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에 관한 연구
Study on Entering Self-Employment of Young Worker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1, 2020년, pp.247 - 257  

신재열 (아오야마학원대학 지구사회공생학부) ,  김종성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몇 년간 청년자영업자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정책적으로도 청년들의 창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자영업 노동시장을 검토하고 있는 대다수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장년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청년층의 자영업 노동시장에 관한 선행연구는 일부 연구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특히 청년들의 자영업 진입요인을 별도로 검토한 연구는 부족하며, 분석방법도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자영업 진입연구에서 활용한 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노동시장 조건과 가족 배경, 인적자본의 축적수준 등이 다르므로 별도의 설명체계와 이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5세~29세의 연령층을 별도로 구분하여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조사 9~20차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청년 실업률과 고용률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참조하였다. 분석대상은 현재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청년으로 한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층로짓분석(multi-level logit model)을 활용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실업률이 낮고 고용률이 높을수록 청년층이 자영업에 진입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개인적 차원에서는 가구의 금융자본이 많고 안정적인 직업보다는 고수익을 추구하거나 직업 적성 적합도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자영업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과 부모의 자영업 경험은 청년층의 자영업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proportion of youth's self-employed is steadily increasing, and government policy also actively encourages youth to become an entrepreneur. However, most of the domestic precedent studies on the self-employed labor market focus on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nd previou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 자영업자’를 통계청의 정의에 따라 ‘15~29세의 청년 중 개인 사업체를 운영하거나 특정 사업체에 소속되지 않고 활동하는 프리랜서’로 한정하고, 고용원이 있는 청년자영업자와 고용원이 없는 청년자영업자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 관련 변수가 포함되기 시작한 9차(2006년) 이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요 가설을 검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영업에 진입하는 동기가 연령대에 따라 상이 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요인을 구조적-개인적 수준에서 검토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앞서 검토한 선행연구를 종합해 볼 때,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은 다음과 같은 요인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우선 구조적 관점에서 고용시장의 변화가 자영업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밀어내기 가설에 따른다면 노동시장의 고용조건이 악화될수록 자영업의 비중이 증가하며, 선행연구에 서는 실업률을 이용하여 노동시장의 고용조건을 측정하였다.
  • 자영업 선택에 관한 국내연구도 앞서 제시한 거시· 미시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궤적에 따라 다양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자영업에 관한 본격적 연구의 효시로는 류재우·최호영(1999)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활용하여 자영업의 기본특징을 분석하고, 1990년까지 감소하던 자영업 비율은 이후 반전하여 1998년까지 상승하고 있는 것을 역사적, 사회적, 제도적, 경제적인 요인들에 기인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후 이 주제는 류재우·최호영(2000) 연구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어지고 있다.
  • 그러나 실업률은 경제활동 참가인구에 한정하여 계산하는 지표이므로 노동시장의 고용조건을 왜곡(과소추정)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실업률보다 고용률을 중심으로 노동시장의 고용조건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업률과 고용률의 효과를 교차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Korean Labor Income & Panel Study)를 이용하여 구조적 수준에서의 실업률의 증가와 개인적 수준에서의 금융자본과 인적자본의 보유수준 및 기업가정신의 발현이 15~29세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청년 실업률이 높을수록, 청년층은 자영업으로 밀려나는 경향이 강해진다.
  • 가설 1-2: 청년 고용률이 낮을수록, 청년층은 자영업으로 밀려나는 경향이 강해진다.
  • 가설 2-3: 금융자본이 충분할 경우 자영업에 진입한다.
  • 가설 2-4: 안정성이 높은 일자리를 원할수록 임금노동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 가설 2-5: 임금 또는 수입이 많은 일자리를 추구할수록 자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 이에 반해 ‘밀어내기 가설’은 자영업은 대개 기회주의적인 선택이며, 자영업자들이 임금근로자보다 특별한 능력을 갖췄다는 것에 대해 부정한다. 단지 특정한 지점에서 특정한 시기에 자신들이 처해 있는 환경적인 조건에 대한 반응의 한 형태일 뿐이라고 가정한다. 이는 적절한 임금 근로의 기회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사업을 하는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었다는 것이다(Moore & Mueller, 2002; Livanos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영업 실패확률이 낮다고 판단하여 자영업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끌어들이기 가설’에 따르면, 자영업은 대체로 임금노동보다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기회주의적인 선택의 결과이며, 위험을 감수하고 기업가정신을 발휘한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거시경제 조건이 좋을 때 실업률이 낮아지고 또한 실업률이 낮으면 유효수요도 증가하기 때문에 자영업 실패확률이 낮다고 판단하여 자영업을 선택한다. 설령 자영업에서 실패하더라도 임금근로자로 쉽게 재취업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자영업에 진입하는 경향이 있다(Taylor, 1996; Blanchflower & Oswald, 1998).
기업가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 2016). 기업가적 자본은 ‘기업체를 운영하는 고유한 방식 또는 사업을 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하는 위험에 대한 태도’로 정의할 수 있다(Taylor, 2001). 선행연구에서는 기업가적 자본을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부모님의 자영업 경험 여부를 활용하고 있으며, 부모가 자영업을 경험한 경우, 자녀도 상대적으로 자영업자가 되기 쉽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청년층의 취업문제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은 무엇인가? 이를 반영하듯,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중요한 정책과제로서 추진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청년층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잠재성장률의 저하와 높은 청년 실업률로 인해 청년들이 겪는 불안을 완화하고, 성장잠재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 청년창업 활성화 등과 같은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책추진에 필요한 예산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황보윤 외,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J. S.(2015). Divisions in Socioeconomic Status and Risk Responses of the Self-Employed in Korea. Social Welfare Policy. 42(2), 239-264. 

  2. Andersson, L., & Hammarstedt, M.(2011). Transmission of self-employment across immigrant generations: the importance of ethnic background and gender.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9(4), 555-577. 

  3. Barnir, A., & McLaughlin, E.(2011). Parental self-employment, start-up activities and funding: exploring intergenerational effects. Journal of Developmental Entrepreneurship, 16(03), 371-392. 

  4. Blanchflower, D. G., & Oswald, A. J.(1998). What makes an entrepreneur?. Journal of labor Economics, 16(1), 26-60. 

  5. Caliendo, M., Fossen, F. M., & Kritikos, A. S.(2009). Risk attitudes of nascent entrepreneurs-new evidence from an experimentally validated survey. Small business economics, 32(2), 153-167. 

  6. Chun, Y. M., & Park, G. Y.(2018).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University Graduate Start-ups and Factors Related to Start-up. Journal of the 2018 Employment Panel Survey, 2018 Employment symposium. Seoul: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7. Clark, K., & Drinkwater, S.(2000). Pushed out or pulled in? Self-employment among ethnic minorities in England and Wales. Labour Economics, 7(5), 603-628. 

  8. Enders, C. K., & Tofighi, D.(2007). Centering predictor variables in cross-sectional multilevel models: a new look at an old issue. Psychological methods, 12(2), 121. 

  9. Evans, D. S., & Jovanovic, B.(1989). An estimated model of entrepreneurial choice under liquidity constraint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7(4), 808-827. 

  10. Faria, J. R., Cuestas, J. C., & Mourelle, E.(2010). Entrepreneurship and unemployment: a nonlinear bidirectional causality?. Economic Modeling, 27(5), 1282-1291. 

  11. Halicioglu, F., & Yolac, S.(2015). Testing the impact of unemployment on self-employment: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95, 10-17. 

  12. Hox, J. J.(2013). Multilevel regression and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Oxford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s, 2(1), 281-294. 

  13. Hox, J. J., Moerbeek, M., & van de Schoot, R.(2010). chapter5. Analyzing Longitudinal Data, Multilevel analysi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London: Routledge 

  14. Hwang, B. Y., Kim, J. H., & Bang, J. H.(2013). Impact of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On the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1), 149-160. 

  15. Hwang, K. H.(2017). The growth of young self-employed people. Employment Issue, 10(5), 5-25, Retrieved from https://www.keis.or.kr/user/extra/main/2103/publication/publicationList/jsp/LayOutPage.do?categoryIdx130&pubIdx4041&spage1&onlyListN. 

  16. Hundley, G. (2006). Family background and the propensity for self­employment. Industrial Relations, A Journal of Economy and Society, 45(3), 377-392. 

  17. Jeon, B. Y.(2003). A Study of Selection of Self-employm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6(3), 149-179. 

  18. Keum, J. H., & Cho, J. M.(2000). Theory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Self - employment Selection.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3, 81-107. 

  19. Kim, D. K.(2018). The Experience of Self-employed Business and the Income Mobility by Age Group. Korea Social Policy Review, 25(2), 281-304. 

  20. Kim, P. H., Aldrich, H. E., & Keister, L. A.(2006). Access (not) denied: The impact of financial, human, and cultur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entryin the United States. Small business economics, 27(1), 5-22. 

  21. Kim, W. Y.(2000). Comparative Advantages in the Occupational Choice.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3, 55-80. 

  22. Kim, Y. B., Lee, J. E., Choi, S. J., Shin, S, O., Lee., H. J., & Jung, H. S.(2018). The 20th Korea Labor Panel Survey Report. Sejong: Korea Labor Institute. 

  23. Livanos, I., Yalkin, C., & Nunez, I.(2009). Gender employment discrimination: Greece and the United Kingdom.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30(8), 815-834. 

  24. Moore, C. S., & Mueller, R. E.(2002). The transition from paid to self-employment in Canada: the importance of push factors. Applied Economics, 34(6), 791-801. 

  25. Park, J. H., Park, M. S., & Kim, D. Y.(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Youth Start-up in View of Start-up Policy and the Ecosystem. Proceedings of conference on business Venturing, 137-165. 

  26. Ryoo, J. W., & Choi, H. Y.(1999). Self-Employed Work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2, 109-140. 

  27. Ryoo, J. W., & Choi, H. Y.(2000). Labor Market Dynamics in the self-employed Sector in korea.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3, 109-140. 

  28. Shin, J. Y.(2011). Effect of Non-Pecuniary Factor on Self-Employment Exit and Survival.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9. Shin, J. Y.(2017). Relative deprivation, satisfying rationality, and support for redistribu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140(1), 35-56. 

  30. Shin, J. Y.(2019). The Sociological Mechanism of Support for Redistribution in Capitalism. Doctoral dissertation Osaka University. 

  31. Simoes, N., Crespo, N., & Moreira, S. B.(2016). Individual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entry: What do we really know?. Journal of economic surveys, 30(4), 783-806. 

  32. Sung, J. M.(2002). The Choice of Self-Employment and Career Interruption Among Females.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5, 161-182. 

  33. Taylor, M.(1996). Earning, Independence or Unemployment: Why become self-employed.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59, 253-265. 

  34. Taylor, M. P.(2001). Self-employment and windfall gains in Britain: evidence from panel data. Economica, 68(272), 539-565. 

  35. Uh, S. B., Yoo, K. S., & Choi, K. S.(2012). An Empirical Study on Effects of Risk Attitude on Choices of Self-Employment.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18(1), 35-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