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도면 작성기준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plan for Standardization of Engineering Drawing 원문보기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23 no.1, 2020년, pp.57 - 64  

김석수 ((주)수성엔지니어링, 철도부) ,  송재호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market became generally opened to overseas and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competed with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 of which technical knowledge is superior. In order to compete with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mpanies,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 설계도면 작성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설계도면 작성방법의 주요 문제점을 논하고 실적공사비제도의 정착단계에서 적산제도에 부합되는 도면작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설계도면인 평면 및 종단면도, 횡단면도, 구조물도, 가시설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각 도면종류별로 목적에 부합되는 일반적인 도면 작성방법 개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가시설공은 설계 시 공사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항목까지 수량산출을 하여 물량을 제시하고 시공시에 변경이 가능한 부분까지 설계단계에서 미리 규정하게 되어 있어서 설계변경이 자주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많기 때문에 입찰자로 하여금 시공법과 물량을 결정하게 하는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시설공에 순수내역입찰제를 도입할 때 설계도면 작성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설계도면 작성기준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국제수준의 기준을 만들기 위해 우선 국내와 국외의 설계도면 작성기준과 관련된 지침과 법령을 조사, 비교한다. 그리고 건설 분야 중 도로와 지하철 두 분야를 택해서 실제 도면작성의 실태를 조사, 비교한다.
  • 본 연구를 통해 실적공사비제도와 순수내역입찰 제와 같은 제도에 부합되고 국제수준의 설계도면 작성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로와 지하철 도면에 대한 사례를 연구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상하수도, 댐, 하천, 항만 등 다른 건설사업의 설계도면 작성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 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선진 외국의 도로⋅지하철건설 분야에 대한 설계도면 작성기준을 조사하고 설계도면 작성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설계도면 작성방법을 비교, 검토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실적공사 비제도 정착단계와 순수내역입찰제 적용단계에서 도면 작성방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그리고 건설 분야 중 도로와 지하철 두 분야를 택해서 실제 도면작성의 실태를 조사, 비교한다. 설계도면 작성기준과 실제 도면 작성방법을 비교, 검토하여 국제 수준의 작성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내외 설계도면 작성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설계도면 작성방법의 주요 문제점을 논하고 실적공사비제도의 정착단계에서 적산제도에 부합되는 도면작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설계도면인 평면 및 종단면도, 횡단면도, 구조물도, 가시설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각 도면종류별로 목적에 부합되는 일반적인 도면 작성방법 개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로 선진 외국 건설업체와 경쟁을 대비한 국내 설계도면 작성기준에 대해 재검토한다. 둘째로 건설시장의 본격 개방화에 대비하여 국제수준의 설계도면 작성기준안을 제시한다.
  • 평면 및 종단면도는 평면현황 및 지형표현 등 노선의 일반적인 내용을 나타내며 교량 및 구조물의 위치를 표기해 주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따라서 그림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계도서의 작성기준을 개선할 필요성은? 이들 선진 외국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건설엔지니어링의 기술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개 발사업의 지속적인 추진과 함께 변하고 있는 적산 제도와 입낙찰제도에 부합되며 국제적 경쟁이 본격화 될 때를 대비한 설계도면, 시방서, 내역서등 설계도서의 작성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히 특히 설계도서 중 설계도면 작성기준에 관한 연구가 가장 미흡한 분야 중 하나이다.
건설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은? 2004년도에 작성한 “건설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은 도면작성의 실무적인 작성 방법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로와 하천에 국한되어 있고 현재 이뤄지고 있는 도면 작성방법을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변화된 건설환경에서 도면 작성 지침서로 활용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 현재 작성되고 있는 설계도면을 보면 설계단계별 설계도면의 작성범위가 뚜렷하지 않고 지나칠 정도로 상세하고 중복된 작업이 많아 비효율적이며 설계 기술력 향상보다 도면 작성에만 너무 많은 시간을 할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경래 실정공사비 적산제도를 통한 적정 공사비 산정 및 관리, 산업동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5) 

  2. U.S. Army Corps of Engineers CEMP-EA Regulation No.1110-345-700. (1997) 

  3. 건설교통부 건설기술개발 및 관리 등에 관한 운영규정. (1998) 

  4. 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방향. (1998) 

  5. 김대하 설계도서 작성기법의 개선방향-도로분야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제49권, 제12호, pp. 17-27. (2001) 

  6. Caltrans "Plans Preparation Manual" (2001) 

  7. 건설교통부 제3차 건설 기술 진흥 기본계획 수립연구. (2002) 

  8. Shop Detail Drawing Presentation Guidelines AASHTO/NSBA Steel Bridge Collaboration, USA. (2002) 

  9. 최석인,이종수 실적공사비 적산제도의 합리적인 도입 방안, 건설산업동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3) 

  10. 한국산업관계연구원 순수내역입찰제 도입방안 연구. (2004) 

  11. 日本建設情報綜合センタ? CAD 製圖基準案. (2004) 

  12. 日本 宮城?, 土木部 土木設計 マニュアル I (積算編). (2004) 

  13. 건설감리, 철근상세도면(Shop Drawing)에 대한 의견 (2003) 

  14. Caltrans OSFP Information and Procedures Guide, USA (2003) 

  15. 건설교통부 전자도면 작성편람(v1.0) (2004) 

  16. 김병석 외, PSC박스거더교 설계 선진화를 통한 물량절감, 품질향상 수립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17. Caltrans" STANDARD PLANS METRIC" (2004) 

  18. 건설교통부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 (2005) 

  19. 이복남, 장기철 입찰 참가자 수가 낙찰률에 미치는 영향, 건설산업동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5) 

  20. 이태식, 김형목, 곽동구 설계도서 작성기준의 개선방안-도로공사 부분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1권, 제1-D호, pp. 69-76. (2001) 

  21. Texas D.O.T., Shop Plan Review. (2005) 

  22. Caltrans, Reconstruction of bridge distribution Structure at Route 580/880 Separation : Precast Prestressed and Post- Tensioned Concrete Bent Shop Drawings.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