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 개편에 따른 유사 주거환경 개선사업의 통합 운영 방안
Integration System of Several Housing Improvement Programs for Low-Income with Housing Benefit Reorganizatio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5, 2015년, pp.113 - 121  

문효곤 (토지주택연구원) ,  백혜선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housing improvement programs for low-income have done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p to now. Each program practiced separat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 번째는 ‘통합의 용이성’으로 실제 통합 운영이 가능한지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이다. 또한 각 사업목적의 특수성 등 고려하여 만약 통합이 될 경우 각 사업 고유의 목적이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다. 이러한 목적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약간 감소할 소지가 있는 경우, 아예 유지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유사사업들에 대한 통합 판단을 위하여 우선 통합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추출하여 각 사업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사업의 통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개량의 프로세스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유사사업들에 대한 통합 판단을 위하여 우선 통합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추출하여 각 사업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사업의 통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개량의 프로세스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본 논문은 연구수행과정에서 도출된 관련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포함한 이론적 정리와 더불어 실제 통합 추진의 필요성에 대한 논리적인 근거와 각 사업들의 특성을 반영한 합리적인 통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 정부차원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지속적인 논의가 진행되면서, 2013년 9월 사회보장위원회는 ‘국정과제 44-복지정책간 연계, 통합 강화 방안’의 ‘주거급여 개편안’에 따라 각 부처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국토부 사업으로 통합 또는 사업내용을 조정·연계하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이 방안은 주거환경 개선과 관련된 각 부처별 유사사업의 조정, 연계를 통해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각 사업의 소관 및 전달체계를 일원화하여 운영자원의 연계 강화, 중복지원 방지 등 운영효율성을 제고하고자 제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유사 주거환경사업의 중복과 통합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인 통합방안이 마련되지 못함에 따라, 논리적 근거를 토대로, 주거급여 개편안의 구체적인 통합방안 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과 연계의 관점에서 각 부처의 주거환경개선사업의 특성에 대해 주요 보수항목의 중복여부, 사업별 수혜 대상자 대상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통합의 유사성, 통합효과, 통합의 용이성 관점에서 유사사업 통합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토부의 주거현물급여 사업을 중심으로 자가수급자 가구를 위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합운영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감사원은 중복(duplication)과 유사(overlap)를 어떻게 정의하였나? 미국감사원(GAO, 2011)은 유사중복과 관련하여 ‘중복(duplication)’과 ‘유사(overlap)’로 구분하여 정의하면서, ‘duplication’은 둘 이상의 부처나 프로그램이 동일한(same) 활동을 하거나 동일한 수혜자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것이며, ‘overlap’은 여러 부처나 프로그램이 유사한(similar) 목표를 갖거나 유사한 활동이나 전략을 구사하거나 유사한 수혜자를 대상으로 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as cited in Kim & Oh, 2013).
각각의 주거환경개선사업들은 어떻게 시행되어 왔는가? 그동안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안전행정부, 환경부, 국토교통부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주거환경개선사업들을 추진해왔다. 각 사업들은 각 부처의 업무 영역과 기능에 적합한 사업 목적을 설정하고 독자적으로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여러 부처간 유사한 주거환경개선 사업의 시행은 결과적으로 비효율적인 정부예산집행, 사업수혜 대상자의 중복 및 누락,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완결성 저하 등의 현상으로 이어지게 되면서, 전반적인 사업추진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Won et al.은 복지사업에 대한 집행과정의 비효율성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이라 하였나? (2011)은 복지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사업 자체의 비효율성과 복지사업이 집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으로 구분하고 있다. 집행과정의 비효율성에 주목하는 이유는 복지사업 관련 예산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복지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예산 증가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아, 복지사업의 확대에 따른 예산집행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전달체계의 미비에 따른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지대상자 선정 기준의 일원화 및 사회보장 정보시스템, 사회복지 통합 전산망 구축과 같은 정보의 통합화가 필요하며, 중앙부처의 부처 간 독자적인 정책 시행을 해소하기 위한 복지정책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RI (Housing Research Institute) (2014). A Study on Housing Benefits Support Policy for Homeowners as a Basic Social Security. Se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 Kim, C. S., & Oh, Y. S. (2013). State and Issues on the Identification/Managements of the Similar Duplicate Program of Public Sector.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Seoul: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Research Institute. 

  3. KIHAS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Research on Management efficiency for the Housing Improvement Program.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4. Lee, M. W., & Kim, Y. S. (2013). Duplication and Unequal Distribution of Welfare Programs. Seoul: NABO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5. Lee, S. J. (2013). Evalution on the Housing Welfare Programs, Seoul: NABO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6.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Guideline on Improvement Programs of the Indoor Water Supply Pipes. S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Improvements on the Welfare Programs of Government Departmen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MSPA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4). 2014 Local Community Job Creation Program Guideline. Sejong: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9.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013). Report of Audit-Management Condition for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Seoul: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10. Won, J. H., Sohn, W. E., Park, T. G., & Lee, G. S.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Efficiency of Welfare Programs (II): focused on Efficiency of the local government and NPO. Sejong: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