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Self-Reported Measurement fo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1, 2020년, pp.37 - 46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조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강문주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lf-reported measurement fo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In this study,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is defined as the overall individual ability that is necessary for an engineer for his/her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engineering design. This mea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학설계 역량 요인과 하위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하여 ‘지식 이해 및 활용 역량’,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문제 해결 역량’, ‘팀워크 역량’, ‘자기 관리 역량’의 6개 요인과 42개의 하위 요인을 도출하였다.
  • 공학설계 역량은 단순한 능력적인 부분만이 아닌 의사결정 과정을 포함하는 잠재적 능력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응답자 자신의 판단에 의해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설계 역량 측정을 위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 공학교육에서 공학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공학설계와 관련된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도구가 충분하지 않은 것은 효율적인 공학설계 교육의 발전에 걸림돌 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공학자가 갖추어야 할 공학설계와 관련된 종합적인 능력을 역량으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는 ‘설계 수행 역량’, ‘경제·사회적 영향 고려 역량’, ‘수학·과학적 지식 활용 역량’, ‘팀워크 역량’, ‘설계 중심 사고 역량’, ‘자료 수집 및 활용 역량’의 6가지 요인과 총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첫째, 이 연구에서는 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공학설계 역량은 공학설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공학설계 역량과 공학설계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예측 타당도(predictive validity)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학설계란? 공학설계는 공학 활동의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다. 공학은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적이고 경제적이며 인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영제, 1998), 공학설계는 구체적인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제품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적인 창조 행위이자 평가 행위로 정의되며(Dym, 1994), 예술적 행위와 달리 사회에서 요구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시스템, 요소, 프로세스를 고안하는 과정으로 정의되고 있다(ABET, 1997). 공학설계는 일련의 과정을 수반함에 따라 공학설계에 포함되는 능력은 다양한 영역에 걸쳐 여러 요소 들을 포함한다.
공학설계 역량은 무엇을 고려해야하는가? 공학설계 역량은 공학설계를 통해 성과를 내는 것보다 성과를 내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다. 단순히 한 직무와 일(task)을 통해 ‘문제(problem)’를 ‘해결(solve)’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모든 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문제 상황의 인식, 문제 해결을 위한 팀 활동, 기반 지식, 의사소통, 고찰, 고찰의 텍스트화 등 공학설계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공학설계에 요구되는 능력은? 공학설계는 일련의 과정을 수반함에 따라 공학설계에 포함되는 능력은 다양한 영역에 걸쳐 여러 요소 들을 포함한다. 공학설계에 요구되는 능력은 설계 능력 외에도 팀워크 능력, 시각화 능력, 경험 등과 같은 여러 능력들이 포괄적으로 포함 가능하다(김태훈 외, 2005). 공학설계 능력은 사회적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계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고석준(2007).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 김성일(2014). 예비 기술 교사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91-110. 

  3. 김은주.성명희(2018).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 분석.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017(4), 93-109. 

  4. 김태우(2014).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설계. 석사학위논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5. 김태훈.이소이.노태천(2005).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공학교육연구, 8(3), 49-56. 

  6.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7. 박신영 외(2018).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능력 교육요구도 분석. 공학교육연구, 21(2), 7-16. 

  8. 백남진.온정덕(2014).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과정연구, 32(4), 17-46. 

  9.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10. 소경희 외(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11. 손화철(2011). 공학설계와 기술철학. 철학연구, 94, 107-136. 

  12. 양은하(2010).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3. 유영제(1998). 공학과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편), 과학교육에서 STS 접근 학술대회 논문집(pp. 33-48). 

  14. 이강.한윤식.김경미(2013). 공학교육방법 및 프로그램: 제 3세계 현지인과 함께하는 적정기술 공학설계 워크숍의 교육적 효과. 공학교육연구, 16(2), 3-10. 

  15. 이경희 외(2010).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1-15. 

  16. 이애화.최명숙(2014).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0(4), 561-588. 

  17. 이창훈(2008). ADDIE 모형에 터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1), 131-146. 

  18. 이현영(2010).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과 교수역량,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강의평가 간의 관계규명.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이홍민(2005). 팀장의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 장용철.김건국.김민철(2013). 창의설계입문의 PBL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공학교육연구, 16(2), 78-85. 

  21. 천경희(2010). 역량기반 의학교육 모델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2. 최유현(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112. 

  23. 한국기업교육학회(2010). HRD 용어사전. 서울: 중앙경제. 

  24. 한지영(2011).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4(1), 64-73. 

  25.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1997). Criteria for Accrediting Programs in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Author. 

  26. Athey, T. R., & Orth, M. S.(1999). Emerging competency methods for the futuer. Human Resource Management, 38(3), 215-226. 

  27. Dym, C. L.(1994). Engineering Design : A Synthesis of Vi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Fletcher, S.(1991). NVQs, standards and competence: A practical guide for employer, management and trainers. London: Kogan Page. 

  29. Hoffmann, T.(1999) The Meanings of Competenc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3, 6: 275-285 

  30. Kline, R. B.(2004).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Guilford publications. 

  31.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32. Longman(2014).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6th ed.). New York: Pearson Longman. 

  33. Mc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34. Mirabile, R.(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51(8), 73-77. 

  35.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2002). Defining and assessing learning: Exploring competency-based initiatives (NCES 2002-159). Retrieved July 27, 2004. 

  36.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37. Rex B., & Kline. R. B.(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38. Rychen, D. S., & Salganik, L. H.(2003). Highlights from the OECD Project Definition and Selection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DeSeCo). Neuchatel: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39. Thompson, B. S.(1998). Creative Engineering Design(4th ed.). Okemos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