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경재배 인삼 뿌리와 잎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ydropoic-cultured Ginseng Roots and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1, 2020년, pp.58 - 63  

이연리 (대전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서정현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홍채영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길호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n hydropoic-cultured ginseng roots (HGR) and leaves (HGL). The samples were lyophilized, extracted with 80% ethanol, and then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 with conventional-cultured ginseng. Total polyphenol content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경재배 인삼의 뿌리와 잎줄기 부 분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토양재배 인삼과 비교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속이온 제거능의 수치가 높다면, 어떠한 부분에 활용이 될 수 있는가?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수경재배인삼보다 잎줄기 부분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 농축액, 그리고 환이나 알약 형태에 첨가되는 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인삼은 무엇인가? A.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효능을 인정받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약재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Ha & Ryu 2005). 산에서 야생하는 것을 산삼 또는 야생삼이라고 하고, 산의 임간에서 직파 또는 이식 재배하는 것을 산양삼 또는 장뇌삼이라고 부르며, 밭이나 논에서 재배하는 것을 인삼(재배삼)이라고 한다(Kim 등 1999).
토양재배인삼과 수경재배인삼의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1과 같다. 토양재배인삼은 128.85 mg/g의 총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수경재배인삼 및 잎줄기에는 각각 115.74 및 282.15 mg/g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어 수경재배인삼은 토양재배인삼에 비하여 낮은 함량을 보였지만, 수경재배인삼의 잎줄기 부분은 토양재배인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Joung 등(2010)은 토양재배인삼의 경우 뿌리보다는 잎에서 더 높은 항산화력이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실험의 수경재배인삼에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함량이 뿌리보다는 잎줄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vakian EV, Evonuk E. 1979.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tissue glycogen and adrenal cholesterol depletion during prolonged exercise. Planta Med 36:43-48 

  2. Benishin CG. 1992. Actions of ginsenoside Rb1 on choline uptake in central cholinergic nerve endings. Neurochem Int 21:1-5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Brekhman II, Dardymov VI. 1969.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Ann Rev Pharmacol 9:419-430 

  5. Cho SM, Park JS, Kim KP, Cha DY, Kim HM, Yoo ID. 1999. Chemical features and purific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from the fruit bodies of Agaricus blazei. Korean J Mycol 27:170-174 

  6.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4959-4964 

  7. Ha DC, Ryu GH. 2005.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247-254 

  8. Huo YS, Chen Y, Yu ZY, Zhang PY. 1988. The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GS) on insulin and corticosteroid receptors. J Tradit Chin Med 8:293-295 

  9. Jang HY. Park HS, Kwon KR, Rhim TJ. 200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among wild ginseng, cultivated wild ginseng, and cultivated ginseng extracts. J Pharmacopunct 11:67-78 

  10. Jeon BH, Seong GS, Chun SG, Sung JH, Chang CC. 2005. Antioxidative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on liver of high fat diet-treated mice. J Ginseng Res 29:138-144 

  11. Joo CN, Koo JH, Lee HB, Yoon JB, Byun YS. 1982. Biochemical studies on the absorption of ginseng saponin and its effect on metabolism in animal body. Korean Biochem J 15:189-199 

  12. Joung EM, Hwang IG, Lee MK, Cho SK, Chung BH, Jo SJ, Lee SH, Lee JS, Jeong HS. 2010. Ginsenoside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ultured and mountain ginseng. J Agric Life Sci 44:61-67 

  13. Kikuchi Y, Sasa H, Kita T, Hirata J, Tode T, Nagata I. 1991. Inhibition of human 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vitro by ginsenoside Rh2 and adjuvant effects to cisplatin in vivo. Anticancer Drugs 2:63-67 

  14. Kim H, Chen X, Gills CN. 1992. Ginsenosides protect pulmonary vascular endothelium against free radical induced- injuced injury.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9:670-676 

  15. Kim JY, Park JY, Lee KU. 1994. Diabetes and traditional medicine: Effect of several traditional drug on the plasma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Diabetes Metab J 18:377-381 

  16. Kim SH, Kim DH, Lee TH. 1999. Herb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radix and strategy for future research. J Ginseng Res 23:21-37 

  17. Kitakawa I, Taniyama T, Yoshikawa M, Ikenishi Y, Nakagawa Y. 1989.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VI. Chemical structures of malonyle-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isolated from the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Chem Pharm Bull 37:2961-2970 

  18. Lee JW, Park CK, Do JH.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from Korean red ginseng. J Ginseng Res 29:44-48 

  19. Lee KS, Seong BJ, Kim GH, Kim SI, Han SH, Kim HH, Baik ND. 2010. Ginsenoside,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s of fermented ginseng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94-1200 

  20.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519-526 

  21. Nam KY. 2002. Clinical applications and efficacy of Korean ginseng. J Ginseng Res 26:111-131 

  22.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In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pp.241-251.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23. Saito H, Bao T. 1984. Effect of red ginseng on mice exposed to various stress. Proc 4th Int Ginsneg Symp. Seoul, Korea 

  24. Saito H, Nishiyama N. 1988. Effect of ginseng and its saponins on experimental amnesis in mice and on cell cultures of neurons. Proc 5th Int Ginseng Symp. Seoul, Korea 

  25.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9-135 

  26. Singh VK, Agarwal SS, Gupta BM. 1984.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anax ginseng extract. Planta Med 50:462-465 

  27. Song YB, Kwak YS, Park KH, Chang SK. 2002. Effect of total saponin from red ginseng on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pregnant rats. J Ginseng Res 26:139-144 

  2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1231-1237 

  29. Yang DC, Choi HY, Kim YH, Yun KY, Yang DC. 1996. Growth and ginsenosides production of hairy root (Panax ginseng C. A. Meyer) via light energy. Korean J Ginseng Sci 20:318-324 

  30. Yen GC, Duh PD, Tsai H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307-3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