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중심 실무능력향상 교육모델(FO-CUP)의 융합적 효과성 연구: H대학 작업치료실습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ield-Oriented Capacity Upgrade Model(FO-CUP): H University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2, 2020년, pp.193 - 200  

김금숙 (혜전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임상중심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모델인 Field Oriented Capacity Upgrade Program을 제안하였다. 제시한 교육모델과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방식을 비교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제시한 모델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대조 집단으로 나누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은 3학기에 걸쳐 교육에 참여한 총1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진행하였다. 제시한 학습방식을 적용하여 교육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각각 22%, 18%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이번 연구는 작업치료 임상실무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고, 다양한 직무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로 의미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s the Field Oriented Capacity Upgrade Program, an educational model for improving clinical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students was compared by comparing the proposed educational model wit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O-CUP은 작업치료 직무 현장에서 직면하는 실무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선별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중심 실무능력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한 교육운영 모델이다.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통해 전공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FO-CUP의 운영체계는 Fig.
  • 본 연구는 임상중심실무능력 향상교육모델(FO-CUP)을 제안하였고, 제안한 교육모델을 이용한 교수학습방법과 강의식교수학습방법간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이다
  • 따라서 대학교육을 통해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여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즉시 실무에 투입 이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작업치료 교육과정에서 실제 내담자를 대상으로 실전수업을 적용한 임상실 무능력향상교육 모델(FO-CUP)을 적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가 시도한 교육모델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서 작업치료 교육과정 내 임상실무능력 향상 교육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연구는대학의중요한교육목표인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작업치료 직무의 핵심역량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 수-학습방법 개발하였다.
  • 특히, 김경미, 장기연, 이향숙, 장문영의 연구에서 학교에서의 직무중심 교육의 부족 을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 있다[25].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교육목표가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현장업무에 대처할 수 있는 실무능력 향상이 목표인 직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 적용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모델을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한 것에서 의미가 있다
  • 작업치료교육의 새로운 시도로 학교교육에서 교수의 지도하에 실제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중심실무 능력 향상 교육모델(Field Oriented Capacity Upgrade Program, 이하 FO-CUP)을 소개하고 FO-CUP 학습방식과 전통적 강의식 학습방식을 비교 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O-CUP이란 무엇인가? FO-CUP은 작업치료 직무 현장에서 직면하는 실무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선별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중심 실무능력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한 교육운영 모델이다.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통해 전 공 실무능력을향상시키기위한 목적으로개발되었다.
FO-CUP의 개발 목적은 무엇인가? FO-CUP은 작업치료 직무 현장에서 직면하는 실무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선별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중심 실무능력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한 교육운영 모델이다.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통해 전 공 실무능력을향상시키기위한 목적으로개발되었다. FO-CUP의 운영체계는 Fig.
FO-CUP은 어떠한 효과와 제한점이 있는가?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실제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현장을 그대로 반영하여 학습자에게 현 실감 있게 제공하지 못하는 등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FO-CUP의 모델을 개발하고 시도하였으며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나 작업치료 직무를 국한적으로 연구되었다는 제한점이 있어 향후 다양한 직무의 특성에 맞는 FO-CUP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 J. Hong. (2002). The effects of a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on elementary 4th graders' social studies achievement and learning strategy us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J. H. Seo. (2012). Impact of Team 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Seonam University, Chonnam. 

  3. F. Greenwood. (2000). Critique of the graduate nurs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9(5), 231-233. 

  4. S. Y. Park & E. Y. Yoo. (2002).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0(2), 99-108. 

  5. S. H. Lee, M. H. Kim & K. S. Sun. (2007). The Clinical Competence and Related and Related Factors of the Nursing Students: Focused on the Subjects Who Studied Problem-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5), 753-762. 

  6. Y. J. Son, E. Y. Choi & Y. A. Song. Effects of a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on Health Education for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2), 207-216. 

  7. W. S. Lee, K. C. Cho, S. H. Sun, Y. S. Roh & G. Y. Lee.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8. H. J. Choi. (2004).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the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712-721. 

  9. B. M. Yalcin, T. F. Karahan. D. Karadenizli & E. M. Sahin. (2006). Short-term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on students self-directed skills development. Croatian Medical Journal, 47(3), 494-8. 

  10. M. E. Rahman, S. Rahman & A. K. Musa. (2004). Knowledge and attitude of clinical students on problem-based learning. Mymensingh Medical Journal, 13(2), 125-9. 

  11. R. Tayyeb. (2013). Effectiveness of problem based learning as an instructional of tool for acquisition of content knowledge and promotion of critical thinking among medical students. Journal of the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Pakistan, 23(1), 42-6. 

  12. E. S. Park. (2010). Applying Team Based Learning in College Course for Enhancing Team Communication.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7, 171-199. 

  13. Y. M. Lee. (2006). A Correlational Study of Social Familiarity and Leaners'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in Web-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0(3), 307-314. 

  14. A. R. Cho. (2008). Tips for Effective Team-Based Learning Administration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4), 373-374. 

  15. H. J. Cho & Y. M. Lee. (2008). Investigating Conceptual Framework on Team-Based Learning for Improving Learning Process and Performance. The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6(2), 27-42. 

  16. S. J. Chae & M. Y. Hwang. (2009).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er assessment results and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a team based learning objected o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9(3), 536-544. 

  17. M. C. Clark, H. T. Nguyen, C. Bray & R. E. Levine. (2008). Tea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3), 111-117. 

  18. D. W. Johnson, R. T. Johnson & K. A. Smith. (1998). Cooperative learning returns to college: What evidence is there that is works? Change, 30(4), 26-35. 

  19. E. H. No & K. I. Min. (2002). Teaching . learning methodology; for Pract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Dongmunsa, Seoul. 

  20. S. B. Kim, H. S. Lee & S. G. Chae. (200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on the Simulation-Problem Based Learning (S-PBL) Curriculum.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3), 23-38. 

  21. Y. J. Ko. (2013). The application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clinical scenario.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3(5), 77-80. 

  22. M. Y.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Readiness in HRD Compan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of Their Employe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ha University, Incheon. 

  23. S. J. Lee.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24. S. J. Park. (2014).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Learning Attitud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Infant C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angJu. 

  25. K. M. Kim, K. Y. Chang, H. S. Lee, M. Y. Chang, H. Kim & E. K. Hong. (2017).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4), 87-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