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카이브 아트(archival art)'의 동시대 기록학적 함의 연구
Embracing Archival Arts in Contemporary Archival Practice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4, 2020년, pp.27 - 62  

이경래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주류' 아카이브 연구에서 아직은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는, 국내외 예술계를 중심으로 부상하는 새로운 아카이브 '열병'과 '충동'의 경향을 어떻게 주류 기록학계에서 바라보고 이를 주체적으로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론적 글의 성격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몇 가지 국내 아카이브 아트의 최근 경향성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어떻게 아카이브 아트가 미학적 태도와 방식을 갖고 역사와 기억에 관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예술계 내부 '아카이브 충동' 현상이 '기록학계' 연구 경향에 어떤 시사점이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구체적인 해외 사례, 즉 미국의 한 공공 기록관의 아카이브 체계 내에서 아카이브 충동을 재해석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의미 있는 움직임을 살피고자 한다. 이에 이어서, 아직 구체적 아카이브 방법의 조직화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국내 예술계에서 산발적으로 시도되는 아카이브를 매개하여 이뤄지는 창작 작업의 특징과 성격을 탐색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른바 '아카이브 아티스트'들이 기존의 기록학계에서 관찰되지 않는 방식으로 어떻게 기록되지 않은 것을 기록하고, 배제된 역사를 어떻게 미학적 언어로 소환해 풀어내는지를 살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카이브 아트'라는 이 새로운예술 경향으로부터, 전통의 역사적 기록을 보관박스에서 끄집어내 동시대적 정서 구조 안에서 살아있는 아카이브로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rtic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eliminary writing about how to look at the trend of new archives 'fever' and 'impulsion' emerging around the domestic and foreign art world, which have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yet in the 'mainstream' archive research, and how to accept it independentl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장소 충동의 정의는 무엇인가? ‘저장소 충동’은 바로 이처럼 예술 영역 안팎에서 ‘저장소’ 자원을 창·제작 작업 내부로 끌어오려는 적극적 사고 내지 작가들의 예술 행위나 작업에 접목하려는 주된 형세를 뜻한다. 동시대 창작가들은 ‘저장소 충동’과 함께 예술 창·제작 작업의 일부로서 압축보관과 저장소를 바라보고 이를 중요한 미적 표현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 점점 익숙해져 간다.
포스터가 작성한 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저장소 기술의 특성은 무엇인가? 포스터는 그의 글에서 대표적으로 스위스, 미국, 영국 출신의 세 작가 토마스 허쉬 혼(Thomas Hirsch horn), 샘 듀랜트(Sam Durant), 타시다 신(Tacita Dean)의 작품을 소개하면서, 다음과 같은 저장소 기술의 특성을 살피고 있다. 첫 번째로, 저장소 기술이란 “잃어버리거나 추방된 역사적 정보를 실제로 존재하도록 만드는” 행위이지만, 이는 “기계적인 재처분이 아니라 인간적 해석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고 평가한다. 두 번째로, 사카이 부 기술은 박물관-미술관 체계에 포섭되지 않는 살아 숨 쉬는 ‘생성 중의’ 기록이라고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장소 기술은 공적이거나 사적인 저장소 컬렉션을 관람객들 스스로 재해석하게 하면서 이를 새로운 역사·사회적 문맥 속에 삽입해 새로운 공적 담론을 생산한다고 지적하고 있다(Poster, 2004, 4-5).
국내의 저장소 충동 경향의 추세는 어떠한가? 이제 국내 ‘저장소 충동’ 경향은 지금껏 저장소가 예술 활동 과정 중에 생성된 기록으로 작품 이해에 필요한, 단순 참조나 보조 자료의 역할을 벗어나서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작품이 되거나 전시로 조직되는 데 쓰이는 등 다양한 생성과 쓰임의 맥락을 가져오면서 저장소의 예술적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저장소는 이제 기록 ‘학’적 의미를 넘어 미적 창·제작 과정의 일부에 편입되어 새로운 창의적 자원으로 해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립현대미술관. 2018. 올해의작가상2018_정은영 인터뷰, http://koreaartistprize.org/project/%EC%A0%95%EC%9D%80%EC%98%81 

  2. 문선아. 2014 전시가 아카이브가 될 때. Public Art, 98, 52-55. 

  3. 박상애. 2014. 기록의 확장, 아트 아카이브. 더아트로2014, 40-46. http://www.gokams.or.kr/05_know/data_view.aspx?Idx815&txtSearchStr&ddlSearchSel 

  4. 이경래.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5. 이승억. 2013. 경계밖의 수용: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록학연구, 38, 189-223. 

  6. 정연심. 2012. 2000년대 이후의 현대미술과 아카이브 열병. 미술세계, 337, 88-91. 

  7. 지가은. 2014. 과거의 흔적으로부터 미래를 엮어가다. 더아트로2014, 13-16. 

  8. Carbone, Kathy Michelle. 2015. Artists in the Archive: An Exploratory Study of the Artist-in-Residence Program at the City of Portland Archives & Records Center, Archivaria, 79, 27-52. 

  9. Carbone, Kathy Michelle. 2016. Artists and records: moving history and memory. Archives and Records, 1-19. 

  10. Cook, Terry. 2000. Archival Science and Postmodernism: New Formulations for Old Concepts. Archival Science, 1(1), 3-24. 

  11. Cook, Terry. 2001. Fashionable Nonsense or Professional Rebirth: Postmodernism and the Practice of Archives. Archivaria, 51, 14-35. 

  12. Derrida, Jacque. 1996. Archival Fever: A Freudian Impression. Chicago: Chicago Univ. Press. 

  13. Donnelly, Sue. 2008. Art in the Archives: An Artist's Residency in the Archives of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Tate Papers. https://www.tate.org.uk/research/publications/tate-papers/09/art-in-the-archives-an-artists-residency-in-the-archives-of-the-london-school-of-economics 

  14. Eastwood, Terry. 2010. A Contested Realm: The Nature of Archives and the Orientation of Archival Science. Terry Eastwood & Header MacNeil ed.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Santa Barbara, California: Libraries Unlimited. 

  15. Emerling, Jae. 2005. Theory for Art History. New York and London. 

  16. Foster. Hal, 2004. An Archival Impulse. October, 110, 3-22. 

  17. Imatani, Garrick. and Sand, Kaia. About the Watcher Files Project. The Watcher Files Project. http://looseleafservices.us/about/ 

  18. Ketelaar, Eric. 2001. Tacit Narratives: The Meanings of Archives. Archival Science, 1(2), 131-141. 

  19. Regional Arts &Culture Council, Exhibit Guide, 2015, http://kaiasand.net/wp-content/uploads/2015/12/Laminated1.pdf 

  20. Spieker, Sven. 2008. The Big Archive: art from bureaucracy, Cambridge (MA): MIT Press: 스벤 스피커. 2013. 빅아카이브. 이재영 역. 2018. 홍디자인. 

  21. The City of Portland Archives & Records Center, Making art out of history, https://www.portlandoregon.gov/archives/51815 

  22. Upward, Frank. 1996.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 Part One: Postcustodial Principle and Properties. Archives and Manuscripts, 24(2), 268-285. 

  23. White, H. 2000. Catastrophe, Communal Memory and Mythic Discourse: the uses of myth in the reconstruction of society, Strath B. ed. Myth and Memory in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historical patterns in Europe and Beyond. PIE-Peter Lang, 49-7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