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engths Perspective Group Art Therapy on Stress, Depression, and Impulsivity of Middle School Male Smok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337 - 347  

김정희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민경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하는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A시에 소재한 2곳 중학교에서 흡연 대상자 15명을 유의표집 하였고 이 중 미술치료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있는 실험집단 8명과 그 외 통제집단 7명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집단의 수가 15명인 점을 감안하여 비모수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는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z=-2.521, p<.05), 우울(z=-2.527, p<.05), 충동성(z=-2.371, p<.05)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심리적인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찾을 수 있고 나아가 흡연 중학생의 심층적인 정서상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ngths perspective group art therapy on the strength-related perspectives on the stress, depression and impulsivity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smoke. Data were collected from 15 middle school smokers from two middle schools in A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흡연 경험의 유무에 따라 삶의 질의 향상과 관계가 있어 흡연 중학생의 심리적인 개입은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더욱 필요하다[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흡연 남자 중학생들의 이러한 심리적인 변화를 스트레스와 우울 및 충동성과 관련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해마다 흡연의 저 연령화로 심각해지는 남자 중학생의 흡연과 관련하여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그들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에 해당하는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강점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심리적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집단의 수가 15명인 점을 감안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비모수 검정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Mann- 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실험 처치의 결과를 평가하는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은 강점 관점 집단 미술치료를 10회기동안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며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모두 동일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강점 관점은 집단미술치료적인 개입에 있어서 문제에 대한 위험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며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대상자가 갖고 있는 자원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자신들의 삶을 잘 관리할 수 있다는 것과 대상자 스스로 개인의 열망, 인식, 강점을 알고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16]. 이러한 강점관점 집단미술치료는 개인의 강점과 재능 및 자원을 스스로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러한 긍정적인 요소들이 개인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충동성에 심리적 지원이 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생의 흡연 경험은 우울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다음으로 우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흡연은 우울과 같은 정신질환과 흔하게 공존하며, 중학생의 흡연 경험은 우울과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적 요인에 유의한 관련이 있어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이 비흡연 학생에 비해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나 있다[11]. 또한 중학생의 흡연행동과 관련된 정서적 변인으로 우울이 밝혀졌으며[12] 중학생의 우울감과 공격성은 흡연 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면서 학교생활 부적응이 우울과 흡연을 매개하는 효과도 검증되었다[6].
중학생 시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학생 시기는 아동에서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과정의 시기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심리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는 매우 불안전하고 혼란스러우며 부모와 가족의 그늘에서 벗어나 사회적으로 또래 집단을 형성하고 자기만의 소신, 규범, 가치관 등을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준다[1].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는 흡연 남자 중학생이 가지는 특성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충동적인 성향을 감소시키고, 좋은 방향으로 변화를 유도하는가?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역할혼란의 시기에 있는 흡연 남자 중학생들은 다양한 스트레스 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근심이나 침울, 실패감과 무력, 무가치함 등의 우울한 정서장애에 쉽게 빠지게 되거나 충동적이고 반항적인 모습으로 쉽게 발현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각자의 자유로운 표현을 격려하고 긴장 및 불안을 완화 시키는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적인 기법과 함께 강점 관점적 접근은 스스로의 강점을 발견하고 변화의 가능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를 통해 흡연 남자 중학생이 스스로 강점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통합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점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과 같은 심리적인 불안정 상태를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 Y. Lee & E. Y. Jun. (2001).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moking. Th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 197-21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sease Control Division. (2017). 13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Statistics. 

  3. Y. J. Lee. (2016). Daily Smoking Girls' Tobac -co Use, Health Behaviors and Family Factors : Analysis of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377-384. 

  4. S. G. Park, J. R. Cho & Y. H. Park. (2003). The Effects of Peer Pressure to Misbehavior, Physical Maturation, and Stress on Cigarette Smoking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ealth psychology, 8(3), 473-486. 

  5. K. Y. Lee. (1993). The actual status on drug use of some middle school student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Gyeongbuk. 

  6. H. J. Han. (2019). The effect of the depression and the aggression causing the degree of the smok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and media -ting effect of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Baekseok University, Chungnam. 

  7. K. E. Jang & S. E. Hur. (2019). The Relations -hip betwee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4), 130-138. DOI : 10.22156/CS4SMB.2019.9.4.130 

  8. D. G. Byme, A. E. Byme & M. I. Reinhart. (1995). Personality, stress and the decision to commece cigarette smok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Psychosom Res, 39(1), 53-62. 

  9. D. H. Kim. (1998). Psychological uses associa -ted with smoking behavior.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10. K. H. Yang, Y. H. Kim & J. R. Lee. (2005). Factors Affecting Smok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16(1), 40-48. 

  11. S. Y. Ryu & Y. S. Park. (2007).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Smoking Exper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1(2), 139-148. DOI : 10.21896/jksmch.2007.11.2.139 

  12. I. Y. Kim & J. S. Kang. (2018). A Meta -Analytic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 Smoking. Journal of Region and world, 42(3), 83-119. DOI : 10.3307/ssricb.42.3.201812.83 

  13. Y. C. Jun. (2010). A Study on Risk Factors of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1(1), 89-109. 

  14. Y. K. Kang, H. W. Kim, K. C. Bak, K, G, Lee & M. H. Lim. (2002). A Comparative Study on Impulsivity,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f the College Students in Cheona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6), 1089-1098. 

  15. J. H. Chae & Y. H. Choi. (2015). Influencing Factors on Nicotine Dependency of Smo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2109-2116. DOI : 10.5762/KAIS.2015.16.3.2109 

  16. D. Saleebey. (1997). The strengths approach to practice. In D. Saleebey(E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2nd ed., pp. 49-57). WhitevPlains. NY:Longman. 

  17. S. Y. Ryu. (1994). Preliminary Study for Devel -opment of Life Stress Scale for High School Elementary Student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18. Y. M. Lee. (1994). A Study on Stress and Cognitive Assessment of Adolesc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 M. H. Han & A. J. Yu. (1995).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Scale for Children in Kore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3(4), 49-64. 

  20. Y. H. Baek & W. S. Choi. The factor of stress in rural high school stud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1), 33-48. 

  21. K. J. Lee. (1997). Adolescent Stress, Social Support, and Behavior Problem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22. M. Kovacs, A. J. Rush, A. T. Beck & S. D. Hollon. (1981). Differential effects of cognitive therapy and pharmacotherapy on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3(3), 221-229. 

  23. S. C. Jo & Y. S. Lee. (1990)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e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4), 943-956. 

  24. Y. J. Han. (1993). Depression, Attribution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H. S. Lee. (1992). Impulse test. Seoul : Korean guidance. 

  26. M. Y. Kim. (2000). Effects of Group Art Thera -py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Childre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7. J. S. Kim. (1996). Theory and practice of art psychotherapy. Seoul : Central Aptitude Publisher. 

  28. O. J. Eun. (2000). Art Therapy Case Study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 Psychodynamic Approach. Yonsei University. Seoul. 

  29. M. H. Chun. (1997).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al Stress of Adoescent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30. L. E. Ju. (2014). Art Therapy Cookbook. Seoul : Artbooks 

  31. H. C. Kim. (2011).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tress,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Family Adolescents in Divorce Litig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2. E. M. Yoon. (2017). A Narrative Exploration of the Case Management Experience of Probation Youths. Keimyung University. Dae-gu. 

  33. J. H. Kim. (2017). Effects of Art Therapy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ts with Complex Trauma. Journal of Arts in Psychotherapy, 13(4), 281-310. 

  34. H. Y. Lee & Y. J. Lee. (2012).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12(4), 63-86. 

  35. M. O. Lee & S. M. Choi. (2009).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of the Juveniles under Probation. Journal of Arts in Psychotherapy, 16(2), 211-225. 

  36. D. H. Kim. (2012). 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Improved Relationship and Reduced Depression of Dwellers in the Youth Shelter.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12(2), 37-65. 

  37. J. Y. Kim. (2018). Differences in Happiness and Depression by Clusters of Character Strength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ology, 23(3), 657-675. DOI : 10.17315/kjhp.2018.23.3.004 

  38. M. H. Park & E. H. Kim. (2012).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Strengths on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Non-Christian Ones. Journal of Gospel and Counseling, 19(19), 125-156. DOI : 10.17841/jocog.2012.19.,125 

  39. S. Y. Choi. (2015). Program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Self-control Improve -ment of Bullying Adolescents of School Violence. The Arts in Psychotherapy, 22(2), 363-383. DOI : 10.35594/kata.2015.22.2.005 

  40. J. H. Lim. (2007). The Case Study of Art Therapy about An Impulse and A Negative Thinking Of Professional Teenage Athletes. Jouranl of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10(2), 43-71. 

  41. Y. J. Hur, Y. R. Sang, K. B. Park. & M. K. Lee. (2014). The rel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mong Antisocial personality disposition. Korean Jouranl of Forensic Psychology, 5(2), 63-81. 

  42. J. H. Jung & M. K. Rhee. (2014). Exploration of Causal Model among Sensation Seeking, Impulsiveness, Internet addiction, and Negative Emotion: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s a Character Strength.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ology, 19(3), 747-7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