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귀분석을 통한 공공청사 골조 공사의 개산견적 방안
Conceptual Cost Estimate Method of Public Office Building Structural Frame Work by Regression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0 no.2, 2020년, pp.147 - 153  

조영호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현준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정원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윤석헌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R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적정공사비 산정은 필수적이다. 적정공사비 산출을 위해서는 개산견적은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하지만 국내의 개산견적 활용 현황은 건물 유형에 따른 단위면적당 공사비만 활용하는데 그치고 있어 그 정확도가 높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따른 골조 공사의 공통 내역항목 수량을 연면적에 의한 회귀식을 제시하여 골조 공사의 철근, 레미콘, 거푸집에 대하여 개산 수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회귀식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된 개산 수량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회귀식을 실 사례에 적용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개산 수량 법은 실소요 수량에 비해 발생한 오차율이 -102 ~ 55%였으며, 이에 기존 개산수량 법은 AACE에서 제시한 개산견적 정확도 범위인 -50~100%에 초과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회귀식의 오차율은 -6.4 ~ 11.62%였다. 이는 AACE의 개산견적 정확도 범위뿐만 아니라 상세견적 단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기대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향후 수량뿐만 아니라 단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적정 공사비를 산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optimal construction cost at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In this regard, conceptual cost estimate is an important factor for estimate optimal construction cost. However, domestic conceptual cost estimate are only used as cost per unit area according to the buildin...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첫째로 건축물의 유형과 기본 공간들의 면적 정보만 알 수 있는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건설 프로젝트 공사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골조공사에 대하여, 주요 공통 내역항목과 연면적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연면적의 회귀식으로 골조 공사의 개산공사비를 산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개산수량결과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회귀식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회귀식의 적정성 및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는 산출된 회귀식과 기존 개산수량법을 실제 준공이 완료된 프로젝트에 적용하였다. 그리고는, 프로젝트의 실제 사용 수량과 비교 분석하여, 산출된 회귀식의 적정성 및 실용성 여부를 AACE(American Association of Cost Engineering, 이하 AACE)에서 제시한 오차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고자하였다.
  • 그리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앞서 연구된 회귀분석을 이용한 개산견적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일반청사 건축공사 내역서를대상으로 골조공사 공통 내역항목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면적에 따른 단위면적당 공통 내역항목의 수량변화를 SPSS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해석을 통해 유의성 검토를 실시하고 연면적에 따른 골조공사 공통 내역항목에 대한 수량산출 회귀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본설계 도서가 나오지 않은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 제한된 정보만으로 전체공사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골조공사의 주요항목을 연면적을 이용하여 골조공사의 주요항목 수량 산출이 가능한 회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개산견적에 적용될 수 있도록 회귀식을 통해개산수량 산출 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본설계 도서가 나오지 않은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 제한된 정보만으로 전체공사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골조공사의 주요항목을 연면적을 이용하여 골조공사의 주요항목 수량 산출이 가능한 회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개산견적에 적용될 수 있도록 회귀식을 통해개산수량 산출 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는, 일반청사 건축공사 내역서를대상으로 골조공사 공통 내역항목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면적에 따른 단위면적당 공통 내역항목의 수량변화를 SPSS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해석을 통해 유의성 검토를 실시하고 연면적에 따른 골조공사 공통 내역항목에 대한 수량산출 회귀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산출된 회귀식과 기존 개산수량법을 실제 준공이 완료된 프로젝트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건축물의 유형과 연면적만 결정된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연면적을 이용하여 골조공사의 공통 내역항목의 개산수량을 산출하는 연구이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발주된 30개의 일반청사를 대상으로 골조공사 내역서와 수량산출서를 분석하여, 골조공사에서 연면적에 따른 공통 내역항목의 수량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해 결정계수(R²)값이 가장 큰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공통 내역항목 수량산출 회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첫째로 건축물의 유형과 기본 공간들의 면적 정보만 알 수 있는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건설 프로젝트 공사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골조공사에 대하여, 주요 공통 내역항목과 연면적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연면적의 회귀식으로 골조 공사의 개산공사비를 산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개산수량결과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회귀식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회귀식의 적정성 및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산견적의 오차범위를 Class5단계의 정확도 범위인 –50~100%로 설정하였으며, 상세견적의 오차범위를 Class1단계의 정확도 범위인 –10~15%로 지정하여 산출된 회귀식의 정확도 수준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공직전 단계에서 사용이 가능한 개산견적 방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선행으로 연구된 많은 개산견적 방법들로는 주로 개산수량과 단가가 곱해져 산출되는 합성가격을 사용하는 방법과 기초도면과 공법 및 구조가 결정된 상태인 시공직전 단계에서 사용이 가능한 개산견적 방법 등이 있다. 이는 다양한 건축물의 유형과 규모, 현장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우며,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공사비 자료를 활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차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개산견적 활용 현황과 정확도는 어느정도인가? 적정공사비 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 사업비 과다 투입 및 손익분기점 지연으로 사업추진에 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기획단계에서 공사비 예측을 통한 적정 공사비 산정은 중요하다. 개산 견적은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공사비 예측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적정 공사비 산정을 위한 공사비 예측방법은 기획단계가 아닌 시공단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획단계에서 공사비를 예측에 대한 기준이 부족한 실정이다[1].
적정공사비 산정이 필요한 이유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적정공사비 산정은 건설사업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적정공사비 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 사업비 과다 투입 및 손익분기점 지연으로 사업추진에 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기획단계에서 공사비 예측을 통한 적정 공사비 산정은 중요하다. 개산 견적은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공사비 예측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Go SS, Kim HS, Lee, HC. A study on the presumption of proper construction cost of distribution facilities by analyzing actual construction cos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8 Jun;9(3):108-17. 

  2. Park YJ, Won SK, Han CH, Lee, JB. A Study on 3D BIM Collaborate Approximate Estimating Model of Structure Work for Apartment Projec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1 Jun;27(6):123-30. 

  3. Son BS, Park MS, Lee HS, Lim DH. Analyzing the schematic cost estimating model based on quantity variation in building project using the case stud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8 Jun;24(6):109-18. 

  4. Song KR. A study on the standard for approximate quantity of framework of apartment housing for using scatter diagram & heptagram metho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5 Oct;21(10):167-74. 

  5. Koo KJ, Park SH Park SC, Song JK. Object & 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for predicting cost of building interior finishing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8 Dec;9(6):175-84. 

  6. Park MS, Han KJ, Lee HS, Lim DH. Sustainable cost estimating model for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8 Oct;24(10):167-78. 

  7. Park JH, Park HT, Jeon YB. The development of factor model based on actual work cost for golf cours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 Feb;11(2):620-7. https://doi.org/10.5762/KAIS.2010.11.2.6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