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Resilience, Family Fun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n Mental Health of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2, 2020년, pp.116 - 125  

송순택 (행복일자리운동본부 경기도지부) ,  최희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원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중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T검증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과정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감정조절을 낮게 지각할수록 우울불안이 높아져 정신건강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아탄력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정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적응 과정의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 다문화가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의 제도적 보완 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go-resilience, function of family, stress of adapting to a new culture perceived by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Gyeonggi-do on their mental health. In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suggest effective supportive visits to enhance their mental health. For t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실천적 차원에서 이를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도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이들의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원조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거주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모색과원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거주지역을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축소판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고, 다른 어떤 지자체보다 예산의 상당 부분을 사회복지 분야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거주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모색과원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차별이나 놀림, 따돌림을 받는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차별이나 놀림, 따돌림의 경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엄마나 아빠가 외국인이기 때문’이 36%로 가장 많았으며, ‘특별한 이유없이’(29.4%), ‘말이 안 통해서(15.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원조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을 때 그 결과는?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중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과정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감정조절을 낮게 지각할수록 우울불안이 높아져 정신건강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아탄력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정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적응 과정의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 다문화가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의 제도적 보완 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2018년 경기도 거주 다문화가정 전체 초중고의 자녀 수는 몇 명인가? 경기도는 전국에서 국제결혼이민자의 수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수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1995년 이후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이 취학연령으로 진입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1]. 2018년 경기도 거주 다문화가정 전체 초중고의 자녀 수는 23,027명이며 이중 중ㆍ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5,515명으로 전체의 23.9%를 보이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 S. Jeon, Y. M. Lim, J. S. Yang & E. J. Lee. (2010).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Support Plans of Youth Gyeonggi-do Multicultural Families. Gyeonggi-do Women's Research Institute. 

  2. Y. H. Kim, J. G. Park, N. R. Hwang & H. L. Ju. (2018). Establishment of Gyeonggi-do Multicultural Policy Master Plan (2019 - 2023). Gyeonggi-do Family & Women Research Institute. 

  3. H. J. Shin. (2007).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the Ego-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4. J. H. Seo. (2009). Impact of Self-Concept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 H. K. Kim. (2011). A Study on the School Adaptation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Doctoral's Thesis,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6. H. R. Kim, J. Y. Yeo, J. J. Jeong & S. H. Baek. (2012).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Research Report 2012-1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7. S. H. Lee & S. H. Lee. (2013). Children's Mental Health in Multicultural Family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4(3), 124-131. DOI : 10.5765/jkacap.2013.24.3.124 

  8. D. H. Seol, Y. T. Kim, H. M. Kim, H. S. Yoon, H. K. Lee, K. T. Lim, K. S. Jeong, Y. S. Ju & G. S. Han. (2005). Foreign Wives' Life in Korea :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9. S. B. Oh. (2005). A Case Study on the Growing of Kosian Children and Its Soci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 61-83. 

  10. Y. D. Cho. (2006). Survey on the Status of Children's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Policy Research Project 2006-Issue-3,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1. M. A. Gibson. (2001). Immigrant Adaptation and Patterns of Acculturation. Human Development, 44(1), 19-23. DOI : 10.1159/000057037 

  12. J. W. Kang. (2012).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Ethnically-based Sporting Culture Among the 1.5-2nd Generation Korean-Australian Children. Studies of Koreans Abroad, 27, 7-59. 

  13. A. G. Gil, W. A. Vega & J. M. Dimas. (1994). Acculturative Stress and Personal Adjustment among Hispanic Adolescent Boy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2(1), 43-54. DOI : 10.1002/1520-6629(199401)22:13.0.co;2-t 

  14. S. G. Eun.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Bicultural Childre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Doctoral's Thesis,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5. I. O. Jang & H. A. Kim. (2014). The Influence of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ve Stress of 1.5 Generation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on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Studies on Korean Youth, 25(1), 59-84. DOI : 10.14816/sky.2014.02,72.59 

  16. J. H. Block & J. Block.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Vol. 13).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pp.39-101). Hilsdale, NJ: Erlbaum. 

  17. H. H. Yoon, C. H. Hong & J. H. Lee. (2001). Development of Parent form Ego-Resilience Scale, Psychological Science, 10(1), 33-53. 

  18. J. W. Lee, H. K. Yu & H. S. Shin. (2009).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Ego-Resilience of Low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Utilization of Role Play. Child Education, 18(3), 201-212. 

  19. H. O. Kim. (2010).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 Network on Self-Perceived Competenc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l'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 D. I. Min. (2007).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School Life Health and Ego-Resilience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Doctoral's Thesis,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1. S. J. Kim. (2013).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Language Problems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y: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Family Strength.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2. M. H. Kim.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Family Cohesion &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3. D. H. Olson, C. S. Russell & D. H. Sprenkle. (1980). Marital and Family Therapy: A Decade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4), 973-993. DOI : 10.2307/351836 

  24. Y. H. Ahn. (1988).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and Male Adolescents' Mental Health.. Doctoral'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5. H. J. Kang.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6. S. B. Jeong.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amily Function and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 City.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7. T. S. Kim.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Doctoral's Thesis, Ha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8. J. Y. Kim. (1997). A Study on Child Mental Health by Family Func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9. H. H. Kim. (2007). The Actual State and Task of Multicultural Welfare for Children and Juveniles, Journal of Koran Society for Youth Protection and Guidance, 11, 75-92. 

  30. K. S. Jeon. (2009).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Normal Family in Gyeonggi Prefecture - Based o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Youth Counseling Research, 16(1), 167-185. DOI : 10.35151/kyci.2008.16.1.011 

  31. S. M. Yang. (2007). Variables Impact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Life Happiness of the Women Marriage Migrants Family's Children in Rura.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Women, 12(4), 559-576. DOI : 10.18205/kpa.2007.12.4.008 

  32. S. H. Park, W. T. Cho & J. H. Lee. (2008). A Study of Social Adjustment and Related Variable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Community Welfare, 27, 53-76. 

  33. Y. J. Lee. (2008). Adjustment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e Families: A Study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Korean Family Welfare, 13(1), 79-101. 

  34. H. J. YONG. (2009). The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Immigrant Wmen on the Mntal Health of their Children.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35. M. J. Yeom. (2011).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he Mental Health of 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36. M. J. Yeom & Soo Yang. (2014). A Study on the Maternal Cultural and Emo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ren's Mental Health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Mental Nursing, 23(1), 1-11. DOI : 10.12934/jkpmhn.2014.23.1.1 

  37. K. J. Oh. (1997). K-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 Seoul : Central Appointment Publisher. 

  38. A. Oshio, M. Nakaya, H. Kaneko & S. Nagamine.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35, 57-65. 

  39. D. H. Olson, J. Portner & Y. Lavee. (1985). "Faces III"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mily Social Science.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40. G. Y. Jeon. (1994). The Effects of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System Typ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Their Adaptation.. Doctoral'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41. F. J. Mena, A. M. Padilla & M. Maldonado. (1987). Acculturative Stress and Specific Coping Strategies among Immigrant and Later Generation College Student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9, 207-225. DOI : 10.1177/07399863870092006 

  42. G. R. Lee. (2011).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Mental Health in North Korean Defector Youth: The Mediating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Modern Society and Multiculturalism, 1(1), 157-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