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념미술 관점의 패션 타이포그래피
Fashion Typography from a Conceptual Art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109 - 117  

박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패션에서 사용하는 타이포그래피 표현을 개념 미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주요 개념인 타이포그래피와 개념 미술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개념 미술의 표현 특징인 레디메이드(ready-made), 자료 형식(documentation), 개입(intervention), 언어를 분석의 틀로 패션 타이포그래피에 적용하였다. 결과 레디메이드는 타 브랜드의 시각적 정체성을 차용하거나 변형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며 자료 형식은 제품에 동어 반복적 혹은 모순적 텍스트를 병치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개입은 맥락적으로 무관한 브랜드의 시각 아이덴티티를 차용할 때 더욱 복잡한 층위의 의미를 발생시키며 나타난다. 언어는 환경, 윤리적 소비, 젠더 문제 등 동시대의 사회적 이슈에 대한 발언의 도구로 사용된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는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자 사회적 발언의 매체가 될 수 있으며 흥미로운 시각 표현 방식이자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으로 확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ypographic expressions used in recent fashion trends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art and thus identify a variety of meanings. Towards this e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made vis-à-vis the main concepts of research, such as typography and conceptual ar...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념 미술의 방법론을 고찰 대상인‘패션 디자 인에서 활용되는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양태에 적용해 비교 분석하고, 패션이라는 매체에 적용된 타이포그래피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를 고찰하는 데 있어 개념 미술적 관점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타이포그래피의 역할과 표현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의의를 둔다

가설 설정

  • 또한 패션은 동시대 문화와 예술 에서 많은 영감과 영향을 받아왔으며 현재 영향력 있는 패션 디자이너로 평가되는 버질 아블로(Virgil Abloh)는 2017년 하버드 디자인대학원 강연을 통해 뒤샹과 레디 메이드 개념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3]. 따라서본 연구는 패션 디자인의 일부가 개념 미술의 형식/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진행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이포그래피란 무엇인가 타이포그래피는 “글자 형태를 다루거나 글자를 사용하여 디자인하는 기술과 그 표현"을 의미한다. 초기에는 활자를 다루는 활판 인쇄술을 뜻했으나 오늘날에는 글자 디자인, 레터링, 캘리그래피까지 아우르는 개념으로 사용 된다[9].
본 연구에서 타이포그래피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은 타이포그래피와 개념 미술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대 패션 디자인에 있어 개념 미술의 특징이 어떻게 타이포그래피를 매개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현대 패션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 활용 방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표 작품 이미지와 관련 텍스트를 수집한다.
그래픽 디자인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패션은 본질적으로 의사소통과 연관되어 있으며, 패션 디자인을 이루는 요소 중 하나인 그래픽 디자인은 이러한 전달적 기능이 정교하고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문자, 언어를 재료로 다루는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하는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S. Jeong, S. J. Bae, H. J. Cho, S. H. Hyun & S. E. Kim. (2011). Fashion and Culture.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2. The Fashion Law. (2016. 12. 12). The Year: And the Hottest Fashion Trends of 2016 Were, [Online]. http://www.thefashionlaw.com/home/these-were-the-hottest-fashion-trends-of-2016 

  3. Virgil Abloh. (2017). Insert Complicated Title Here.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Online]. https://www.youtube.com/watch?vqie5VITX6eQ 

  4. H. N. Lee. (2009). A Study on Letter Pattern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5. H. S. Suh. (2017). Asthetic Value of Typograph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within the Framework of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4), 661-672. DOI: 10.5850/JKSCT.2017.41.4.661 

  6. S. Y. Kim. (2009). Patter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Using Typograph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2), 283-295. 

  7. H. S. Suh. (2004). The Study of Typograph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2), 135-148. 

  8. J. S. Huh & M. K. Ro. (2013). A Study of Symbolism Expressed in Typograph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4), 173-187. 

  9. Korean Society of Typography. (2012). A Dictionary of Typography. Paju: Ahn Graphics. 

  10. Jan Tschichold. (2006). Asymmetric Typography. Paju: Ahn Graphics. 

  11. Helmut Schmid. (2010). Typography Today. Paju: Ahn Graphics. 

  12. S. H. Park, H. S. Lee & K. L. Lee. (2016). Fashion and Art. Seoul: Yehaksa. 

  13. Tony Godfrey. (1998). Conceptual Art. Seoul: Hangilart. 

  14. I. Kim. (2005). A Study on Conceptual Graphic Design Methodology that can Correspond to Methodology in Conceptual Ar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6(1), 59-69. 

  15. Lauren Cochrane. (2016. 3. 20). Scam or Subversion? How a DHL T-shirt became this year's must-have. The Guardian [Online]. https://www.theguardian.com/fashion/2016/apr/19/dhl-t-shirt-vetements-fashion-paris-catwalk 

  16. S. J. Park. (2016). Fashion vs. Fashion. Seoul: Workroom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