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옥신축의 정보효과와 기업가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Effect of New Office Investments and Determinant of Firm Value 원문보기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아태비즈니스연구, v.11 no.3, 2020년, pp.95 - 106  

이진훤 (오산대학교 경영계열) ,  이포상 (송원대학교 금융세무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 of the disclosure of new office investments on the Korean stock market and investigates determinant of performance of sample firm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sample consists of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Exchange that announced invest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1년 동안 한국주식시장에서 사옥신축을 위해 투자공시를 한 기업의 정보효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한국거래소(KRX)의 유가증권(Mainboard) 과 코스닥(Kosdaq)시장에 상장(listing)된 기업들 중 해당 사안의 공시가 발생한 기업을 표본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들이 기업가치 극대화 이론에 기반하여 사옥신축에 대한 경영자의 의도를 긍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양의 공시효과가 나타나는지, 대리인이론에 따라 기업의 수익성 증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여 음의 공시효과가 나타나는지, 혹은 기업 본연의 영업활동과 관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별다른 주가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사옥신축의 정보효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및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자본시장의 이해관계자들이 가치극대화이론에 기반하여 사옥신축에 대한 경영자의 의도를 긍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양의 공시효과가 나타나는지, 대리인이론에 따라 기업의 수익성 증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여 음의 공시효과가 나타나는지, 혹은 기업 본연의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별다른 주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옥신축의 정보효과와 기업가치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사옥신축 사건공시일 전후의 주가반응을 분석해봄으로써 자본시장 내 투자자들이 사옥신축정보를 어떻게 해석하고 반응하는지를 분석하고 기업가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한다. 만약 연구 결과 시장에서 사옥신축 시설투자라는 경영자의 의사결정이 향후 임대비용의 절감 및 재정비를 통한 이미지 개선 등의 효과에 대한 기대심리가 크게 작용함으로써 기업가치 극대화 이론에 따라 주주가치 증진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된다면 자본시장에서 양(+)의 주가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사옥신축 시설투자 정보의 정보효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시설 투자 공시에 따른 주가수익률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자본시장 내 투자자들이 사옥신축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고 반응하는지를 살펴보고, 약 1년간의 누적초과수익률의 변화를 통하여 사옥신축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 이러한 연구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건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옥신축 투자정보가 자본시장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저자가 조사한 바로는 한국주식시장에서는 Sim(1995) 및 Choi and Kim(1996)등을 시초로 시설투자공시에 관한 포괄적 연구가 진행되어왔고 사옥신축에 관한 개별사안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 되는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한편, 개별기업의 상황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개별기업의 보유현금 규모, 투자규모, 매출성장 등의 요인에 따라 차별적 반응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옥신축기업의 기업가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mbarish, R., K. John and J. Williams (1987), "Efficient Signaling with Dividends and Investments", The Journal of Finance, 42(2), 321-343. 

  2. Anderson, C. W. and L. Garcia-Feijoo (2006), "Empirical Evidence on Capital Investment, Growth Options, and Security Returns", The Journal of Finance, 61(1), 171-194. 

  3. Chan, S. H., G. W. Gau and K. Wang (1995), "Stock Market Reaction to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Evidence from Business Relocations", Journal of Financial and Quantitative Analysis, 81-100. 

  4. Chan, S. H., J. D. Martin and J. W. Kensinger (1990), "Corporate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and Share Value",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26(2), 255-276. 

  5. Cho, J. Y. and J. H. Lee (2016), "The Effect of Stock Price on the Announcements of Corporate Capital Investment",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28(1), 149-162. 

  6. Choi, J. H. and J. S. Kim (1996),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Expenditures and Firm Value", Korean Management Review, 25(3), 171-203. 

  7. Chung, K. H., P. Wright and C. Charoenwong (1998),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Market Reaction to Capital Expenditure Decisions", Journal of Banking & Finance, 22(1), 41-60. 

  8. Cooper, M. J., H. Gulen and M. J. Schill (2008), "Asset Growth and the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The Journal of Finance, 63(4), 1609-1651. 

  9. Jones, E., J. Danbolt and I. Hirst (2004), "Company Investment Announcements and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The European Journal of Finance, 10(5), 437-452. 

  10. Kallapur, S. (1994), "Dividend Payout Ratios as Determinants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A Test of the Free Cash Flow Theory",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17(3), 359-375. 

  11. Kerstein, J. and S. Kim (1995), "Th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 of Capital Expenditures", The Accounting Review, 70(3), 513-526. 

  12. Ki, H. H. and S. E. Choe (2006), "A Study on the Reaction Stock Price to Announcements of Corporate Capital Investment in KOSDAQ", Review of Accounting and Policy Studies. 11(3), 119-142. 

  13. Kim, T. K., J. S. Shin and Y. J. Lim (2012), "Capital Expenditure and Agency Cos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2), 1051-1062. 

  14. Lang, L. H. and R. H. Litzenberger (1989), "Dividend Announcements: Cash flow Signalling vs. Free Cash Flow Hypothesis?",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24(1), 181-191. 

  15. Lee, J. H (2017), "The Impact of Financial Reporting Quality on the Announcements of Corporate Capital Investment",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28, 157-173. 

  16. McConnell, J. J. and C. J. Muscarella (1985), "Corporate Capital Expenditure Decisions and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14(3), 399-422. 

  17. Sim, D. S. (1995), "A Study on the Reaction of Stock Price to Announcements of Corporate Capital Expenditures",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18(1), 257-281. 

  18. Titman, S., K. J. Wei and F. Xie (2004), "Capital Investments and Stock Returns", Journal of Financial and Quantitative Analysis, 39(4), 677-700. 

  19. Titman, S., K. J. Wei and F. Xie (2009), "Capital Investments and Stock Returns in Japan", International Review of Finance, 9(1-2), 111-131. 

  20. Trueman, B. (198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apital Expenditures and Firm Value", Journal of Financial and Quantitative Analysis, 21(2), 115-12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