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WAT을 이용한 섬진강에서 영산강으로의 유역간 물이동 모델링
Inter-basin water transfer modeling from Seomjin river to Yeongsan river using SWA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1, 2020년, pp.57 - 70  

김용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이지완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우소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김성준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섬진강유역과 영산강유역을 대상으로 유역간 물이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먼저, 영산강과 섬진강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구축하였고 저수지 운영 매개변수 WURESN(Water Use Reservoir Withdrawn)과 Inlet 기능을 이용하여 섬진강유역의 주암댐에서 영산강유역의 광주천으로의 물이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섬진강유역의 주암댐과 영산강유역의 마륵 수위관측소의 2005년~2017년까지의 댐 방류량, 저수량 그리고 도수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SWAT모형의 검보정을 하였다. 주암댐 검보정결과의 평균 RMSE, NSE, R2는 각각 2.22 mm/day, 0.62, 0.86로 나타났고 마륵 관측소는 각각 1.38 mm/day, 0.69, 0.84로 나타났다. 유역간 물이동에 의한 하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영산강유역내 다기능보 2개(승촌보, 죽산보)와 섬진강유역의 곡성과 구례 수위관측소를 선택하여 검보정을 진행하였다. 승촌보, 죽산보, 곡성 및 구례 관측소의 검보정 결과에 대한 평균 RMSE, NSE, R2는 각각 1.49~2.49 mm/day, 0.45~0.76, 0.81~0.90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ituation of inter-basin transfer from Seomjin river basin to Yeongsan river basin using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Firstly, the SWAT modeling was conducted for each river basin. After, the inter-basin transfer was established using SWAT reservoir operating...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속성, 식생, 기상, 지형 등이 반 영되어 각 수문반응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HRU) 로 유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유역의 수문반응단위마다 유출, 증발산, 토양수분과 같은 수문 성분을 각각 물수지방정 식에 기초하여 계산하고 예측할 수 있는 준분포형 장기 강우 유출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 을 이용하여 유역간 물이동을 고려한 유역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2개의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물이동이 시행되 는 영산강유역과 섬진강유역을 각각 구축하고 유역분할단계 에서 사용할 수 있는 Inlet 기능과 저수지운영 매개변수를 이 용하여 영산강 수계와 섬진강 수계간의 물이동을 고려한 모형 을 구축하고 물이동에 따른 검·보정 통계분석 결과의 향상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유역과 섬진강 유역에 대한 SWAT 모형과 Inlet 기능, 저수지 운영모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영 산강 유역과 섬진강 유역간의 물이동을 고려한 SWAT 모형 을 구축하고 물이동을 고려하기 전과 후의 검보정 결과의 향 상을 평가하였다. Fig.
  •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내 기능과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대한 민국의 5대권역(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중 영산 강과 섬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간 물이동을 고려한 SWAT 모형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SWAT 모형 내 도 수와 같은 물이동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앞서 제시한 몇 가 지의 방법이 존재하지만, 모두 하나의 유역 내에서 이루어진 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여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유역을 대상 으로 물이동을 고려한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역간 물이동이란? 유역간 물이동이란 하나의 유역에서 발생하는 용수수급 불균형, 하천의 수질악화 등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 로써 두 개 이상의 유역을 연결하여 수량측면에서 여유가 있 는 유역에서 부족한 유역으로 도수로 또는 관수로를 통하여 여유수량을 도수하는 것을 말한다(Yi, 1998). 국내에서 시행 하는 물이동의 예시로는 낙동강(영천댐)-형산강으로의 물이 동, 낙동강 수계 내 안동댐과 임하댐 저수지간의 물이동, 유역 변경 방식을 이용한 금강의 용담댐-만경강으로의 물이동이 시행되고 있으며 섬진강 수계 내 주암댐과 영산강 수계 내 광 주광역시의 도심하천인 광주천으로의 물이동 등이 시행되고 있다.
Inlet 기능 이용의 특징은? , 2002). 생성된 유역의 소유역에 생성된 하천도에 Inlet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운 유출구, 유입구를 지 정하면 지정한 소유역 중 일부분이 소멸되어 해당 소유역의 정보가 사라지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선택적으로 일별 점오 염원 입력자료(kg/day)와 일별 유량자료(m3/day)를 적용할 수 있다. Inlet 기능의 입력자료는 .
물 관리기본법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2018년 5월 ‘물 관리기본법’ 등이 통과되면서 물의 공급·이용·배분과 수자원 의 개발·보전 및 중장기 수급전망에 관한 사항이 2019년 6월 부터 시행되었다. 물관리기본법은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 하여 수량, 수질, 생태, 문화를 고려하여 유역 등 수자원의 효율 이 극대화 될 수 있는 단위로 통합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Lee et al.,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nold, J.G., Williams, J.R., Srinivasan, R., and King, K.W. (1996). SWAT manual.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Blackland Research Center, Texas. 

  2. Jeong, J.S., Jung, W.S., and Park, H.G. (2007). "Water supply tunnels for multi-region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55, No. 8, pp. 116-123. 

  3. Kim, S.G., and Cha, G.S. (2011).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secure instream flow in Yeongsan river." Journal of Green Industrial Research, Honam University, Vol. 17, No. 2, pp. 45-51. 

  4. Koo, J.Y. (2019). "A discussion on the water management organiz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era of one water management." Jou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SWW, Vol. 33, No. 1, pp. 1-8. 

  5. Lee, D.R., Hong, Y.S., and Lee, Y.H. (2018). "A study on the sustainable policy of water and the national water framework law."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KAGOS, Vol. 30. No. 4, pp. 865-887. 

  6. Lee, J.H., Kim, H.S., Hong, I.P., Kang, B.S., and Kim, K.H. (2008). "Governance for the negoti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related conflict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KWS, Vol. 10, No. 2, pp. 97-103. 

  7. Lee, Y.W., and Jung, J.S. (2015). "Development of water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in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s to counteract megadrought by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KSUE, Vol. 15, No. 3, pp. 167-175. 

  8. Lord, W. (1979). "Conflict in federal water resource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AWRA, Vol. 15, No. 5, pp. 1226-1235. 

  9. Luzio, M.D., Srinivasan, R., and Arnold, J.G. (2002). "Integration of watershed tools and SWAT model into basin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AWRA, Vol. 38, No. 4, pp. 1127-1141. 

  10.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6). Water resources long-term compreshensive pl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South Korea. 

  11. Mkhwanazi, M., Chavez, J.L., and Rambikur, E.H. (2012). "Comparison of Large aperture scintillometer and satellite based energy balance models in sensible heat flux and crop evapotranspiration deter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Applications, Taylor & Francis, Vol. 12, pp. 24-30. 

  12. Moriasi, D.N., Arnold, J.G., Van Liew, M.W., Bingner, R.L., Harmel, R.D., and Veith, T.L.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 for 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 simulations." Transactions of the ASABE, ASABE, Vol. 50, No. 3, pp. 885-900. 

  13.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pp. 340-367, Temple, Texas. 

  14. Park, H.S., and Chung, S.W. (2014). "Water transportation and stratification modification in the andong-imha linked reservoirs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SWE, Vol. 30, No. 1, pp. 31-43. 

  15. Santhi, C., Arnold, J.G., Williams, J.R., Dugas, W.A., Srinivasan, R., and Hauck, L.M. (2001). "Validation of the swat model on a large RWER basin with point and nonpoint sources." Associ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AWRA, Vol. 37, No. 5, pp. 1169-1188. 

  16. Xiang, Z., Tiesong, H., Xuning, G., and Xinjie, L. (2014). "Water transfer triggering mechanism for multi-reservoir operation in inter-basin water transfer-supply project." Water Resources Management, Springer, Vol. 28, No. 5, pp. 1293-1308. 

  17. Yang, H.K., and Choi, H.C. (2003). "Estimation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in You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GS, Vol. 38, No. 1, pp. 16-31. 

  18. Yi, J.E. (1998). "A study of water transfer between han river and Nakdong river basins." Jou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1, pp. 483-490. 

  19. Yiping, L., Chunyan, T., Chao, W., Wei, T., Baozhu, P., Lei, H., Janet, L., Zhongbo, Y., and Kumud, A. (2013). "Assessing and modeling impacts of different inter-basin water transfer routes on lake Taihu and the Yangtze river, China." Journal of Ecological Engineering, Elsevier, Vol. 60, pp. 399-4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