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 모드 2 kW급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 내의 광섬유 용융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iber Fuse in Single-mode 2-kW-class High-power Fiber Amplifiers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31 no.1, 2020년, pp.7 - 12  

이준수 (국방과학연구소) ,  이광현 (국방과학연구소) ,  정환성 (국방과학연구소) ,  김동준 (국방과학연구소) ,  이정환 (국방과학연구소) ,  조민식 (국방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단일 모드 2 kW급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에서 발생한 광섬유 용융 현상을 융착점 냉각 특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소개한다. 레이저 출력에 따른 펌프 광 결합기와 주증폭기 이득 광섬유 사이의 융착점 온도를 레이저 출력에 따라 측정하였다. 융착점 온도는 레이저 출력 1.2 kW까지는 20℃에서 32℃까지 온도 상승 기울기 0.01℃/W로 증가율이 작았으나 1.2 kW 이후부터 온도 상승 기울기 0.08℃/W로 융착점 온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1.96 kW 출력에서 동작 중 광섬유 용융 현상에 의해 광섬유 증폭기가 손상되었다. 손상된 펌프 광 결합기의 전송 광섬유 코어에는 광섬유 용융의 전형적인 탄환모양손상 형상이 나타났다. 이후 수냉식 냉각판을 적용하여 융착점 부위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 후 레이저 출력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최대 출력 2.05 kW에서 광섬유 융착점 온도는 35.8℃였고 레이저 출력에 따른 온도 상승 기울기는 0.007℃/W로서 급격한 증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광섬유 증폭기에서 광섬유 용융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최대 출력 2.05 kW에서 모드 불안정성 역시 발생하지 않았다. 최대 출력 2.05 kW까지 빔 프로파일은 안정적인 가우시안 형태였으며 빔 품질 1.3 이하를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fiber fuse in single-mode 2-kW-class high-power fiber amplifiers, depending on the cooling method at the splicing point. We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splicing point between the pump-signal combiner and gain fiber as a function of laser output p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 kW급 광섬유 증폭기에서 발생한 광섬유 용융 현상을 융착점 냉각 특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펌프 광 결합기와 이득 광섬유 사이의 융착점 온도를 레이저 출력에 따라 측정했으며 냉각 특성에 따른 온도 상승 기울기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중클래딩 Yb첨가 광섬유를 이용한 단일모드 2 kW급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에서 발생한 광섬유 용융현상을 펌프 광 결합기와 이득 광섬유 융착점의 냉각 특성에 따른 온도 변화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소개한다. 냉각성능 개선 전 레이저 출력에 따라 융착점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융착점 온도 상승 기울기는 레이저 출력 1.

가설 설정

  • 63 kW. (b) 1.74 kW. (c) 2.
  • (a) Measured output power as a function of pump power. (b) Measured temperature of the splicing point between the pump-signalcombiner and the gain fiber as a function of output power.
  • 광섬유 코어 20 µm에서 열이 발생한다고 가정했으며 열전도 물질은 5 W/m ‧ K로 실제 실험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 08°C/W로 변하면서 실리카 광섬유의 흡수가 급격하게 증가했을 것으로 판단된다[10]. 본 연구에서는 쿼츠 헤드블록(quartz head block) 타입의 수냉식 앤드캡과 상용 시준기(2-9670X01, Optoskand)를 사용했기 때문에 광섬유 끝 단반사나 먼지는 광섬유 용융의 원인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광섬유 앤드캡은 광섬유 용융 현상 이후에 손상되지 않았고 광섬유 용융 현상이 일어난 시작점은 광섬유 끝단이 아니라 온도가 가장 높은 펌프 광 결합기와 이득 광섬유 사이의 융착점이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섬유 용융 현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중클래딩 이득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레이저에서 발생한 광섬유용융 현상은 2012년 400 W급 출력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후kW급 출력에 대해 여러 보고가 있었다[13-15]. 광섬유 용융 현상의 원인으로는 광섬유 끝단의 먼지, 실리카 광섬유의 온도상승에 따른 광섬유 손실 증가 등 열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6]. 하지만 우리가 아는 한 아직까지 kW급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에서 융착점 냉각 성능이 광섬유 용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및 증폭기 구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28로회절 한계에 가까웠으며 모드 불안정성은 발생하지 않았다.본 연구를 통해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 구현을 위해서는 광섬유 융착점 냉각 성능과 온도 상승 기울기 분석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2 kW급 이상의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및 증폭기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의 장점은 무엇인가? 우수한 빔 품질, 열 방출능력, 안정성, 유지 보수의 편리성 등의 장점을 갖는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는 재료 가공, 비선형 파장 변환, 빔 결합 등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1-3]. 일반적으로 kW급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는 멀티모드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와 대구경 더블 클래딩 광섬유를 이용하여 구현되며 광섬유 레이저 고유의 장점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 광섬유 융착 기반 전-광섬유 구성이 선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 J. Richardson, J. Nilsson, and W. A. Clarkson, "High power fiber lasers: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 Opt. Soc. Am. B 27, B63-B92 (2010). 

  2. C. Jauregui, J. Limpert, and A. Tunnermann, "High-power fiber lasers," Nat. Photon. 7, 861-867 (2013). 

  3. M. N. Zervas and C. A. Codemard, "High power fiber lasers: a review," IEEE J. Sel. Top. Quantum Electron. 20, 0904123 (2014). 

  4. A. Liu,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 in single-frequency fiber amplifiers with delivery fibers," Opt. Express 17, 15201-15209 (2009). 

  5. G. Agrawal, Nonlinear Fiber Optics (Academic Press, Cambridge, US, 2012). 

  6. T. Eidam, C. Wirth, C. Jauregui, F. Stutzki, F. Jansen, H.-J. Otto, O. Schmidt, T. Schreiber, J. Limpert, and A. Tunnermann, "Experimental observations of the threshold-like onset of mode instabilities in high power fiber amplifiers," Opt. Express 19, 13218-13224 (2011). 

  7. Y. Fan, B. He, J. Zhou, J. Zheng, H. Liu, Y. Wei, J. Dong, and Q. Lou, "Thermal effects in kilowatt all-fiber MOPA," Opt. Express 19, 15162-15172 (2011). 

  8. Z. Huang, T. Y. Ng, C. P. Seah, S. H. T. Lim, and R. F. Wu, "Thermal modeling of active fiber and splice points in high power fiber laser," Proc. SPIE 7914, 79142W (2011). 

  9. R. Kashyap and K. J. Blow, "Observation of catastrophic self-propelled self-focusing in optical fibres," Electron. Lett. 24, 47-49 (1988). 

  10. Y. Shuto, S. Yanagi, S. Asakawa, M. Kobayashi, and R. Nagase, "Evaluation of high-temperature absorption coefficients of optical fibers," IEEE Photonics Technol. Lett. 16, 1008-1010 (2004). 

  11. E. M. Dianov, I. A. Bufetov, and A. A. Frolov, "Destruction of silica fiber cladding by the fuse effect," Opt. Lett. 29, 1852-1854 (2004). 

  12. J. Wang, S. Gray, D. Walton, and L. Zenteno, "Fiber fuse in high power optical fiber," Proc. SPIE 7134, 71342E (2008). 

  13. H. Zhang, P. Zhou, X. Wang, H. Xiao, and X. Xu, "Fiber fuse effect in high-power double-clad fiber laser," in Proc. Conference on Lasers and Electro-Optics Pacific Rim (Kyoto, Japan, Jun. 2013), paper WPD-4. 

  14. J.-Y. Sun, Q.-R. Xiao, D. Li, X.-J. Wang, H.-T. Zhang, M.-L. Gong, and P. Yang, "Fiber fuse behavior in kW-level continuous-wave double-clad field laser," Chin. Phys. B 25, 014202 (2015). 

  15. Q.-R. Xiao, J.-D. Tian, Y.-S. Huang, X.-J. Wang, Z.-H. Wang, D. Li, P. Yan, and M.-L. Gong, "Internal features of fiber fuse in a Yb-doped double-clad fiber at 3 kW," Chin. Phys. Lett. 35, 054201 (2018). 

  16. Q. Xiao, J. Tian, P. Yan, D. Li, and M. Gong, "Exploring the initiation of fiber fuse," Sci. Rep. 9, 11655 (2019). 

  17. R. Su, R. Tao, X. Wang, H. Zhang, P. Ma. P. Zhou, and X. Xu, "2.43 kW narrow linewidth linearly polarized all-fiber amplifier based on mode instability suppression," Laser Phys. Lett. 14, 085102 (2017). 

  18. K. Brar, M. Savage-Leuchs, J. Henrie, S. Courtney, C. Dilley, R. Afzal, and E. Honea, "Threshold power and fiber degradation induced modal instabilities in high power fiber amplifiers based on large mode area fibers," Proc. SPIE 8961, 89611R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