분양.임대 아파트의 물리적 혼합 배치유형 인식 평가에 미친 영향, 국토연구, pp.67-82. 

  22. 유병선.정규형, 2017,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결정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26, pp.1-38. 

  23. 이경영.전희정, 2018, 점유형태별 주거비부담능력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지역 간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3(4), pp.143-161. 

  24. 이성근.정시희, 2008,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대구지역 국민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혁신논집, 3(2), pp.13-37. 

  25. 이지은.김갑성, 2017, 수도권 내 시도별 가구 주거비 결정요인 및 주거부담 비교분석 연구,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7(1), pp.339-350. 

  26. 이재웅.양혜린, 2015,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비 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6(3), pp.153-177. 

  27. 이현정, 2012, 미국 20-30대 1-2 인가구의 주거비 부담 실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2), pp. 69-77. 

  28. 임세희, 2016,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8(3), pp.29-50. 

  29. 임승학.장희순, 2017, 주거환경이 거주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연구: 환경성질환 유병률 분석 중심으로, 주거환경, 15(2), pp.101-117. 

  30. 장미선.권현주, 2018,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에 따른 적정 주택규모,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9(2), pp.55-62. 

  31. 정수영.전희정, 2019, 매입임대주택 입주민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8(1), pp.61-90. 

  32. 조윤애.김태룡, 2004, 부담 가능한 주거를 위한 국민임대주택사업의 정책과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3), pp.505-524. 

  33. 조혜진.김민정, 2014, 한국 중고령 가계의 주거부담 결정요인,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2), pp.19-37. 

  34. 최열.김상현.이재송, 2014, 로짓모형을 이용한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부담능력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학보, 59, pp.45-58. 

  35. 최은희.이종권.김수진, 2011, 국민임대주택 입주에 따른 주거개선효과, 주택연구, 19, pp.123-147. 

  36. 천현숙, 2016,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성과와 향후 과제, 국토, 422, pp.6-13. 

  37. 홍형옥.유병선, 2003, 노후의 일.여가 태도에 따른 노인공동생활주택 선호 경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pp.13-24. 

  38. Bramley, G. 1996, Impact of land-use planning on the supply and price of housing in Britain: reply to comment by Alan W. Evans, Urban Studies, 33(9), pp.1733-1737. 

  39. Gan, Q., Hill, R. J., 2009, Measuring housing affordability: Looking beyond the median.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18(2), pp.115-125. 

  40. Hancock, K. E., 1993, 'Can Pay? Won't Pay?'or Economic Principles of 'Affordability'. Urban studies, 30(1), pp.127-145. 

  41. Kutty, N. K., 2005, A new measure of housing affordability: Estimates and analytical results., Housing policy debate, 16(1), pp.113-142. 

  42. Milligan, V. R., 2003, How different? Comparing housing policies and housing affordability consequences for low income households in Australia and the Netherlands, Doctoral dissertation. 

  43. Whitehead, M., 1991,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equity and healt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6(3), pp.217-2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