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군과 정상군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between Hypercholesterolemic and Normal groups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5, 2020년, pp.396 - 405  

이현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형숙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nutrient intake of normal healthy adults with those having hypercholesterolemia.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A total of 12,636 adults (5,223 males and 7,413 females)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군과 정상군의 영양소 섭취 실태를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 고콜레스테롤혈증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8]이며,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남녀 중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와 정상인의 영양소 섭취 상태를 비교하였다. 남자 고콜레스테롤혈증군의 평균나이는 5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무엇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이 상승된 상태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 질병관리본부에서 보고한 우리나라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만 30세 이상, 표준화)은 2013년 남자가 13.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의 증가 폭은 어떻게 되는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이 상승된 상태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 질병관리본부에서 보고한 우리나라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만 30세 이상, 표준화)은 2013년 남자가 13.6%에서 2017년 20%로 여자가 2013년 기준 15.9%에서 2017년 22.6%로 남녀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2].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유전적 요인이나 식사,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가 있다.
일본, 캐나다, 호주 등에서도 콜레스테롤 섭취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국내외 식생활지침에서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의 섭취를 제한하여야 위험요인을 낮출 수 있다고 하였는데 최근 발표된 몇 건의 연구에 따르면 콜레스테롤의 섭취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간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지는 않고 콜레스테롤 섭취가 독립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근거가 보고되고 있다[12, 13]. 이를 반영하여 미국 식생활지침 자문위원회는 2015년도 지침에 콜레스테롤 섭취 제한 문구를 삭제하여 수정을 하고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도와주는 포화지방을 제한해야 한다고 하였다[14]. 이에 따라서 일본, 캐나다, 호주 등에서도 콜레스테롤 섭취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eo ML, Kim HD. An analysis of hypertension statu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early adults. Korean J Food Nutr 2018; 31(5): 720-728.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17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 and issue, 2018 [Internet]. 2018 [updated 2018 Jan 5; cited 2018 Dec 1].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gallery.es?mida20503020000&bid0003&actview&list_no136662. 

  3. Kim S, Sohn C, Chung WY.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food habits and serum lipid levels of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J Korean Diet Assoc 2005; 11(1): 125-132. 

  4. Grundy SM.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2002; 106(25): 3143-3421. 

  5. Ko SK. The effect of BMI and %Fat as an obesity Index on the diagnosis of hyperlipidemia in adult men. Exerc Sci 2005; 14(1): 21-30. 

  6. Ha KH, Kwon HS, Kim DJ.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dyslipidemia in Korea. J Lipid Atheroscler 2015; 4(2): 93-99. 

  7. Jeong JH, Choi YS, Kim SM, Choi SY, Kim JE, Kim EY et al.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status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lin Geriatr 2014; 15(1): 35-44. 

  8. Eckel RH, Jakicic JM, Ard JD, de Jesus JM, Houston Miller N, Hubbard VS et al. 2013 AHA/ACC guideline on lifestyle management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14; 129(25 Suppl 2): S76-S99. 

  9. Shin M J, L im HS, C hung NS, Cho S Y, K im S S. E ffect of dietary therapy on blood lipid in out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J Korean Diet Assoc 2001; 7(4): 313-319. 

  10. Kim JS, Han JS. Effects of a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food intake and serum lipids in hyperlipidemic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8): 1302-1310. 

  11. Pack JS, Hong SA.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an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local community. J Korean Converg Soc 2017; 8(7): 131-139. 

  12. Berger S, Raman G, Vishwanathan R, Jacques PF, Johnson EJ. Dietary cholesterol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Clin Nutr 2015; 102(2): 276-294. 

  13. McNamara DJ. Dietary cholesterol and atherosclerosis. Biochim Biophys Acta 2000; 1529(1): 310-320. 

  14.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2015. Scientific report of 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5. p. 47-182. 

  15. Lecerf JM, De Lorgeril M. Dietary cholesterol: from physiology to cardiovascular risk. Br J Nutr 2011; 106(1): 6-14. 

  16. Kelley GA, Kelley KS, Roberts S, Haskell W. Efficacy of aerobic exercise and a prudent diet for improving selected lipids and lipoproteins in ad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BMC Med 2011; 9(1): 74-88. 

  1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p. 101-130. 

  18. Lee SL, Kim SY, Chang YK. A study on dietary patterns and nutrient intake in women with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5): 819-829. 

  19. Kim S, Jung K, Choi YJ, Lee S, Chang Y. Comparisons of nutrients intake of normocholesterol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in the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3): 461-474. 

  20. Hwang KH, Heo YR, Lim HS. The effects of lowering dietary fat and cholesterol on hypercholessterolemic men. Korean J Nutr 1999; 32(5): 552-560. 

  21. Korean Society of Epidemiology. Nutritional epidemiology (translated version). 3rd ed. English original written by Willett W. Paju: Kyomunsa; 2013. 

  22. Park HJ. The association of secondhand smoke and dyslipidemi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18. 

  23. Jung M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of Korean adult males and femal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8. 

  24. Shin MG, Yoon KH, Song MY.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and nutritional status related to dyslipidemia in Korean middleaged ad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10. Korean J Food Nutr 2016; 29(5): 724-734. 

  25. Kim HS.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mputeriz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with high-risk of hypercholesterolemia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26. Cha D, Park Y. Association between dietary cholesterol and their food sources and risk for hypercholesterolemia: The 2012-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ents 2019; 11(4): 846-856. 

  27. Kim JS, Suh YK, Kim HS, Chang KJ, Choi H.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ietary fatty acid patterns, plasma fatty acids, and other lipid profile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2): 192-201. 

  28. Atakisi E, Atakisi O, Yaman H, Arslan I. Omega-3 fatty acid application reduces yolk and plasma cholesterol levels in Japanese quails. Food Chem Toxicol 2009; 47(10): 2590-2593. 

  29. Ramprasath VR, Jones PJ, Buckley DD, Woollett LA, Heubi JE. Decreased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after PUFA-rich diets are not due to reduced cholesterol absorption/synthesis. Lipids 2012; 47(11): 1063-1071. 

  30. Park YS, Park HJ, Won SI. Association of fatty acid intake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8-2007.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1; 21(6): 789-807. 

  31. McRae MP. Vitamin C supplementation lowers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a meta-analysis of 13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Chiropr Med 2008; 7(2): 48-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