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방머리자세 성인을 대상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세정렬 측정의 신뢰도 및 수렴 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Standing Posture Measurement Using a Mobile Application in Forward Head Post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8 no.3, 2020년, pp.173 - 180  

강효정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민규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양회송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완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tra- and inter-ra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s of head, neck, and pelvis posture using a mobile application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Methods : Forty-eight volunteers (22 men, 26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r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세 부정렬을 대상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세 측정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세 부정렬의 대표적인 질환인 전방머리자세를 대상으로 자세 측정을 위해 개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CA-smart posture reminder(CA-SPR)를 이용하여 측정자 간, 측정자 내 신뢰도(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X-ray의 목과 골반의 자세정렬 변수와 CA-SPR의 자세정렬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렴 타당도(convergent validity)를 확인하고, 개발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CA-SPR의 임상적 활용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세 부정렬의 대표적인 질환인 전방머리자세를 대상으로 자세 측정을 위해 개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CA-smart posture reminder(CA-SPR)를 이용하여 측정자 간, 측정자 내 신뢰도(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X-ray의 목과 골반의 자세정렬 변수와 CA-SPR의 자세정렬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렴 타당도(convergent validity)를 확인하고, 개발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CA-SPR의 임상적 활용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간의 부정렬 자세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부정렬자세(malalignment)는 척추, 골반, 팔, 그리고 다리 등에 운동형상학적(kinematics) 변화를 가져오고, 장기간의 부정렬 자세는 근육의 불균형, 관절의 퇴행성 변화, 내장기의 변위 등을 야기시키며, 통증을 비롯한 기능장애 및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Schamberger, 2013).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는 머리 및 목뼈의 대표적인 부정렬 자세로 머리가 중력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고리뒤통수관절을 포함한 상부 목뼈의 폄이 증가되고, 하부 목뼈와 상부 등뼈의 굽힘이 증가되며, 이러한 머리 및 목뼈의 부정렬은 척추 및 팔다리의 자세변화와 근골격계 질환을 발생시킨다(Saal, 1992).
전방머리자세의 유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는 머리 및 목뼈의 대표적인 부정렬 자세로 머리가 중력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고리뒤통수관절을 포함한 상부 목뼈의 폄이 증가되고, 하부 목뼈와 상부 등뼈의 굽힘이 증가되며, 이러한 머리 및 목뼈의 부정렬은 척추 및 팔다리의 자세변화와 근골격계 질환을 발생시킨다(Saal, 1992). 유병률은 나이와 직업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약 63 %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현대사회의 생활습관에 의해 그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Naz 등, 2018; Verma 등, 2018).
방사선 검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신체 자세는 골격의 정렬을 분석하는 방법인 방사선검사(X-ray), 빛에 비춰진 신체 표면 위의 등고선을 분석하는 방법인 표면 토포그라피(surface topography), 촬영된 사진을 소프트웨어로 분석하는 방법인 포토그라피(photography), 그리고 임상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각도계(goniomete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방사선 검사는 골격의 변형 및 위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반복된 방사선 노출은 피부의 수포, 궤양, 백내장, 암, 유전자 손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제약, 고액의 장비 필요, 판독을 위한 전문 인력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Doody 등, 2000; Ronckers 등, 2010). 표면 토포그라피는 방사선 노출이 없이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척추 및 신체의 변위 평가하며, 그 예로 모아레(Moire) 등고선 검사(Porto 등, 2010), formetric 4D(Hackenberg 등, 2003)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land DM, Neufeld EV, Ruddell J, et al(2016). Inter- and intra-rater agreement of static posture analysis using a mobile application. J Phys Ther Sci, 28(12), 3398-3402. https://doi.org/10.1589/jpts.28.3398. 

  2. Doody MM, Lonstein JE, Stovall M, et al(2000). Breast cancer mortality after diagnostic radiography: findings from the U.S. Scoliosis Cohort Study. Spine (Phila Pa 1976), 25(16), 2052-2063. https://doi.org/10.1097/00007632-200008150-00009. 

  3. Fortin C, Feldman DE, Cheriet F, et al(2012). Reliability of a quantitative clinical posture assessment tool among persons with idiopathic scoliosis. Physiother, 98(1), 64-75. https://doi.org/10.1016/j.physio.2010.12.006. 

  4. Ha SM, Jeon IC(201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using smart phone-based goniometer on pelvic tilting angle in standing and sitting position. J Korean Phys Ther, 31(1), 35-39. https://doi.org/10.18857/jkpt.2019.31.1.35. 

  5. Hackenberg L, Hierholzer E, Potzl W, et al(2003). Rasterstereographic back shape analysis in idiopathic scoliosis after posterior correction and fusion. Clin Biomech, 18(10), 883-889. https://doi.org/10.1016/s0268-0033(03)00169-4. 

  6. Hopkins BB, Vehrs PR, Fellingham GW, et al(201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anding posture measurements using a mobile application. J Manipulative Physiol Ther, 42(2), 132-140. https://doi.org/10.1016/j.jmpt.2019.02.003. 

  7. Jung HW, Shin WS, Kim DH, et al(2013).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forward head posture and spinal alignment. J Korean Med Rehabil, 23(4), 195-202. 

  8. Lee H, Chung H, Park S(2015). The Analysis of severity of forward head posture with observation and photographic method. J Korean Soc Phys Med, 10(3), 227-235. https://doi.org/10.13066/kspm.2015.10.3.9. 

  9. Naz A, Bashir MS, Noor R(2018). Prevalance of forward head posture among university students. Rawal Med J, 43(2), 260-262. https://doi.org/10.5005/jp-journals-10056-0105. 

  10. Quek J, Brauer SG, Treleaven J, et al(2014). Validity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an Android phone application to measure cervical range-of-motion. J Neuroeng Rehabil, 11(1), 1-6, https://doi.org/10.1186/1743-0003-11-65. 

  11. Ronckers CM, Land CE, Miller JS, et al(2010). Cancer mortality among women frequently exposed to radiographic examinations for spinal disorders. Radiat Res, 174(1), 83-90. https://doi.org/10.1667/RR2022.1. 

  12. Ruivo RM, Pezarat-Correia P, Carita AI(2015).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photographic measurement of upper-body standing posture of adolescent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38(1), 74-80. https://doi.org/10.1016/j.jmpt.2014.10.009. 

  13. Saal JA(1992). The new back school prescription: stabilization training. Part II. Occup Med, 7(1), 33-42. 

  14. Schamberger W(2013). The malalignment syndrome: Implications for medicine and sport. 2n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pp.96-97. 

  15. Singla D, Veqar Z, Hussain ME(2017). Photogrammetric assessment of upper body posture using postural angles: a literature review. J Chiropr Med, 16(2), 131-138. https://doi.org/10.1016/j.jcm.2017.01.005. 

  16. Porto F, Gurgel JL, Russomano T, et al(2010). Moire topography: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application. Gait Posture, 32(3), 422-424. https://doi.org/10.1016/j.gaitpost.2010.06.017. 

  17. Tomkinson GR, Shaw LG(2013). Quantification of the postural and technical errors in asymptomatic adults using direct 3D whole body scan measurements of standing posture. Gait Posture, 37(2), 172-177. https://doi.org/10.1016/j.gaitpost.2012.06.031. 

  18. Verma SL, Shaikh J, Mahato RK, et al(2018). Prevalence of forward head posture among 12-16 year old school going students-A cross sectional study. Appl Med Res, 4(2), 18-21. https://doi.org/10.5455/amr.201808050647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