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라운필드 재개발이 주변 지역 주택소유회전 및 주거 안정성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 - 미국 오하이오주 쿠야호가 카운티를 중심으로 -
Spatial Impacts of Brownfield Redevelopments on Neighborhood Housing Turnover and Stability - Case Study of Cuyahoga County, Ohio in the US -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10 no.3, 2020년, pp.54 - 62  

우아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growing consensus among planners and policymakers that brownfield remedi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neighborhoods in terms of housing prices,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quality. However, there is a limited understanding of how brownfield redevelopments spatially affect neighborhood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브라운필드 재개발의 근린 생활권 내 주택소유회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라운 필드 재개발이 주변 지역 주택소유회전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추정하고, 주택가격 파급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와의 융합을 통하여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주변 지역의 주거안정성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 추정하였다. 또한, 브라운필드 재생 정책의 목적인 주거 안정성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정의 측면에서의 공간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이루어진 근린 생활권의 소득 특성 기반의 주택하부시장별로 계층화하여 서로 다른 파급효과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 위한 예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Esri Arc GIS 를 활용하여 1996년부터 2007년 사이에 쿠야호가 카운티 내에서 두 번째 거래가 일어난 주택의 공간적 밀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Getis-Ord GI* 기반의 공간자기상관분석(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및 역거리가중 보간법(Inverse Distance Weighted Interpolation)을 기반으로 한 핫스팟 분석 (Hot-spo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계량경제 모델 기반의 실증분석을 수행하기에 앞서, 브라운필드 재개발과 주택거래 현황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예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Esri Arc GIS 를 활용하여 1996년부터 2007년 사이에 쿠야호가 카운티 내에서 두 번째 거래가 일어난 주택의 공간적 밀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다양한 공간자료를 바탕으로 브라운필드 재개발의 주택 소유회전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계량경제모델을 설정한다. 주택소유회전에 대한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극복해야할 과제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 본 연구는 미국 러스트 벨트의 대표적 도시인 클리블랜드 (Cleveland)시가 위치한 오하이오주 쿠야호가 카운티(Cuyahoga county) 내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근린 생활권 내 주택 소유회전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추정한다. 본 연구는 주택거래(Housing sales transactions) 공간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브라운필드 재개발의 주택소유회전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Extend Cox Hazard 모델을 활용한다.
  • 본 연구는 미국 쿠야호가 카운티 내 브라운필드 재개발이 근린생활권 내 주택소유회전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브라운필드 재생 정책의 목적인 주거 안정성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정의 측면에서의 공간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이루어진 근린 생활권의 소득 특성 기반의 주택하부시장별로 계층화하여 서로 다른 파급효과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브라운필드 재개발이 주변 지역의 주택 소유회전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브라운 필드 재개발의 주택가격 파급효과를 살펴본 선행연구 결과와의 융합을 통하여 주거안정성 측면의 변화를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특히, 본 연구는 주택가격 파급효과를 추정한 선행연구 결과와의 융합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주변 지역의 “주거 안정성(Neighborhood stability)”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브라운필드 재생사업의 목적인 근린 생활권 주거안정성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정의(Social justice) 및 사회적 형평성(Social equity) 측면에서의 공간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이루어진 근린 생활권의 소득 특성별로 계층화(Stratification)하여 공간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의 주거 안정 효과 및 사회정의 파급효과를 규명하여, 유럽 및 북미, 아시아 지역의 브라운필드 재개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근린 생활권 내 “주택소유회전(Housing turnover)”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GIS 및 계량경제 실증분석을 통하여 추정한다. 특히, 본 연구는 주택가격 파급효과를 추정한 선행연구 결과와의 융합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주변 지역의 “주거 안정성(Neighborhood stability)”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및 계량경제 실증분석을 통하여 추정한다. 특히, 본 연구는 주택가격 파급효과를 추정한 선행연구 결과와의 융합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주변 지역의 “주거 안정성(Neighborhood stability)”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브라운필드 재생사업의 목적인 근린 생활권 주거안정성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정의(Social justice) 및 사회적 형평성(Social equity) 측면에서의 공간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브라운필드 재개발 사업이 이루어진 근린 생활권의 소득 특성별로 계층화(Stratification)하여 공간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dams, D., De Sousa, C., Tiesdell, S. (2010). Brownfield development: A comparison of North American and British approaches. Urban studies, 47(1), pp. 75-104. 

  2. Choi, Y. (2013). Policy Instruments for Brownfield Reuse Projects: A Case of Cleveland Metro Area.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3), pp. 219-244. 

  3. De Sousa, C. (2000). Brownfield redevelopment versus greenfield development: A private sector perspective on the costs and risks associated with brownfield redevelopment in the Greater Toronto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43(6), pp. 831-853. 

  4. De Sousa, C. (2001). Contaminated sites: The Canadian situation in an international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2(2), pp. 131-154. 

  5. De Sousa, C. A., Wu, C., Westphal, L. M. (2009). Assessing the effect of publicly assisted brownfield redevelopment on surrounding property values.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23(2), pp. 95-110. 

  6. Galster, G., Tatian, P., Smith, R. (1999). The impact of neighbors who use Section 8 certificates on property values. Housing Policy Debate, 10(4), pp. 879-918. 

  7. Greenberg, M., Lowrie, K., Mayer, H., Miller, K. T., Solitare, L. (2001). Brownfield redevelopment as a smart growth option in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ist, 21(2), pp. 129-143. 

  8. Kaufman, D. A., Cloutier, N. R. (2006). The impact of small brownfields and greenspaces on residential property values. Journal of Real Estate Finance and Economics, 33(1), pp. 19-30. 

  9. Kim, T.-K., Horner, M. W. (2003). Exploring spatial effects on urban housing dur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A, 35, pp. 1415-1429. 

  10. Kirkwood, N. (2001). Why is there so little residential redevelopment of brownfields? Framing issues for discussion. Retrieved from Cambridge, MA: 

  11. Koschinsky, J. (2009). Spatial heterogeneity in spillover effects of assisted and unassisted rental housing. Journal of Urban Affairs, 31(3), pp. 319-347. 

  12. Lee, S., Mohai, P. (2011). Racial and socioeconomic assessments of neighborhoods adjacent to small-scale brownfield sites in the Detroit region. Environmental Practice, 13(4), pp. 340-353. 

  13. McCarthy, L. (2009). Off the mark? Efficiency in targeting the most marketable sites rather than equity in public assistance for brownfield re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23(3), pp. 211-228. 

  14. Nathanail, C. P. (2011). Sustainable brownfield regeneration. In F. A. Swartjes (Ed.), Dealing with Contaminated Sites: From theory towards practical application (pp. 1079-1104). London: Springer. 

  15. Ross, C. E., Reynolds, J. R., Geis, K. J. (2000). The contingent meaning of neighborhood stability for resi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5, pp. 581-597. 

  16. Sampson, R. J. (1985). Neighborhood and crime: The structural determinants of personal victimiz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22(1), pp. 7-40. 

  17. Sampson, R. J., Groves, W. B. (1989). Community structure and crime: Testing social-disorganization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4), pp. 774-802. 

  18. Woo, A., Joh, K., Van Zandt, S. (2016a). Impacts of the Low-Income Housing Tax Credit program on neighborhood housing turnover. Urban Affairs Review, 52(2), pp. 247-279. 

  19. Woo, A., Joh, K., Van Zandt, S. (2016b). Unpacking the impacts of the Low-Icnome Housing Tax Credit program on nearby property values. Urban Studies, 53(12), pp. 2488-2510. 

  20. Woo, A., Lee, S. (2016). Illuminating the impacts of brownfield redevelopments on neighboring housing prices: Case of Cuyahoga County, Ohio in the US. Environment and Planning A, 48(6), pp. 1107-1132. 

  21. Woo A., Yu C. (2017). Beyond affordable shelters: Subsidized housing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for pedestrian safety. Applied geography 83: 37-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