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성, 연령 및 지역에 따른 음식군별 칼슘과 인의 섭취량 및 섭취 기여율 분석
Analysis of Dietary Calcium and Phosphorus Intakes and Contribution Rates of Major Dish Group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1, 2020년, pp.32 - 47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혜련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희경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영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학부 및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Calcium (Ca) is an insufficiently consumed nutrient, whereas phosphorus (P) intake has exceeded the recommended intake level in Korea over the past de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etary Ca and P intakes and their contribution rate according to dish groups. Methods: A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칼슘과 인의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 지역을 포함시키지 못하였다는 점과 단지 2일간의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함으로써 인구 집단의 일상적인 식품 및 음식군의 섭취 상태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6%)으로 10년 동안 계속해서 권장섭취량을 상회하여 섭취하고 있었고, 이러한 상태는 성과 연령별모든 계층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10].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우리나라 국민의 인 섭취량 상태가 반영되어 나타나성, 연령 및 지역별로 모두 동일하게 권장섭취량을 상회하여섭취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적절한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최근 각종 탄산음료 등을 포함한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에 인산염 첨가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특히 이러한 식품의 소비가 많은 아동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감시체계가 필요함이 국내외에서 제시되기도 하였다[11, 16, 31-33].
  • 우리나라의 경우 칼슘 섭취량은 부족하고 인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을 초과하는 상태가 과거 10년 동안 계속해서 지속되고 있어 칼슘과 인의 적절한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10, 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음식 군별 칼슘과 인 섭취량과 기여율을 분석하고, 성, 연령 및 지역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칼슘과 인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칼슘과 인의 주된 급원식품과 음식 군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제공된다면 바람직한 수준의 칼슘과 인의 영양상태 개선에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칼슘과 인의 섭취량 및 섭취비율과 음식군별 칼슘과 인의 섭취량 및 기여율을 분석하고 성, 연령 및 지역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여 칼슘과 인의 적절한 균형 섭취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Values are % of total calcium intake from each dish groups.
  • 1) Values are % of total phosphorus intake from each dish group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별과 연령에 따른 1일 칼슘섭취량 중 가장 섭취량이 부족한 계층은? 8%)으로 영양소 중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량이 가장 낮은 영양소이다.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취약하였고, 연령대별로는 남자의 경우 19~29세가 여자의 경우는 60~69세가 가장 부족한 상태였다. 2017년 결과에서 19세 이상 성인의 칼슘의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의 분율은 67.
체내 칼슘의 역할은? 칼슘은 체내 경조직에 99% 존재하며 연조직에 1% 존재하는 영양소로 수산화인회석 [hydroxyapatite, Ca10(PO4)OH2]의 구성성분으로 뼈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신경자극전달, 근육의 수축과 이완, 세포내·외액의 신호전달 및 체액의 산염기평형 등 중요한 생리적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1, 2]. 혈액 중의 칼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골격 중의 칼슘 농도는 섭취량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3, 4].
칼슘 섭취가 부족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은? 혈액 중의 칼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골격 중의 칼슘 농도는 섭취량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3, 4]. 장기간의 칼슘 섭취 상태는 성숙기의 최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며, 칼슘 섭취가 부족할 경우 골밀도 및 골질량의 감소를 초래하며 심할 경우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 5]. 또한 체내 칼슘 상태는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심혈관계질환 및 암 등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도 알려져 있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ashman KD. Calcium intake, calcium bioavailability and bone health. Br J Nutr 2002; 87(S2): S169-S177. 

  2. Flynn A. The role of dietary calcium in bone health. Proc Nutr Soc 2003; 62(4): 851-858. 

  3. Matkovic V, Goel PK, Badenhop-Stevens NE, Landoll JD, Li B, Ilich JZ et al. Calcium supplement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females from childhood to young adulthoo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Clin Nutr 2005; 81(1): 175-188. 

  4. Movassagh EZ, Vatanparast H. Current evidence on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and bone health: A scoping review. Adv Nutr 2017; 8(1): 1-16. 

  5. Weaver CM. Nutrition and bone health. Oral Dis 2017; 23(4): 412-415. 

  6. Lee YK, Hyun TS, Oh SY, Park HR, Ro HK, Heo YR et al. Serum calcium is associated with dyslipidemia in a free-living Korean population: a cross sectional study. Trace Elem Electrolytes 2017; 34(4): 159-165. 

  7. Pannu PK, Calton EK, Soares MJ. Calcium and vitamin D in obesity and related chronic disease. Adv Food Nutr Res 2016; 77: 57-100. 

  8. Peterlik M, Cross HS. Vitamin D and calcium insufficiencyrelated chronic diseases: molecular and cellular pathophysiology. Eur J Clin Nutr 2009; 63(12): 1377-1386. 

  9. Chrysant SG, Chrysant GS. Controversy regarding the association of high calcium intake and in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J Clin Hypertens (Greenwich) 2014; 16(8): 545-550.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p. 570-637. 

  12. Calvo MS, Tucker KL. Is phosphorus intake that exceeds dietary requirements a risk factor in bone health? Ann NY Acad Sci 2013; 1301(1): 29-35. 

  13. Calvo MS, Uribarri J. Public health impact of dietary phosphorus excess on bone and cardiovascular health in the general population. Am J Clin Nutr 2013; 98(1): 6-15. 

  14. Ito S, Ishida H, Uenishi K, Murakami K, Sasaki S.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dietary phosphorus and calcium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young Japanese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Asia Pac J Clin Nutr 2011; 20(3): 411-417. 

  15. Gutierrez OM, Luzuriaga-McPherson A, Lin Y, Gilbert LC, Ha SW, Beck GR Jr. Impact of phosphorus-based food additives on bone and mineral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2015; 100(11): 4264-4271. 

  16. Lee AW, Cho SS. Association between phosphorus intake and bone health in the NHANES population. Nutr J 2015; 14(2): 28. 

  17. Choi YS.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18. Jeong HK, Kim JY, Lee HS, Kim JY.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and phosphate levels on calcium and bone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 1997; 30(7): 813-824. 

  19. Vorland CJ, Stremke ER, Moorthi RN, Hill Gallant KM. Effects of excessive dietary phosphorus intake on bone health. Curr Osteoporos Rep 2017; 15(5): 473-482. 

  20. Lee YK. Development of sodium adaptation index based on dietary habits of Korean. Cheongju: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6.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22. Bristow SM, Gamble GD, Stewart A, Horne L, House ME, Aati O et al. Acute and 3-month effects of microcrystalline hydroxyapatite, calcium citrate and calcium carbonate on serum calcium and markers of bone turnov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 postmenopausal women. Br J Nutr 2014; 112(10): 1611-1620. 

  23. Lau EM, Woo J, Lam V, Hong A. Milk supplementation of the diet of postmenopausal Chinese women on a low calcium intake retards bone loss. J Bone Miner Res 2001; 16(9): 1704-1709. 

  24. Kim JY, Ahn BI. Effect of consumer's dietary lifestyle on consumption pattern of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Market Econ 2015; 32(1): 31-53. 

  25. Host A, McMahon AT, Walton K, Charlton K. Factors influencing food choice for independently living older peopl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 Nutr Gerontol Geriatr 2016; 35(2): 67-94. 

  26. Pechey R, Monsivais P.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the healthiness of food choices: Exploring the contributions of food expenditures. Prev Med 2016; 88: 203-209. 

  27. Kim OY, Kwak SY, Kim B, Kim YS, Kim HY, Shin MJ. Selected food consumption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Ann Nutr Metab 2017; 70(2): 122-131. 

  28. Shin BR, Choi YK, Kim HN, Song SW. High dietary calcium intake and a lack of dairy consumption a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obese male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to 2012. Nutr Res 2016; 36(6): 518-525.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fice for Healthcare Policy.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30. Calvo MS, Lamberg-Allardt CJ. Phosphorus. Adv Nutr 2015; 6(6): 860-862. 

  31. Takeda E, Yamamoto H, Yamanaka-Okumura H, Taketani Y. Increasing dietary phosphorus intake from food additives: potential for negative impact on bone health. Adv Nutr 2014; 5(1): 92-97. 

  32. Lou-Arnal LM, Arnaudas-Casanova L, Caverni-Munoz A, Vercet-Tormo A, Caramelo-Gutierrez R, Munguia-Navarro P et al. Hidden sources of phosphorus: presence of phosphoruscontaining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Nefrologia 2014; 34(4): 498-506. 

  33. Shimada M, Shutto-Uchita Y, Yamabe H. Lack of awareness of dietary sources of phosphorus is a clinical concern. In Vivo 2019; 33(1): 11-16. 

  3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18. Naj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8. 

  35. Adatorwovor R, Roggenkamp K, Anderson JJ. Intakes of calcium and phosphorus and calculated calcium-to-phosphorus ratios of older adults: NHANES 2005-2006 data. Nutrients 2015; 7(11): 9633-96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