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이 난소적출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 모델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ongawongagam Extract o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Osteoporosi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4 no.1, 2020년, pp.14 - 23  

윤지원 (대전대학교 천안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이현 (대전대학교 천안한방병원 침구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heongawongagam on osteoporosis rat. A total of 35 rat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Normal control(SD-Nr), experimental control group(OVX-CTL), positive control group(OVX-17β-E2) and herb extracts group[Eucommia ulmoides(OVX-EU-E), Jug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저자는 두충, 호두, 오가피 단독 추출물 및 청아원가감 추출물을 이용하여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난소를 적출하여 에스트로겐 결핍성 골다공증을 유발한 흰쥐에 3 주간의 회복기 후 두충, 호두, 오가피 단독 추출 물 및 청아원가감 추출물을 12 주간 경구 투여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충, 호두, 오가피 단독추출물과 청아원 가감 추출물(두충, 호두, 오가피, 생강 복합추출물)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난소 적출을 유발시킨 흰쥐에서의 골소실은 폐경기의 여성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난다고 하였기에 흰쥐의 난소적출로 골다공증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였고 세포실험 연구에서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시키면서 세포독성이 없는 용량을 선정하여 그 결과 200 ㎍/㎖으로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29).
  • 이에 본 저자는 두충, 호두, 오가피 단독 추출물 및 청아원가감 추출물을 이용하여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난소를 적출하여 에스트로겐 결핍성 골다공증을 유발한 흰쥐에 3 주간의 회복기 후 두충, 호두, 오가피 단독 추출 물 및 청아원가감 추출물을 12 주간 경구 투여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은 골강도의 약화로 골절의 위험이 증가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골밀도와 골의 질 감소, 골조직 미세구조의 약화를 특징으로 한다. 골다공증은 가장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인구가 점차 고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1).
골다공증의 특징은? 골다공증은 골강도의 약화로 골절의 위험이 증가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골밀도와 골의 질 감소, 골조직 미세구조의 약화를 특징으로 한다. 골다공증은 가장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인구가 점차 고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1).
난소적출을 통한 흰쥐의 골다공증 모델에 두충, 호두, 오가피 추출물 및 청아원가감 추출물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체중 검사, 혈청 검사, 혈청내 골 대사지표 검사, 대퇴관절내 유전자 발현 검사를 관찰한 결과 얻은 결론은?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간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골형성 관련지표인 ALP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Osteocalcin과 DPD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혈청내 칼슘농도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혈청내 염증매개인자 수준 TNF-α, IL-1β, LTB4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혈청내 17β-estradiol (E2)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염증 사이토카인 IL-1β mRNA 유전자 발현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IL-6, TNF-α mRNA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염증성매개 COX-2, NOS-2 mRNA 유전자 발현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MMP-9 mRNA 유전자 발현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청아원가감 추출물에서 조직학적으로 골소주 면적 및 골 내부 pore 의 감소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Osteoporosis 3 edition. Seoul : Hanmi publishing; 2006. 11-7, 205-15. 

  2. Yoo JH, Moon SH, Ha YC, Lee DY, Gong HS, Park SY, et al. Osteoporotic fracture: 2015 position statement of the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J bone Metab. 2015;22(4):175-81. 

  3. Lee SR, Kim SR, Chung KH, Ko DO, Cho SH, Ha YC, et al. Mortality and activity after hip fracture: a prospective study. J Korean Orthop Assoc. 2005;40(4):423-7. 

  4. Kim YS.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elderly hip fracture. J Korean Med Assoc. 2016;59(8):631-6. 

  5. Kim JH. Reviews of recent research on the osteoporosis - is mainly dependent on the oriental medicine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J Korean Acupunct Moxibustion Soc. 1998;15(2):437-54. 

  6.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Orthopaedic. Seoul : Choesin publishing ; 1999. 

  7. Seo MS, Kim HC, Choo WJ, Jeong SY, Kim SJ, Choi JU, et al. The Review on the Study of Osteoporosis in Korean Medicine Journals. J Korea CHUNA Man Med Spine Nerves. 2013;8(2):67-78. 

  8. Kim MB, Kim SS, Chung SH. A Literature Review of Herbal Medicines on Osteoporosis Studies-Reviewing Articles Published after Year 2000. J Korean Med Rehabil. 2010;20(1):91-107. 

  9. J Huh. Dogneui Bogam. Seoul : Dongeuibogam publishing; 2005. 

  10. Kim SH, Jeong JC.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its Mechanism of Cheonga-hwan. J Korean Med. 2002;23(4). 

  11. Yun GW, Kang JH, Lee H. Effects of Korean herbal medicine (Cheong-A-Won) for treatment of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with osteoporosis: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Eur J Integr Med. 2018;20:84-9. 

  12. Xu Y, Zhao Y, Xie J, Sheng X, Li Y, Zhang Y. The Evaluation of Toxicity Induced by Psoraleae Fructus in Rats Using Untargeted Metabonomic Method Based on UPLC-Q-TOF/MS. Evidence-Based Complement Altern Med. 2017;2017. 

  13. HB Pyeonchanwiwonhoe. Bonchohak. Seoul : Yeongrimsa. 2004;325-6, 603-4, 616-7. 

  14. Chung HY. Osteoporosis diagnosis and treatment 2007. Endocrinol Metab. 2008;23(2):76-108. 

  15. Yang KH. Ageing society and osteoporosis. J Korean Med Assoc. 2016;59(11):833-5. 

  16. Park SH, Lee K. Predic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edical facilities complying with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J Geol Soc Korea. 2018;53(53):371-85. 

  17. Cosman F, de Beur SJ, LeBoff MS, Lewiecki EM, Tanner B, Randall S, et al.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 Int. 2014;25(10):2359-81. 

  18. Abrahamsen B. Bisphosphonate adverse effects, lessons from large databases. Curr Opin Rheumatol. 2010;22(4):404-9. 

  19. MacLean C, Newberry S, Maglione M, McMahon M, Ranganath V, Suttorp M, et al. Systematic review: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reatments to prevent fractures in men and women with low bone density or osteoporosis. Ann Intern Med. 2008;148(3):197-213. 

  20. Do HK. Donguisingyehak, Seoul. 1991;1144-51. 

  21. Kim MS, Seo BI, Kwak MA, Ji SY. Effect of Chungajihwangtang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Korea J Herbol. 2003;18(2):49. 

  22. Kang JH, Choi JY, Yoon KS, Lee H. The analysis of 278 cases who were medicated with Cheonga-won. J Korean Acupunct Mox Med Sci. 2011;28(1):93-100. 

  23. Zhang R, Liu ZG, Li C, Hu SJ, Liu L, Wang JP, et al.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cortex extract prevent OVX-induced osteoporosis in rats. Bone. 2009;45(3):553-9. 

  24. Jung YT, Choi YH, Song JH, Lee CH, Lee MS, Jang SJ, et al. Effect of water extract of Eucommiae cortex in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09;23(3):613-8. 

  25. Papoutsi Z, Kassi E, Chinou I, Halabalaki M, Skaltsounis LA, Moutsatsou P. Walnut extract (Juglans regia L.) and its component ellagic acid exhibi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human aorta endothelial cells and osteoblastic activity in the cell line KS483. Br J Nutr. 2008;99(4):715-22. 

  26. Hwang YC, Jeong IK, Ahn KJ, Chung HY. The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on bone turnover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J Bone Miner Metab. 2009;27(5):584-90. 

  27. Funk JL, Frye JB, Wright LE, Timmermann BN. Effects of Ginger (Zingiber officialis L) on Inflammation-Induced Bone Loss.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2012. 

  28. Fan JZ, Yang X, Bi ZG. The effects of 6-gingerol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osteoblast-like MG-63 cells. Brazilian J Med Biol Res. 2015;48(7):637-43. 

  29. Kalu DN, Arjmandi BH, Liu CC, Salih MA, Birnbaum RS. Effects of ovariectomy and estrogen on the serum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Bone Miner. 1994;25(2):135-48. 

  30. Stevenson JC, Crook D, Godsland IF. Influence of age and menopause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healthy women. Atherosclerosis. 1993;98(1):83-90. 

  31. Datta HK, Ng WF, Walker JA, Tuck SP, Varanasi SS. The cell biology of bone metabolism. J Clin Pathol. 2008;61(5):577-87. 

  32. Naylor K, Eastell R. Bone turnover markers: use in osteoporosis. Nat Rev Rheumatol. 2012;8(7):379. 

  33. Yeh JK, Aloia JF, Barilla M-L. Effects of $17{\beta}$ -estradiol replacement and treadmill exercise on vertebral and femoral bones of the ovariectomized rat. Bone Miner. 1994;24(3):223-34. 

  34. Mundy GR. Osteoporosis and inflammation. Nutr Rev. 2007;65(suppl_3):S147-51. 

  35. Pino AM, Rios S, Astudillo P, Fernandez M, Figueroa P, Seitz G, et al. Concentration of adipogenic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bone marrow supernatant fluid of osteoporotic women. J Bone Miner Res. 2010;25(3):492-8. 

  36. Hammett-Stabler CA. The use of biochemical markers in osteoporosis. Clin Lab Med. 2004;24(1):175-97. 

  37. Notelovitz M. Osteoporosis: scree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Fertil Steril. 1993;59(4):707-25. 

  38. Kim W. Recent research of biochemical bone markers measurement in osteoporosis and clinical utility.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39. Choi SH, Lee SY, Kim YJ. The pattern of urinary deoxypyridinoline and serum osteocalcin across menopausal transition in women. J Korean Acad Fam Med. 2000;21(12):1552-9. 

  40. Nyman JS, Lynch CC, Perrien DS, Thiolloy S, O'Quinn EC, Patil CA, et al. Differential effects between the loss of MMP-2 and MMP-9 on structural and tissue-level properties of bone. J Bone Miner Res. 2011;26(6):125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