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턱관절음양균형요법과 한방 치료를 적용한 시상 부위 뇌경색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Thalamus Cerebral Infarction Treated with TMJ Balancing Therapy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Journal of TMJ balancing medicine, v.10 no.1, 2020년, pp.21 - 25  

채인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유호룡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TMJ balancing therapy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treatments on a thalamus cerebral infarction patient with hemiparesis and gait disturbance.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MJ balancing therapy, along with kore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시상 부위 뇌경색에 한방 치료와 함께 턱관절균형요법을 병행한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는 발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시상 부위 뇌경색 환자에게 턱관절균형요법, 한약, 침구, 부항 및 물리치료를 이용한 한방 치료를 병행하여 우측 편마비, 보행 장애 증상이 유의미하게 호전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좌측 시상의 전외측 부위에 발생한 뇌경색 환자에게 턱관절 균형 요법, 한약, 침구, 부항 및 물리치료를 이용한 한방 치료 병행을 통해 우측 편마비, 보행 장애에 대한 유의미한 호전을 확인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upta N, Pandey S. Post-thalamic stroke movement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Eur Neurol 2018;79(5-6):303-14. 

  2. Korean Stroke Society. Text book of stroke. 2nd rev. ed. Seoul:PanMun education. 2015:95. 

  3.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Olsen TS.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1995;76(1):27-32. 

  4. Choi YJ, Kim KT, Shin SM, Ko H. Analysis of treatment effect according to the period of herbal treatment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admitted with hemiplegia: Retrospective medical chart review. J. Int. Korean Med. 2019;40(4):675-96. 

  5. Lee YJ. TMJ balancing therapy. 1st ed. Paju:Fishwood. 2019:39, 42-6, 80-9, 107-128, 130-1, 176-87, 351-2. 

  6. Woo SJ, Baek KM, Jang WS. A case report of a thalamus, midbrain, and cerebellum infarction patient suffering from blepharoptosis and ocular motility disorders treated by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8;39(2):201-8. 

  7. Eom YJ, Hong CH. A case study of ocular motility disorders caused by thalamus, midbrain and pontine infarction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4):130-41. 

  8. Lee MR, Park MJ, Kim GM, Cho KH, Moon SK, Kwon SW, et al. A case study of dysgeusia in a patient with an acute thalamic infarction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7;38(2):226-34. 

  9. Kim EJ, Kim LD, Jung WS, Moon SK. Two cases of acute stroke patients treated with Yukmijihwang-tang (Liu-wei-de-huang-tang). J Int Korean Med. 2002;123-8. 

  10. Jung SM, Ko HY, Jung KY, Kim DW, Park CH, Choi YK, et al. A clinical case report of wind Bi syndrome treated with Baekzung-hwan after thalamic cerebrovascular Accident. J Int Korean Med. 2005;269-77. 

  11. Kim JH, Park GC. A case report of central post-stroke pain patient treated with scalp acupuncture(MS6 and MS7) and usual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The Acupuncture. 2014;31(3):57-65. 

  12.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Rodgers MM, Romani WA.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5:4-23. 

  13. Mehrholz J, Wagner K, Rutte K, Meissner D, Pohl M. Predictiv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0):1314-9. 

  14. Jung HY, Park BK, Shin HS, Kang YK, Pyun SB, Paik NJ,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1(3):283-97. 

  15. Lee KM, Jang YH, Kim YH, Moon SK, Park JH, Park SW,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Multi-center study-.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4;28(5):422-35. 

  16. Lee SJ, Lee EY, Kim HJ, Hwang JY, Lee JH. Changes of dental occlusion after stroke: case report. Korean Association for Disability and Oral Health. 2008;4(1):26-31. 

  17. Lee YJ, Lee BH, Cho SI. Effect of tooth-cut induced dental malocclusion on mouse model of ischemic stroke. Journal of TMJ Balancing Medicine. 2019;9(1):4-11. 

  18. The national college of korean medicine department of herbology. Department of herbolgy. 3rd rev ed. Seoul:Younglim Inc. 2009:233-6, 240-1, 277-8, 345-6, 348-9, 589-91, 64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