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조사
A Study of Occupational Therapy at Adult Day Care Cent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8 no.1, 2020년, pp.219 - 228  

김민호 (다온웰니스) ,  박성호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at adult day care center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is therapy at these centers. Methods : Data on 1,527 adult day care centers in South Korea were retrieved from a long-term care insurance site for the elderly and wer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노인 주간보호시설 수의 증가와 함께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작업치료서비스 및 인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을 조사하여 노인 주간보호시설 내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고, 차후 노인 주간보호시설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에 대한 작업치료의 인식 및 필요성을 확인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의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을 조사하여 노인 주간보호시설 내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고, 차후 노인 주간보호시설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에 대한 작업치료의 인식 및 필요성을 확인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최근 장기요양등급의 확대와 3차에 걸친 “노인복지관 인지지원서비스 시범사업”으로 노인 주간보호시설에서도 인지지원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치료사의 영역이 지역사회로 확대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동시에 노인 주간보호시설에서의 고용률도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필수 인력 기준이 작업치료사 이외의 직군도 포함되어 있기에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직업군이 고용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을 조사한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수는 1,527개로 인지활동형 1,331개(87.2 %), 치매전담형 37개(2.4 %), 일반형 159개(10.4 %)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주간보호시설 내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전체 1,527개 시설 중 294개(19.3 %) 시설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주간보호시설 내 작업치료사의 인력 현황 은 전체 1,527개 시설 중, 총 40명(2.6 %)이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 주간보호시설 내 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은 시설당 4.91±3.93개, 운동보조 프로그램은 시설당 2.58±2.26개, 기타 프로그램은 시설당 2.56±2.58개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 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비교에서는 서울지역의 프로그램 수가 다른 지역의 프로그램 수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야간보호서비스이란? 주야간보호서비스는 노인에 대한 기능회복 및 유지, 신체적 자립향상, 여가시간 활용, 사회적 교류 및 가족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National Institute on Adult Day Care, 1990), 노인 주간보호시설은 노인성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지역사회 내의 복지시설에서 일정 시간 동안 돌봄과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이다(McCann 등, 2005).
노인 주간보호시설은 어떤 시설인가? 주야간보호서비스는 노인에 대한 기능회복 및 유지, 신체적 자립향상, 여가시간 활용, 사회적 교류 및 가족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National Institute on Adult Day Care, 1990), 노인 주간보호시설은 노인성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지역사회 내의 복지시설에서 일정 시간 동안 돌봄과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이다(McCann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SH, Yang YA(2017).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based multi-modal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Korean Soc Occup Ther, 25(3), 71-86. 

  2. Craig DG(2012). Current occupational therapy publications in home health: A scoping review. Am J Occup Ther, 66(3), 338-347. 

  3. Fried LP, Guralnik JM(1997). Disability in older adults: evidence regarding significance, etiology, and risk. J Am Geriatr Soc, 45(1), 92-100. 

  4. Ham MJ, Kim SK, Yoo DH, et al(2018). The effects of a multi-modal interventional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J Korean Soc Occup Ther, 26(1), 91-102. 

  5. Jeon JY(2019).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6. Jeong MS, Seo YH(2017). The study on the actuality of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typical Seoul daycare center : focusing on the day care center Yeongdeungpo-gu, Seoul. Korean J 21st Century Social Welfare, 14(2), 205-236. 

  7. Kaplan DB, Berkman B(2011). Dementia care: A global concern and social work challenge. International Social Work, 54(3), 361-373. 

  8. Kim MH, Kim JM(2012). The effect of an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using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on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J Korean Soc Community-Based Occup Ther, 2(1), 75-84. 

  9. Kim YS(199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oup work program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dementia patients. Korean Gerontol Soc, 17(3), 53-69. 

  10. Ko KA(2016).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for the aged with mild dementia. Graduate school of Hani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11. Kwag SW, Na HJ, Kwang SW, et al(2014). Systematic review about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dementia patients. J Korean Clin Health Sci, 2(1), 35-45. 

  12. Kwak IS(2002). Programs of activities and services of the adult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with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 in the US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0), 123-139. 

  13. Lee CY, Chang MY(2014). A Surve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for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J Korean Soc Occup Ther. 22(2), 35-46. 

  14. Lee CY, Park YJ, Park KH, et al(2018).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odel focused on improving living functions within the community care system. J Korean Soc Community-Based Occup Ther, 8(3), 1-12. 

  15. Lee HJ(2018). A study on cognitive factors affecting the occupational participation of elderly with dementia in community.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16. Lee HS, Chang KY, Jung MY, et al(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J Korean Soc Occup Ther. 22(2), 89-11. 

  17. Lee KH(2019).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senile dementia patients.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8. McCann JJ, Hebert LE, Li Y, et al(2005). The effect of adult day care services on time to nursing home placement in olde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Gerontologist, 45(6), 754-763. 

  19. Nam KS, Hwang ON, Hwang HY, et al(2002). A basic survey for management of elderly day care centers. Korean J Rehabil Nurs, 5(2), 180-192. 

  20. National Institute on Adult Day Care(1990).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adult day care. Washington, The National Council on the Aging, Inc., pp.37-68. 

  21. Notoh H, Yamada T, Kobayashi N, et al(2014). Examining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Brit J Occup Ther, 77(10), 516-525. 

  22. Park CO, Chung YB(2005). A study on operation and space use the actual conditions of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Architectural Research, 25(1), 343-346. 

  23. Park SI, Noh EA(2019a).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enior brain block program(s-bbp) for elderly in day care service. Asia-Pac J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7), 649-656. 

  24. Park SI, Noh EA(2019b). The effect of senior brain block(s-bb)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daily living ability,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sia-pacific J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4), 547-554. 

  25. Park WG, Lee TY, Jeong YJ, et al(2002).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and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in the urban elderly, Chungnam Med J, 29(1), 71-87. 

  26. Park YH(2007). The current status of adult day care in Korea : Operation, staffing, and service. J Korean Acad Nurs, 37(4), 613-623. 

  27. Schmediler J, Mohs RC, Aryan M(1998). Relationship of disease severity to decline on specific cognitive and functional measures in Alzheimer's disease. Alzheimer Dis Assoc Disord, 12(3), 146-151. 

  28. Shin JI, Yang YA(2009).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present status in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1(1), 11-19. 

  29. Shin SJ, Lee JS, Kim SK, et al(2013). The effect of a group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r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J Korean Soc Occup Ther, 21(3), 45-60. 

  30. Song BN, Kang JH, Lee JS(2015).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for dementia in the community. J Korean Soc Occup Ther, 23(1), 53-71. 

  31. Warren S, Kerr JR, Smith D, et al(2003). The impact of adult day programs on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relatives. J Community Health Nurs, 20(4), 209-221. 

  32. Bus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 A study on the certification of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Busan, 2014. Available at http://www.bswdi.re.kr/homepage/default/page/subLocation.do?menu_no10010401 Accessed January 20, 2020. 

  33.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Manual for person centered cognitive support service, 2019. Available at http://www.longtermcare.or.kr/npbs/e/a/110/npea110m01. web Accessed January 20,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