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혁신정책 조합이 중소기업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 재정지원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Innovation Policy Mix on SME R&D Investment: Focusing on Financial Instrum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1 - 12  

김기만 (녹색기술센터 정책연구부) ,  이수연 (덕성여자대학교 교육혁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기업의 R&D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자금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공공 자금지원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기존 문헌들은 주로 단일 정책에 초점을 두며 다른 정책도구의 잠재적인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중심을 두고 대표적인 재정지원 도구인 자금지원과 세제지원의 조합이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3개년 (2015-2017) 자료를 기반으로 고정 효과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책조합은 중소기업 R&D 투자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상호 보완적이다. 둘째, 조세지원의 영향을 통제하는 경우에도 자금지원은 중소기업 R&D 투자와 정적인(+)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의 R&D 투자 촉진을 위한 우리나라의 재정지원에 대한 정당성을 의미한다. 또한 자원과 역량에 대한 제약이 있는 중소기업에게 있어 특히 자금지원이 유용한 정책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provides a financial assistance to stimulate firm R&D and innovation activities. Previous papers on the impact of public subsidies on firm R&D investments mainly had a focus on an individual policy tool regardless of potential impacts of other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addresses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2015년~2017년의 중소 기업기술통계 통합 자료를 바탕으로 고정효과 패널 회귀(fixed effect panel regression)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3개년 조사 시점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패널 회귀분석을 통해 기업의 미 관측 이질성을 고려함으로써 정책효과 분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생성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정책평가의 관점에서 공공 재정지원의 조합에 초점을 두고 중소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초점을 두고 자금지원과 조세 지원의 조합, 그리고 숨겨진 처치 편의를 고려한 자금 지원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논의를 바탕으로 자금지원과 조세지원의 조합의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R&D 투자에 대한 정책지원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혁신활동과 관련을 가지는 기업의 일반 특성과 연구개발 특성을 통제하였다. 먼저 기업의 규모와 연령을 고려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지 원과 조세지원의 정책조합이 R&D 투자에 미친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통계는 OECD 기술혁신조사, 국내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 등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기술개발활동을 측정한다[53]. 중소기업통계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며, 중소기업 기술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에 본 연구의 분석 목적에 부합한다고 판단하였다. 2003 년에 1차 조사가 시행된 이후 2년 주기로 수행되었으며, 2014년부터 매년 수행되고 있다[54].

가설 설정

  • 가설 1 공공 재정지원 조합(자금지원, 조세지원)은 중소기업의 R&D 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자금지원은 세제지원의 영향을 배제하는 경우에도 중소기업의 R&D 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 정책지원의 효과성으로 다루어지는 부가성의 개념은 무엇으로부터 기인하였는가? 공공 정책지원의 효과성으로 다루어지는 부가성의 개념은 기업의 R&D 저투자를 극복하기 위한 시장실패 관점으로부터 기인하였다[24]. 부가성은 공공 정책 지원이 없는 반 사실적 상황에 비해 정책개입이 야기한 기업 R&D와 혁신 활동의 변화를 의미한다[25].
혁신정책 조합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적 요소는 무엇인가? 혁신정책 조합은 기업의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혁신 관련 정책도구들의 조합을 의미한다[43]. 혁신정책 조합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적 요소는 크게 네 가지로 정책 공간, 거버넌스 공간, 지역적 공간과 시간이다[41]. 정책조합을 평가하는 것은 주어진 정책 공간에서 각기 다른 정책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43].
정책평가의 관점에서 공공 재정지원의 조합에 초점을 두고 중소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자금지원과 조세지원의 정책조합은 중소기업의 R&D 투자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정책조합이 기업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효과의 긍정적인 영향을 밝힌 연구들을 지지한다[15,50,51]. 특히, 본 연구에서 정책조 합의 영향력은 자금지원의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에 초점을 둔 Radas 등(2015)의 연구와 일관성을 가지며[47],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기업유형을 대상으로 분석한 후 정책조합의 영향력이 자금지원에 비해 낮아진다는 것을 실증한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 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중소기업에 중심을 둔 기업규모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세지원의 영향을 배제하는 경우에도 자금지원의 영향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금지원의 영향이 배제된 조세지원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이 자체자금의 사용보다는 외부로부터 확보한 자금에 기반 한 R&D 활동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중소기업의 R&D 투자를 촉진하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공 자금지원은 유용한 정책도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9)

  1. J. A. Schumpeter.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2. K. J. Arrow. (1972). Economic welfare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for invention. In Readings in industrial economics, 219-236. Palgrave, London. 

  3. R. R. Nelson. (1959). The simple economics of basic scientific researc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7(3), 297-306. 

  4. OECD. (2017).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2017. 

  5. J. Edler, P. Cunningham, A. Gok & P. Shapira. (2016). Handbook of Innovation Policy Impact. Edward Elgar: Cheltenham and Northampton. 

  6. A. Bellucci, L. Pennacchio & A. Zazzaro. (2019). Public R&D subsidies: collaborative versus individual place-based programs for SMEs. Small Business Economics, 52(1), 213-240. 

  7. H. Hottenrott & C. Lopes-Bento. (2014). (International) R&D collaboration and SMEs: The effectiveness of targeted public R&D support schemes. Research policy, 43(6), 1055-1066. 

  8. B. Jeon. (2019). A Review of Studies on the Influence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o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2(1), 84-95. 

  9. D. Czarnitzki. & J. Delanote. (2015). R&D policies for young SMEs: input and output effects. Small Business Economics, 45(3), 465-485. 

  10. R. Rothwell. (1989). Small firms, innovation and industrial change. Small Business Economics, 1(1), 51-64. 

  11.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Statistics on SMEs. https://www.mss.go.kr/site/smba/foffice/ex/statDB/MainSubStat.do. 

  12. A joint of Related Ministries. (2018). Outcome of Innovation Growth and Future Plan. 

  13. F. Castellacci & C. M. Lie. (2015). Do the effects of R&D tax credits vary across industries? A meta-regression analysis. Research Policy, 44(4), 819-832. 

  14. C. Dimos & G. Pugh. (2016). The effectiveness of R&D subsidies: A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evaluation literature. Research Policy, 45(4), 797-815. 

  15. M. Guerzoni & E. Raiteri. (2015). Demand-side vs. supply-side technology policies: Hidden treatment and new empirical evidence on the policy mix. Research Policy, 44(3), 726-747. 

  16. M. Marino, S. Lhuillery, P. Parrotta & D. Sala. (2016). Additionality or crowding-out? An overall evaluation of public R&D subsidy on private R&D expenditure. Research Policy, 45(9), 1715-1730. 

  17. P. Cunningham, J. Edler, K. Flanagan & P. Laredo. (2016). The innovation policy mix, In J. Edler, P. Cunningham, A. Gok & P. Shapira. (Eds.), Handbook of Innovation Policy Impact, 505-542, Edward Elgar: Cheltenham and Northampton. 

  18. J. Foreman-Peck. (2013).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ME innovation policy. Small Business Economics, 41(1), 55-70. 

  19. D. Radicic, G. Pugh & D. Douglas. (2018). Promoting cooperation in innovation ecosystems: evidence from European traditional manufacturing SMEs. Small Business Economics, 1-27. 

  20. J. Kim. (2019). Direct Support vs. Indirect Support: Exploration of Policy Mix for R&D Investment of SME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7(1), 1-43. 

  21. A. Caloffi, M. Mariani, F. Rossi & M. Russo. (2018). A comparative evaluation of regional subsidies for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R&D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Research Policy, 47(8), 1437-1447. 

  22. B. C. Cin, Y. J. Kim & N. S. Vonortas. (2017). The impact of public R&D subsidy on small firm productivity: evidence from Korean SMEs. Small Business Economics, 48(2), 345-360. 

  23. H. Karhunen & J. Huovari. (2015). R&D subsidies and productivity in SMEs. Small business economics, 45(4), 805-823. 

  24. J. S. Metcalfe & L. Georghiou. (1997). Equilibrium and evolutionary foundations of technology policy. Manchester: Centre for Research on Innovation and Competition, University of Manchester. 

  25. T. Luukkonen. (2000). Additionality of EU framework programmes. Research Policy, 29(6), 711-724. 

  26. L. Bach & M. Matt. (2005), From economic foundations to S&T policy tool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ominant paradigms, In Innovation policy in a knowledge-based economy, 17-45, Springer, Berlin, Heidelberg. 

  27. A. Gok & J. Edler. (2012). The use of behavioural additionality evaluation in innovation policy making. Research Evaluation, 21(4), 306-318. 

  28. K. N. Kang & H. Park. (2012). Influence of government R&D support and inter-firm collaborations on innov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SMEs. Technovation, 32(1), 68-78. 

  29. M. Mariani & F. Mealli. (2018). The Effects of R&D Subsidies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vidence from a Regional Program. Italian Economic Journal, 4(2), 249-281. 

  30. P. Cunningham, A. Gok & P. Leredo. (2016), The impact of direct support to R&D and innovation in firms, In J. Edler, P. Cunningham, A. Gok & P. Shapira. (Eds.), Handbook of Innovation Policy Impact, 54-107, Edward Elgar: Cheltenham and Northampton. 

  31. J. Garcia­Quevedo. (2004). Do public subsidies complement business R&D? A meta­analysis of the econometric evidence. Kyklos, 57(1), 87-102. 

  32. B. Alecke, T. Mitze, J. Reinkowski & G. Untiedt. (2012). Does firm size make a difference? Analysing the effectiveness of R&D subsidies in East Germany. German Economic Review, 13(2), 174-195. 

  33. X. Gonzalez, J. Jaumandreu & C. Pazo. (2005). Barriers to innovation and subsidy effectiveness. RAND Journal of economics, 930-950. 

  34. X. Gonzalez & C. Pazo. (2008). Do public subsidies stimulate private R&D spending?. Research Policy, 37(3), 371-389. 

  35. L. Herrera & G. Sanchez-Gonzalez. (2013). Firm size and innovation policy.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31(2), 137-155. 

  36. E. Ozcelik & E. Taymaz. (2008). R&D support program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Turkish experience. Research Policy, 37(2), 258-275. 

  37. C. Paunov. (2012). The global crisis and firms' investments in innovation. Research Policy, 41(1), 24-35. 

  38. P. Cunningham, J. Edler, K. Flanagan & P. Laredo. (2013). Innovation policy mix and instrument interaction: a review. Nesta WP, 13/20. 

  39. M. Dumont. (2017). Assessing the policy mix of public support to business R&D. Research Policy, 46(10), 1851-1862. 

  40. A. V?tola. (2014). Innovation policy mix in a multi-level context: [40] The case of the Baltic Sea Region countries. Science and Public Policy, 42(3), 401-414. 

  41. K. Flanagan, E. Uyarra & M. Laranja. (2011). Reconceptualising the 'policy mix'for innovation. Research policy, 40(5), 702-713. 

  42. E. Magro & J. R. Wilson. (2013). Complex innovation policy systems: Towards an evaluation mix. Research policy, 42(9), 1647-1656. 

  43. S. Borras & C. Edquist. (2013). The choice of innovation policy instrument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80(8), 1513-1522. 

  44. I. Busom, B. Corchuelo & E. Martinez-Ros. (2014). Tax incentives... or subsidies for business R&D?. Small Business Economics, 43(3), 571-596. 

  45. D. Czarnitzki, P. Hanel & J. M. Rosa. (2011). Evaluating the impact of R&D tax credits on innovation: A microeconometric study on Canadian firms. Research Policy, 40(2), 217-229. 

  46. S. Radas, I. D. Anic, A. Tafro & V. Wagner. (2015). The effects of public support schemes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echnovation, 38, 15-30. 

  47. S. Oh, H. Kim & S. Y. Lee. (2019). Comparative study of Effectiveness in Governmental SME support Policy Tool mix. Innovation studies, 14(2), 33-75. 

  48. J. R. Brown, G. Martinsson & B. C. Petersen. (2017). What promotes R&D? Comparative evidence from around the world. Research Policy, 46(2), 447-462. 

  49. A. Caloffi, M. Freo, S. Ghinoi, F. Rossi & M. Russo. (2019). Is a policy mix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policies for SME innovation? An exploratory analysis. fteval Journal for Research and Technology Policy Evaluation, (47), 72-77. 

  50. C. Berube & P. Mohnen. (2009). Are firms that receive R&D subsidies more innovative?.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Revue canadienne d'economique, 42(1), 206-225. 

  51. D. Neicu, P. Teirlinck & S. Kelchtermans. (2016). Dipping in the policy mix: do R&D subsidies foster behavioral additionality effects of R&D tax credits?.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25(3), 218-239. 

  52. G. Kwak, Y. Yeo & S. Jung.. (2017). Effect of lump-sum subsidy and tax-rate reduction on a firms R&D investment - Focusing on R&D investment cost uncertainty with real options theory -. Innovation Studies, 12(4), 131-153. 

  53. Korea Small Business Institute. (2001). The Systematization of Survey on Technology of SMEs. 

  54.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2018). 2018 Survey on Technology of SMEs. KBIZ. 

  55. J. G. K. Song & H. J. Kim. (2009). The Effectiveness of Fiscal Policies for R&D Investment.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17(1), 1-48. 

  56. J. Jung. J. Kim, K. Choi & B. Lee. (2016).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on Firms R&D Spending.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10), 150-162. 

  57. T. Koga. (2005). R&D subsidy and self-financed R&D: The case of Japanese high-technology start-ups. Small Business Economics, 24(1), 53-62. 

  58. J. Heckman, H. Ichimura, J. Smith & P. Todd. (1998). Characterizing selection bias using experimental dat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No. w6699. 

  59. T. J. Klette, J. Moen & Z. Griliches. (2000). Do subsidies to commercial R&D reduce market failures? Microeconometric evaluation studies. Research policy, 29(4-5), 471-495. 

  60. D. Czarnitzki & C. Lopes-Bento. (2014). Innovation subsidies: Does the funding source matter for innovation intensity and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Germany. Industry and Innovation, 21(5), 380-409. 

  61. G. Cerulli, R. Gabriele & B. Poti. (2016). The role of firm RandD effort and collaboration as mediating drivers of innovation policy effectiveness. Industry and Innovation, 23(5), 426-447. 

  62. E. Duguet. (2012). The effect of the incremental R&D tax credit on the private funding of R&D an econometric evaluation on French firm level data. Revue d'economie politique, 122(3), 405-435. 

  63. R. Falk. (2007). Measuring the effects of public support schemes on firms' innovation activities: Survey evidence from Austria. Research Policy, 36(5), 665-679. 

  64. E. Huergo & J. Jaumandreu. (2004). How does probability of innovation change with firm age?. Small Business Economics, 22(3-4), 193-207. 

  65. J. M. Arnold & K. Hussinger. (2005). Export behavior and firm productivity in German manufacturing: A firm-level analysis. Review of World Economics, 141(2), 219-243. 

  66. W. M. Cohen & D. A. Levinthal.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67. Y. Caloghirou, I. Kastelli & A. Tsakanikas. (2004), Internal capabilities and external knowledge sources: complements or substitutes for innovative performance?, Technovation, 24(1), 29-39. 

  68. R. Veugelers. (1997). Internal R & D expenditures and external technology sourcing. Research policy, 26(3), 303-315. 

  69. B. Cassiman & R. Veugelers. (2002). R&D cooperation and spillovers: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Belgium, American Economic Review, 92(4), 1169-1184. 

  70. K. Laursen & A. Salter. (2006).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7(2), 131-150. 

  71. P. De Faria, F. Lima & R. Santos. (2010). Cooperation in innovation activities: The importance of partners. Research Policy, 39(8), 1082-1092. 

  72. M. Beck, C. Lopes-Bento & A. Schenker-Wick. (2016). Radical or incremental: Where does R&D policy hit?. Research Policy, 45(4), 869-883. 

  73. F. Szucs. (2018). Research subsidies,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innovation. Research Policy, 47(7), 1256-1266. 

  74. R. Ortega-Argiles, M. Vivarelli & P. Voigt. (2009). R&D in SMEs: a paradox?. Small Business Economics, 33(1), 3-11. 

  75. S. Appelt, M. Bajgar, C. Criscuolo & F. Galindo-Rueda. (2016). R&D Tax Incentives: Evidence on design, incidence and impacts. OECD. 

  76. M. P. Feldman & M. R. Kelley. (2003). Leveraging research and development: Assessing the impact of the US Advanced Technology Program. Small Business Economics, 20(2), 153-165. 

  77. A. Soderblom, M. Samuelsson, J. Wiklund & R. Sandberg. (2015). Inside the black box of outcome additionality: Effects of early-stage government subsidies on resource accumulation and new venture performance. Research Policy, 44(8), 1501-1512. 

  78. J. V. Blanes & I. Busom. (2004). Who participates in R&D subsidy programs?: The case of Spanish manufacturing firms. Research policy, 33(10), 1459-1476. 

  79. K. Smith. (2000). Innovation as a systemic phenomenon: rethinking the role of policy. Enterprise and innovation management studies, 1(1), 73-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