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 운영 개선에 대한 담당자 인식조사 연구
An Investigative Study of the Awareness of Person in Charge on the Improvement of Extended Support Project Operation for the Public Libraries' Opening Hour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1, 2020년, pp.115 - 143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동석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곽우정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이 가진 정보 접근성 향상, 생활복지 구현 등의 목적에 맞는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 현황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별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은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맞는 전략이 필요한 사업으로써 지역 중심의 운영계획을 마련을 통해 향후 국가지원에 의존하기 보다는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직원과 이용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유연한 개관시간 연장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기존 정규직에 준하는 권리와 함께 의무와 책임을 함께 요구하는 조직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 전국 공공도서관이 특정 정책 및 사업에 대해 일관된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기 위해서는 향후 분리되어 있는 공공도서관 운영체계를 일원화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지침 마련이 필요하고, 이용자의 쾌적한 이용을 위한 공간 개선 지원 등 인건비 외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libraries participating in the opening hours support project in order to continue it to meet the purpose of improving information access and life welfar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 were conducted for thos...

주제어

표/그림 (3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 사항 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에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에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문헌정보학계의 개관시간 연장에 관한 연구는 2009년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고, 2013년 이후에는 관련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 국내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의 전반적인 운영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업 전반에 걸친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개선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2009년 도서관연구소에서 진행된 공공도서관 개관시간의 합리적 운영연구 이후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에 대한 실태 파악이 진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업의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 라인에 따른 개관시간 연장 근무자의 정규직 전환 및 전반적인 근로환경에 대한 현황 파악과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운영사업에 참여한 기관을 대상으로 운영현황에 대한 실태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도서관 야간운영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하여 새로운 사업 방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향후 사업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 참여 도서관 현황을 분석하고,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운영이 일반적인 자료이용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정보 접근성 향상 및 생활복지 구현을 위한 사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개선 사항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개방시간 연장지원 사업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통한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과 면담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논의 및 제안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바탕 으로 공공도서관 개방시간 연장지원 사업의 활 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사업이 추 진하고자 하는 공공도서관 야간 운영 및 서비스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에 참여한 모든 기관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 등 다양한 방식의 실증조사를 수반하였으므로, 향후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운영과 관련된 논의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각 항목별 세부 면담 내용을 기입하였는데, 세부 의견 가운데 동일한 의견은 한 번만 기입한 후 뒤에 빈도를 표기하였으며, 상이한 내용의 경우 표 안에 면담 내용을 서술하였다. 이와 같이 수렴된 의견을 기반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 운영 방향성 및 정책적 지원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람실을 보유한 거의 모든 도서관에서 열람실 연장 운영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열람실 보유 현황과 열람실의 연장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114개관에서 열람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열람실 연장 운영을 하고 있는 도서관은 113개관으로, 열람실을 보유한 거의 모든 도서관에서 열람실도 함께 연장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야간 도서관 이용자 가운데, 학습을 위해 방문하는 이용자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표 8> 참조).
긴 노동시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긴 노동시간은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여가 활동을 되풀이한다. 그러나 노동시간의 단축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여가 활동을 촉진시킨다.
노동현장의 근로시간 단축은 어떤 변화를 불러오게 되었는가? 우리나라의 여가 활동은 2004년 주5일제 실시를 시작으로 2011년 주5일 40시간 근무제가 모든 고용근로의 기본조건이 되면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노동현장의 근로시간이 단축되었고, 이러한 제도적 개선은 개인에게보다 자유로운 여가시간의 활용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우선하는 생활문화의 변화를 불러오게 되었다(도서관연구소 2009).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 시간 증가 및 소득수준 증가로 개인의 삶의 질 을 우선으로 하는 생활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문화 관련 시설의 적극적인 서비스 및 공공시설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Guidelines for transitioning to full-time work before part-time work in the public sector. [online] [cited 2019. 9. 10.] 

  2. New Paradigm Center and Center for Arts & Cultural Management. 2004. A Study on Strengthening Public Service and Job Creation in National Museums and Art Galleries. Seoul: New Paradigm Center. 

  3.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2009. A Study on the Reasonable Management Plan of Public Library Opening Hour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9. 2009 Library Policy Seminar-Local Public Library Service Expansion Plan.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2018 Extension of Opening Times for Public Libraries. [online] [cited 2019. 8. 7.] 

  6. Park, Yun-Jeong. 2013.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Opening Hours Extension.' M.A. Thesis, Major in Life 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R. 

  7.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2. Survey on the Use and Demand of Time Extended Childcare.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8. Sim, Sang-Hoon. 2009.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s and Improvement Schemes for Evening Circulation Servic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M.A.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K.R. 

  9. Yoon, Hee-Yoon and Sim, Sang-Hoon. 2010. "Analysis and Improvement Schemes for Evening Circulation Servic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1(1): 1-22. 

  10. Yoon, Hee-Yoon. 2013.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Opening Hours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49-71. 

  11. Choe, Jin-hwa. 2010. Reality and Improvement Proposals for Time-Extended Nurturing Facilities: Centered on Those of the Gimhae Area.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AYA University, K.R. 

  12.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0.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of time extension childcare teacher's allowance and pilot plan.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3. Anderson, I. T. 1933. "Library hours: open to public: fining system."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22(1): 31 

  14. Engel, D., Womack, K. and Ellis, U. 2002. "Opening a library 24 hour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36(4): 95-108. 

  15.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online] [cited 2019. 7. 29.] 

  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nline] [cited 2019. 7. 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