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시각적 피드백과 동작관찰을 이용한 운동이 전방머리자세의 자세 정렬과 대뇌겉질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3D Visual Feedback Exercise with Action Observation on the Posture Alignment and Cerebral Cortex Activation in Forward Head Post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8 no.1, 2020년, pp.113 - 124  

강효정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양회송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민규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combined with 3D visual feedback and motion observation on postural alignment and cerebral cortical activity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Methods : The study included 28 participants with FHP,...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3D 시각적 피드백과 동작관찰을 병행한 운동 중재가 전방머리자세의 자세 정렬, 대뇌겉질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3D 시각적 피드백과 동작관찰을 병행한 운동 중재가 전방머리자세의 자세 정렬과 대뇌겉질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 CVA 값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CL 값에서는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는 순천시 C대학교 재학생 중 28명의 전방머리자세 대상자에 대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수는 G power 3.
  • 본 연구의 목적은 3D 시각적 피드백과 동작관찰을 병행한 운동 중재가 전방머리자세의 자세 정렬, 대뇌겉질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자세 불균형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VA, CL 값을 평가하였고, 운동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변수로 대뇌피질 활성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학습은 무엇으로 나눌 수 있나? 운동학습은 감각 정보의 처리과정과 운동조절, 운동기술의 습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학습된 기술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영구적으로 만들며 비기술적인 동작이 기술화되는 과정이다(Paik & Shin, 2010). 운동학습을 위해서는 운동을 통한 운동학습과 상상운동과 동작관찰훈련 같은 간접적인 운동학습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적인 신체적 운동학습이 자세교육에 미치는 효과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운동학습은 무엇을 포함하는 개념인가? 운동학습은 감각 정보의 처리과정과 운동조절, 운동기술의 습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학습된 기술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영구적으로 만들며 비기술적인 동작이 기술화되는 과정이다(Paik & Shin, 2010). 운동학습을 위해서는 운동을 통한 운동학습과 상상운동과 동작관찰훈련 같은 간접적인 운동학습으로 나눌 수 있다.
동작관찰훈련은 어디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나? 동작관찰훈련은 동작을 관찰하고 관찰한 동작을 모방하여 반복적으로 훈련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Small 등, 2012). 동작을 관찰할 때 활성화되는 곳은 같은 동작을 실제로 실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곳과 동일한 운동 투사영역이며, 동작관찰과 상상훈련은 실제 행동 없이도 운동관련 영역인 운동앞겉질과 아래두정겉질의 활성화를 보인다(Fabbri-Destro & Rizzolatti, 2008; Iacoboni & Dapretto,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agnie B, Cools A, De Loose V, et al(2007). Differences in isometric neck muscle strength between healthy controls and women with chronic neck pain: the use of a reliable measurement. Arch Phys Med Rehabil, 88(11), 1441-1445. 

  2. Chang CS, Lo YY, Chen CL, et al(2019). Alternative motor task-based pattern training with a digital mirror therapy system enhances sensorimotor signal rhythms post-stroke. Front Neuro, 10, Printed Online. https://doi.org/10.3389/fneur.2019.01227. 

  3. Cheng PT, Wu SH, Liaw MY, et al(2001).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82(12), 1650-1654. 

  4. Cho SH(2014).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and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exercise o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5. Choi YJ, Hwang R(2011). Effect of cervical and thoracic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forward head postur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0), 293-300. 

  6. Dayan E, Cohen LG(2011). Neuroplasticity subserving motor skill learning. Neuron, 72(3), 443-454. 

  7. Dover G, Powers ME(2003). Reliability of joint position sense and force-reproduction measures during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J Athl Train, 38(4), 304-310. 

  8. Doyon J, Benali H(2005). Reorganization and plasticity in the adult brain during learning of motor skills. Curr Opin Neurobiol, 15(2), 161-167. 

  9. Edmondston SJ, Chan HY, Ngai GC, et al(2007). Postural neck pain: an investigation of habitual sitting posture, perception of 'good' posture and cervicothoracic kinaesthesia. Man Ther, 12(4), 363-371. 

  10. Fabbri-Destro M, Rizzolatti G(2008). Mirror neurons and mirror systems in monkeys and humans. Physiology (Bethesda), 23, 171-179. 

  11. Falla D(2004). Unravelling the complexity of muscle impairment in chronic neck pain. Man Ther, 9(3), 125-133. 

  12. Fairclough SH, Venables L, Tattersall A(2005). The influence of task demand and learning on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Int J Psychophysiol, 56(2), 171-184. 

  13. Gustafsson E, Thomee S, Grimby-Ekman A, et al(2017). Texting on mobile phone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young adults: A five-year cohort study. Appl Ergon, 58, 208-214. 

  14. Haughie LJ, Fiebert IM, Roach KE(1995). Relationship of forward head posture and cervical backward bending to neck pain.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3(3), 91-97. 

  15. Hoftun GB, Romundstad PR, Zwart JA, et al(2011). Chronic idiopathic pain in adolescence-high prevalence and disability: the young HUNT Study 2008. Pain, 152(10), 2259-2266. 

  16. Iacoboni M, Dapretto M(2006).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the consequences of its dysfunction. Nat Rev Neurosci, 7(12), 942-951. 

  17. Jung HW, Shin WS, Kim DH, et al(2013).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forward head posture and spinal alignment. J Korean Med Rehabil, 23(4), 195-202. 

  18. Kang HJ, Yang HS(2018). The effects of the action observation and visual feedback convergence exercise on the alignments, pain and function of forward head posture and round shoulder postur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2), 123-128. 

  19. Kang HJ, Yang HS(2019). Effects of neck and shoulder exercise program on spino-pelvic alignment in subject with forward head posture.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7(4), 265-272. 

  20. Kang JH, Park RY, Lee SJ, et al(2012). The effects of the forward head posture on postural balance in long time computer based worker. Ann Rehabil Med, 36(1), 98-104. 

  21. Kim JS, Choi JH, Lee MY(2017). Effect of self postural control with visual feedback in the foot pressures in the subject with forward head posture. J Kor Phys Ther, 29(4), 153-157. 

  22. Kim JY, Han KJ(2014). Comparison of the effect of 2D and 3D action observation on arousal and mirror neuron activity. JKEIA, 8(4), 109-116. 

  23. Kim MS, Chung SW, Hwang CJ, et al(2005). A radiographic analysis of sagittal spinal alignment for the standardization of standing lateral position. J Korean Orthop Assoc, 40(7), 861-867. 

  24. Kim TH, Park SB, Ha JH(2009). Differences in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during motor imagery and action observation of golf putting. Korean J Phys Edu, 48(3), 157-165. 

  25. Klem GH, Luders HO, Jasper HH, et al(1999).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52(3), 3-6. 

  26. Lee ES, Lee SW(2019). Impact of cervical sensory feedback for forward head posture on headache severity and physi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a randomized, single-blind, controlled Trial. Med Sci Monit, 25, 9572-9584. 

  27. Lee MY, Lee HY, Yong MS(2014). Characteristics of cervical position sense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J Phys Ther Sci, 26(11), 1741-1743. 

  28. Lee HS, Lee GH, Kang SH, et al(2015). Effects of the home exercise program and exercise program of round shoulder adjusting on the shoulder height, the level of trapezius muscle activity and attention capac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3(1), 91-103. 

  29. Mizuguchi N, Kanosue K(2017). Changes in brain activity during action observation and motor imagery: Their relationship with motor learning. Prog Brain Res, 234, 189-204. 

  30. Paik NJ, Shin JH(2010). Motor learning: Basic concept and theories. Brain Neurorehabil, 3(2), 57-63. 

  31. Ray WJ, Cole HW(1985). EEG alpha activity reflects attentional demands, and beta activity reflects emotional and cognitive processes. Science, 228(4700), 750-752. 

  32. Shon MJ, Roh JS, Choi HS, et al(2012). The effect of postural training through action observation on craniovertebral angle and cranial rotation angle of forward head posture. J Korean Phys Ther Sci, 19(2), 17-24. 

  33. Silva AG, Cruz AL(2013).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whiplash-associated neck pain and idiopathic neck pain when compared with asymptomatic participants: a systematic review. Physiother Theory Pract, 29(1), 1-18. 

  34. Silva AG, Punt TD, Sharples P, et al(2009). Head posture and neck pain of chronic nontraumatic origin: a comparison between patients and pain-free persons. Arch Phys Med Rehabil, 90(4), 669-674. 

  35. Small SL, Buccino G, Solodkin A(2012).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treatment of stroke. Dev Psychobiol, 54(3), 293-310. 

  36. Sollfrank T, Hart D, Goodsell R, et al(2015). 3D visualization of movements can amplify motor cortex activation during subsequent motor imagery. Front Hum Neurosci, 9, Printed Online. https://doi.org/10.3389/fnhum.2015.00463. 

  37. Stefan K, Cohen LG, Duque J, et al(2005). Formation of motor memory by action observation. J Neurosci, 25(41), 9339-9346. 

  38. Yaggie JA, McGregor SJ(2002). Effects of isokinetic ankle fatigue on the maintenance of balance and postural limits. Arch Phys Med Rehabil, 83(2), 224-228. 

  39. Yip CH, Chiu TT, Poon AT(2006). The relation between head posture and severity and disability of patients with neck pain. Man Ther, 13(2), 148-1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