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모델링 교수·학습에서 중학생들의 담화 분석
A Discours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and Learning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3 no.1, 2020년, pp.45 - 65  

장현석 (울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이 반영된 중학생 이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을 분석한 것이다. 의사소통의 심층 분석을 위해 Sfard(2008)의 담화 이론과 언어 분석 틀(장현석, 김명창, 이봉주, 2019)을 적용하였다. 이차함수 개념을 학습하고 3개월이 지난 학생을 대상으로, 이차함수 수학적 모델링 교수·학습이 2019년 6월 둘째 주에(1차시) 실시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간 이차함수 이외의 선행 지식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인지적 갈등이 발생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과정에서 서로 다른 관점의 문제 해결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이 이차함수 개념의 이해를 기반으로 의사소통 과정에서 문제점을 명료히 드러내고 학생 간 협동을 촉진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communication that occurs during the quadratic func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reflects mathematical modeling. For an in-depth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Sfard(2008)'s discourse theory and language analysis framework were a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세 가지 전 개념적 단계는 무엇인가? Vygotsky(1987)는 나이든 어린이 또는 성인이 개념을 형성하기 위하여, 합성적 더미 단계, 복합적사고 단계, 잠재적 개념 단계와 같이 세 가지 전 개념적 단계를 거친다고 하였다.
수학적 모델링의 교수·학습에서 나타난 한계점엔 무엇이 있는가? 수학적 모델링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정희(1994)는 수학적 모델링을 위해서 수학적 개념을 숙지하고 실생활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해야 하는데, 수업 시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모델링 수업을 위해서 특별 활동 수업 시간을 배정하여 학생이 탐구한 후에 발표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또한, 이지영, 김민경(2016)은 학생이 실생활과 관련한 복잡한 문제를 접할 때 많은 어려움을 드러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모델링에 대한 이러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김민경, 민선희, 강선미, 2009). 유사한 결과를 중학교 교사의 인식에도 반영해 볼 수 있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적 모델링 활동의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성과는? 이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수학적 모델링을 들 수 있다(최희선, 한혜숙, 2018). 수학적 모델링 활동은 실생활 맥락 내에서 실제 자료 들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에게 제공하고,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유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고준호 (2010).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학지도에 관한 연구(함수 단원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3. 김미영, 강순자 (2007). 수학적 모델링 학습을 위한 자료 개발과 적용(8-가 부등식과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저널, 31(1), 11-24. 

  4. 김민경, 민선희, 강선미 (2009). 초등 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411-431. 

  5. 김민경, 홍지연, 김혜원 (2010). 수학적 모델링 적용을 위한 문제 상황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 49(3), 313-328. 

  6. 김원경, 이종학, 천선빈 (2017).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 56(3), 319-340. 

  7. 박나래 (2012). 수학적 모델링 활용에 관한 학습 자료 개발 및 지도 방안(중등 수학 함수 단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8. 박진형, 이경화 (2013).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수학화의 기호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2), 95-116. 

  9. 손홍찬, 류희찬 (2005). 함수 지도와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5(4), 505-522. 

  10. 안종수 (2012). 함수 단원의 수학적 모델링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의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747-770. 

  11. 이선미 (2008).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함수 지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이지영, 김민경 (2016). 초등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5학년 수와 연산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5(1), 41-71. 

  13. 정예나 (2012).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관한 연구: 중학교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장현석, 김명창, 이봉주 (2019). 중학생의 일차함수 개념 형성 과정 담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755-782. 

  15. 최경아 (2017). 수학 교과 역량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선행 연구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87-210. 

  16. 최희선, 한혜숙 (2018). 수학적 모델링 기반 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적 문제제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755-782. 

  17. 홍정희 (1994).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학 탐구수업 효과의 고찰.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8. Berger, M. (2004a). Heaps, complexes and concepts (part 1).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4(2), 2-6. 

  19. Berger, M. (2004b). Heaps, complexes and concepts (part 2).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4(3), 11-17. 

  20. Berger, M. (2004c). The functional use of mathematical sig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5, 81-102. 

  21. Berger, M. (2005). Vygotsky's theory of concept forma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29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Melbourne: PME, 153-160. 

  22. Berger, M. (2006). Making mathematical meaning: From pre-concepts to pseudo concepts to concepts. Pythagoras, 63, 14-21. 

  23. English, L. D. (2003). Reconcil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 225-248. 

  24. English, L. D., & Watters, J. J. (2005a).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early school year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6(3), 58-79. 

  25. English, L. D., & Watters, J. J. (2005b). Mathematical modeling with 9-year-olds. In H. L. Chick & J. L. Vincent (Eds.), Proceedings of the 29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2, 297-304, Melbourne: PME. 

  26.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27. Kilakos, D. (2016). How could Vygotsky inform an approach to scientific representations? Epistemology and Philosophy of Science, 47(1), 140-152. 

  28. Lesh, R., & Lehrer, R. (2003).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5(2), 109-130. 

  29. Lewis, K. E. (2017). Designing a bridging discourse: re-mediation of a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y.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6(2), 320-365. https://doi.org/10.1080/10508406.2016.1256810 

  30. Li-Yuan, W. (2015). Thinking and concepts: Vygotsky's theory of child concept formation. Review of Global Management and Service Science, Vol. 5. 

  31. Mahn, H. (2012). Vygotsky's analysis of children's meaning making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2), 100-126. 

  32. Michael Kainose Mhlolo & Marc Schafer (2013). 'The Area of a Triangle is 1800C'-An Analysis of Learners' Idiosyncratic Geometry Responses through the Lenses of Vygotsky's Theory of Concept Formation. Africa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7:1-2, 83-93.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류희찬 외), 서울: 경문사. (원저 2000년 출판) 

  34. Piaget, J. (1959).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child(3rd e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35. Sfard, A. (2000). 'Symbolizing mathematical reality into being or how mathematical discourse and mathematical objects create each other', in P. Cobb, E. Yackel, K. Mc Clain (eds.), Symbolizing and Communicating in Mathematics Classrooms: Perspectives on Discourse, Tools, and Instr uctional Design, Lawrence Erlbaum, Mahwah, N.J., 37-98. 

  36. Sfard, A. (2007). When the rules of discourse change, but nobody tells you: Making sense of mathematics learning from a commo-gnitive standpoint.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6(4), 567-615. https://doi.org/10.1080/10508400701525253 

  37.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Swanson, D. (2013). Vygotskian scientific concepts and connectionist teaching in mathematics. 

  39. Swetz, F., & Hartzler, J. S. (1991).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 resource guide of classroom exercises. Reston, VA: NCTM. 

  40. Van Hiele, P. M. (1985). The child's thought and geometry. In D. Geddes & R. Tischler (Eds.), English translation of selected writings of Dina van Hiele-Geldof and Pierre M. van Hiele (p. 24 3-252), Brooklyn: Brooklyn College, School of Educ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959). 

  41. Vygotsky, L. S. (1987). Thinking and Speech. In R. W. Rieber & A. C. Carton (Eds.),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Vol. 1, pp. 39-285). New York: Plenum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