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경험학습(Community Based Learning: CBL) 기반 대학 통일관광경영 수업 모듈 개발
Unification Tourism Management Class Module Developed by Community Based Learning(CBL) 원문보기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아태비즈니스연구, v.11 no.3, 2020년, pp.261 - 271  

우은주 (부경대학교 관광경영전공) ,  박은경 (대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  김영국 (강원대학교 관광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unified tourism management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Gangwon-do. Community based learning(CBL) was applied to provide a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 of tourism resources the theoretical approaches and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community.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통일관광경영에 대한 국내외 환경 및 운영방안에 관한 내용을 숙지하고, 지역학습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갖추는 것을 수업목표로 한다. 그리고 남북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강원도 내 북한 접경지역의 자원이나 현장을 직접 방문해 자원이나 현장을 직접 방문해 학습자 중심의 참여와 실천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 현장체험 학습을 구성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경험학습의 주요한 핵심역량은 학생들의 반성(reflection)을 통해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이슈와 지역사회의 기여방안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고취하는 것이다.
  • 특히 대학의 평화․통일교육의 특성을 전공계열에 반영하여 평화․통일경영 교육 프로그램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대상을 DMZ 접근지역에 속해있는 강원도를 연구대상으로 한정 짓고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욱이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전공계열, 지역특성, 그리고 지역과 연계를 토대로 접근하고, 연구대상인 실향민, DMZ, 군사시설, 북한과의 체감이 높은 강원도에 있는 대학을 위한 평화․통일관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의 전공별 특성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경험학습(community based learning: CBL)에 기초해 관광계열 대학생을 위한 통일관광경영 수업 모듈 개발에 대한 과제를 궁극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서 참여자들이 제안한 다양한 현장체험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 과 같은 현장체험 코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미래의 주역으로 성장할 대학생들을 위한 교육 주체와 관련자를 대상으로 대학의 통일교육 수업 모듈 개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대학의 평화․통일교육의 특성을 전공계열에 반영하여 평화․통일경영 교육 프로그램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대상을 DMZ 접근지역에 속해있는 강원도를 연구대상으로 한정 짓고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평화·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전공계열에 대한 접근과 지역연계에 대한 관점을 적용함으로써 학문적 특성을 적용한 교수법의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대학 현장의 전통적인 이론 및 강의식 수업에 대한 문제를 지역 현장으로 유도하는 방식인 지역사회경험학습을 통일관광경영 교육에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DMZ 와 군사시설이 현존하는 강원도 지역에 기반한 대학교의 관광 및 경상계열 학생들이 평화·통일의 유·무형 자원을 직접 경험하고 실제 이러한 자원을 통일관광경영의 방식으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학습효과를 가져오고 평화·통일경영에 대한 여건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강원도를 연고로 한 대학생들을 위한 통일관광경영 수업을 개설하는데 있어 지역사회 경험 학습법을 적용하여, 전공계열의 이론적 접근과 지역사회를 실제 체험을 통해 평화·통일의 유·무형 자원을 직접 경험해 대학원들의 통일의식 및 통일관광경영을 고취하고자 하는 교육적 효과를 목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통일관광경영 수업 모듈 설계를 위해, 본 연구는 정성적 연구방법과 정량적 연구를 적용하여 수업의 방향성과 세부계획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 더욱이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전공계열, 지역특성, 그리고 지역과 연계를 토대로 접근하고, 연구대상인 실향민, DMZ, 군사시설, 북한과의 체감이 높은 강원도에 있는 대학을 위한 평화․통일관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의 전공별 특성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경험학습(community based learning: CBL)에 기초해 관광계열 대학생을 위한 통일관광경영 수업 모듈 개발에 대한 과제를 궁극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통일관광경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전공계열에 대한 접근과 지역연계에 대한 관점을 적용함으로써 학문적 특성을 적용한 교수법의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평화·통일의 유·무형 자원을 직접 경험하여 실제 이러한 자원을 평화·통일경영의 방식으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학습효과를 가져옴으로써 평화·통일경영에 대한 여건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통일관광경영 수업 모듈 설계의 구체적인 세부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성적 연구방법과 정량적 연구를 통해 세부적 수업내용의 정보를 수집하고자 한다. 우선 수업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수업과 수업방식에 대한 탐색적인 정보를 수집하고자 3명의 전문가와 경상계열에 대학생 10명과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 통일관광경영 수업 모듈을 구성하는 기초는 수업 주제를 탐색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과 주제 지식을 구성하는 방식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통일관광경영에 대한 국내외 환경 및 운영방안에 관한 내용을 숙지하고, 지역학습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갖추는 것을 수업목표로 한다.
  • 통일교육 수업 모듈 개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대학의 평화․통일교육의 특성을 전공계열에 반영하여 평화․통일경영 교육 프로그램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대상을 DMZ 접근지역에 속해있는 강원도를 연구대상으로 한정 짓고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욱이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전공계열, 지역특성, 그리고 지역과 연계를 토대로 접근하고, 연구대상인 실향민, DMZ, 군사시설, 북한과의 체감이 높은 강원도에 있는 대학을 위한 평화․통일관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 2002; Melaville, Berg & Blank, 2006). 학교 수업에서 전달되는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교육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한 교안을 편성하고, 수업주제와 관련된 실제 환경을 수업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Cheong, Myung-Hwa․Kim Kyeong-Ran(2013)은 지역사회경험학습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지역사회도 학생들이 미래를 준비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지적하며, 지역사회도 학생들의 배움의 터전으로 자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yeon, Jong-Heon (2012), "The Task of Unification Education at Colleges", Unification Policy Studies, 21(1), 157-186. 

  2. Carter, M., E. Rivero, W. Cadge and S. Curan (2002), "Designing your Community-based Learning Project: Five Questions to Ask about your Pedagogical and Participatory goals", Teaching Sociology, 30, 158-173. 

  3. Cheong, Myung-Hwa and Kyeong-Ran Kim (2013), "A Theoretical Bases for the Applying Method of Community Based Learning to Community College",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8(2), 99-119. 

  4. Dunn, W. N. (1994),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e, NJ: Prentice Hall. 

  5. Fossey, E., C. Harvey, F. McDermott, and L. Davidson (2002),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Qualitative Research",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6(6), 717-732. 

  6. Furco, A., and S. Billig (2002), Service-learning: the Essence of the Pedagogy, Lightning Source Inc. 

  7. Gangwon-do (2017), Gangwon-do Border Area Security Field Experience Course, Gangwon-do. 

  8. Han, Seung-Dae (2019), "Study of the State and Task of Government-supported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6), 1201-1215. 

  9. Hyung,Jung-Eun, Myung-Hwa Cheong and Kyeong-Ran Kim (2011),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Learning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6(2), 175-195. 

  10. Im, Hyun-Mo (2017), "A Research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Unification of Gwang 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cusing o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Selection of Leading University for Unification Education",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56, 155-188. 

  11. Kim, Jong-Su (2015),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Revitalization in University", The Institute for North Korean Studies, 11(1), 103-130. 

  12. Kim. Y. G., A. Eves and C. Scarles (2009), "Building a Model of Local Food Consumption on Trips and Holidays: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8: 423-431. 

  13. Kim, Y. and K. Li (2009), "Customer Satisfaction with and Loyalty towards Online Travel Products: A Transaction Cost Economics Perspective", Tourism Economics, 15(4), 825-846. 

  14.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5. Lee Ji-Yeon (2018),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at Unif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y", Unification Stratrgy, 18(1), 255-286. 

  16. Lee, Mi-Kyung (2014), "A Study of th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the College Students' Positive Perceptions on Unification",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70, 175-195. 

  17. Melaville, A., A. C. Berg, and J. B. Blank (2006), Community-Based Learning: Engaging Students for Success and Citizenship, Washington DC: Coalition for Community Schools. 

  18. Owens, T., and C. Wang (1996), "Community-based Learning: A Foundation for Meaningful Educational Reform", School Improvement Research Series, Topic Synthesis 8. 

  19. Reeb, R. N. (2006), "Community Action Research", Journal of Prevention &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32(1-2), 1-3. 

  20.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8), Unification Consciousness Survey, http://tongil.snu.ac.kr/xe/sub710/732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