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STM과 SGI를 이용한 미래 가뭄 발생 가능성 분석
Possibility analysisof future droughts using long short term memory and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2, 2020년, pp.131 - 140  

임재덕 (국민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부) ,  양정석 (국민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층학습 기법인 Long Short Term Memory (LSTM)를 이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 후 표준지하수위지수(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를 산정함으로써 미래 가뭄 발생 가능성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LSTM 모형을 이용하여 금호강 유역의 지하수위를 미래 3년에 대해 예측을 하였으며, 예측시 최근 3년을 제외한 관측 자료로 학습 후 RMSE를 통해 검증하였다. 예측 자료와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적 SGI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SGI는 연구 지역 내 보간을 하였고, 보간된 SGI는 소유역별 평균값으로 공간적 SGI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시공간적 SGI를 이용하여 시공간적 가뭄 발생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공간별로 가뭄 발생 가능성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심층학습 모형의 개선 및 검증 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신뢰성이 더욱 높은 예측 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 연구 적용 지역의 확대를 통해 전국적인 가뭄 대응 정책에 활용이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미래 수자원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future droughts by calculating the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SGI) after predicting groundwater level using Long Short Term Memory (LSTM) model.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Kumho River basin was predicted for the next three years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STM 모형을 이용하여 GWL의 예측과 SGI를 이용하여 미래 가뭄 발생 가능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낙동강 권역 중 금호강 유역의 GWL을 LSTM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GWL을 예측 후 SGI를 산정하여 가뭄 발생 가능성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 GWL을 예측 후 SGI를 이용한 가뭄 발생 가능성 분석을 위하여 LSTM 모형을 이용하여 GWL 자료에 대해 학습, 검증, 예측의 단계를 거쳐 미래 GWL을 예측하였다. 예측자료와 관측 자료에 SGI를 적용하여 연구지역 내 보간을 하였으며, 산정된 SGI는 소유역별로 평균을 구하여 소유역별 SGI를 산정하여 시공간적으로 가뭄 발생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즉, 가까이 있는 관측값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간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가중치가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관측소의 제한으로 인해 IDW를 이용한 공간 보간을 통해 금호강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 매년 가뭄에 대한 피해가 계속되고, 미래 또한 가뭄이 극심해짐에 따라 미래 지하수위 예측이 가능하다면 더욱 효과적인 가뭄 관련 연구 진행과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특정 지역의 수자원에 대한 예측과 예측 결과를 이용한 가뭄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심층학습을 이용하여 미래 지하수위를 예측 후 표준지하수위지수를 산정함으로써 미래 지하수위의 예측과 미래 가뭄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GWL 예측과 예측 결과에 따른 SGI 산정을 위해 소유역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GWL뿐만 아니라 다른 수자원도 자료가 충분할 경우 예측이 가능하고, 연구 지역의 확대를 통해 시공간적인 가뭄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후 연구에서는 강수량 등 수문 자료의 예측과 SPI 등의 가뭄 관련 지수를 추가하여 가뭄 발생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대권역 등 연구 적용 지역의 확대와 인공신경망 모형을 개발 및 발전시켜 검증 방법의 다양화와 신뢰성 등을 향상한다면 전국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향후 가뭄 발생 가능성을 포함하는 가뭄 취약 지도 작성 등 가뭄 분석 및 대응에 근거가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수자원 관리 방안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Shepard (1968)가 제안한 역거리 가중치법(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기법은 인근 관측지점의 자료를 거리에 반비례로 가중하여 보간하는 방법으로 가장많이 사용되는 공간 보간기법 중 하나이다. IDW 기법의 기본 가정은 미관측 위치의 값은 관측값과 가까울수록 영향이 증가하고 멀어질수록 영향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즉, 가까이 있는 관측값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간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가중치가 적용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도에 따른 국내 가뭄의 상황은 어떠한가? 국가가뭄정보분석센터(National Drought InformationAnalysis Center, NDIAC)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최근 2014년 서울, 경기, 충청 지방에 평년 대비 강수량이 50~61% 수준으로 줄어들었으며, 2015년에는 2014년보다 더욱 극심한 가뭄이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보령댐, 횡성댐, 용담댐 등 역대 최저 저수율을 기록하는 등 연중 극심한 가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국외의 경우 2012년 미국, 브라질, 크로아티아,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가뭄 피해가 발생하였고, 특히 미국의 경우 2014년 약 7조 3,300억원의 피해액이 발생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다.
순환신경망이란 무엇인가? 인공신경망 중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은 출력값을 해당 뉴런에 다시 입력하는 모형으로 정보의 지속성이 반영되어 시계열 자료 또는 문장 등 연속된 데이터 학습에 적합한 모형이다. RNN의 한 종류인 LSTM은 RNN의 장기 의존성 문제(The Problem of Long Term Dependencies) (Hochreiter, 1991; Bengio et al.
순환신경망 장기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모델이 있나요? 인공신경망 중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은 출력값을 해당 뉴런에 다시 입력하는 모형으로 정보의 지속성이 반영되어 시계열 자료 또는 문장 등 연속된 데이터 학습에 적합한 모형이다. RNN의 한 종류인 LSTM은 RNN의 장기 의존성 문제(The Problem of Long Term Dependencies) (Hochreiter, 1991; Bengio et al., 1994)를 개선하여 기억기능을 보완한 모형(Hochreiter and Schmidhuber, 1997)이며 Fig. 4는 모형의 구성도이다. LSTM을 이용한 진행 순서는 모형의 구성, 학습, 검증, 예측 4단계로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ngio, Y., Simard, P., and Frasconi, P. (1994). "Learning longterm dependencies with gradient descent is difficult."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 IEEE Neural Networks Council, Vol. 5, No. 2, pp. 157-166. 

  2. Bloomfield, J.P., and Marchant, B.P. (2013). "Analysis of groundwater drought building on the standardised precipitation index approach."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European Geophysical Society, Vol. 17, No. 12, pp. 4769-4788. 

  3. Chang, F.J., Chen, P.A., Lu, Y.R., Huang, E., and Chang, K.Y. (2014). "Real-time multi-step-ahead water level forecasting by recurrent neural networks for urban flood control." Journal of Hydrology, Crossref, Vol. 517, pp. 836-846. 

  4. Ha, J.H., Lee, Y.H., and Kim, Y.H. (2016). "Forecasting the precipitation of the next day using deep learn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6, No. 2, pp. 93-98. 

  5. Hochreiter, S. (1991). Untersuchungen zu dynamischen neuronalen Netzen. Master's thesis, 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Germany, pp. 1-65. 

  6. Hochreiter, S., and Schmidhuber, J. (1997).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Compu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M.A., U.S., Vol. 9, No. 8, pp. 1735-1780. 

  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5).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IPCC, Switzerland. 

  8. Jang, S.K., Lee, J.K., Kwon, H.H., Oh, J.H., and Jo, J.W.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for the drought monitoring and forecast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7, No. 6, pp. 37-51. 

  9. Jung, S.H., Lee, D.E., and Lee, K.S. (2018). "Prediction of river water level using deep-learning open libr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1, pp. 1-11. 

  10. Kim, B.S., Kwon, H.H., and Kim, H.S. (2011).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risk."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3, No. 1, pp. 1-11. 

  11. Kim, J.H., Lee, S.H., and Kim, B.S. (2018). "An assessment of past and future droughts in North Korea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Crisisonomy,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Theory and Praxis, Vol. 14, No. 2, pp. 139-151. 

  12. Kumar, R., Musuuza, J.L., Van Loon, A.F., Teuling, A.J., Barthel, R., Broek, J.T., Mai, J., Samaniego, L., and Attinger, S. (2016). "Multiscale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s a groundwater drought indicator."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European Geophysical Society, Vol. 20, No. 3, pp. 1117-1132. 

  13. Lee, J.J., Kang, S.U., Jeong, J.H., and Chun, G.I. (2018).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echnique for drought analysis (I) - groundwater drought monitoring using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11, pp. 1011-1020. 

  14. Lee, J.J., Kang, S.U., Kim, T.H., and Chun, G.I. (2018).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echnique for drought analysis (II) - groundwater drought forecasting using SPI, SGI and AN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11, pp. 1021-1029. 

  15. National Drought Information-Analysis Center (NDIAC) (2019). Republic of Korea, accessed 24 December 2019, . 

  16. Song, S.H. (2018). "Assessment of drought effects on groundwater system in rural area using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23, No. 3, pp. 1-9. 

  17. Tran, Q.K., and Song, S.K. (2016). "Water level forecasting based on deep learning: a use-case of trinity River-Texas-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44, No. 6, pp. 607-612. 

  18.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2019). Republic of Korea, accessed 24 December 2019, . 

  19. Yeh, H.F., Chang, C.F., Lee, J.W., and Lee, C.H. (2016). "Using standardized groundwater index an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to assess drought characteristics of the Kaoping River Basin, Taiwan." Water Resources, Springer, Vol. 46, No. 5, pp. 670-678. 

  20. Zhang, D., Lindholm, G., and Ratnaweera, H. (2018). "Use long short-term memory to enhance internet of things for combined sewer overflow monitoring."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556, pp. 409-4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