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사경찰의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e Investigato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of Supervisors - 원문보기

시큐리티연구 = Korean security journal, v.62, 2020년, pp.159 - 183  

한진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  곽대경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법정에서는 증거재판주의를 중시하고 있고, 증거수집과정과 절차의 정당성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수사경찰이 자신이 속한 경찰조직에 애착을 느끼고, 조직의 목표에 대한 일체감을 느끼는 것을 의미하는 조직몰입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이 연구에서는 수사경찰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조직공정성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수사경찰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상사의 신뢰를 매개 변수로 투입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한 점에 특색이 있다. 기본적으로 이 연구는 대한민국의 수사경찰이 현장수사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상사의 신뢰가 중요하다는 가정 하에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2017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3회에 걸쳐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운영 중인 수사요원선발과정과 전국 수사경찰 직무교육 과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분석을 살펴보면, 첫째, 수사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이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수사경찰공무원의 상사의 신뢰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urt in Korea values evidence justice, and also demands justification for the process of collecting evi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means that the police investigators performing these tasks feel attached to the police organizatio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수사경찰의 조직공정성이 상사의 신뢰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정서적 몰입에는 분배적 공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범적 몰입에는 절차적 공정성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사경찰의 조직몰입을 측정하기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직무에 영향을 주는 조직공정성과 매개변수인 상사의 신뢰가 수사경찰의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변수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모델은 <그림 1>과 같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수사 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수사 경찰공무원의 상사의 신뢰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 수사 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상사의 신뢰를 매개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사의 신뢰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나 변혁적 리더십의 공통적 특징 중 하나가 부하직원들이 느끼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핵심요소로 삼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사의 신뢰는 리더십이 발휘되는 이면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변수로서 구성원의 조직 내 태도나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수사경찰공무원들 중에서 상사의 신뢰를 높게 평가하는 수사경찰은 조직에 대한 높은 몰입도를 나타내며 이직률도 낮고, 조직몰입에 더 많은 노력을 할애한다(Vandenberghe, Sucharski, & Rhodes, 2002: Whittington, Goodwin, & Murray, 2004).
서번트 리더십이나 변혁적 리더십의 공통적 특징 중 하나는?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나 변혁적 리더십의 공통적 특징 중 하나가 부하직원들이 느끼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핵심요소로 삼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사의 신뢰는 리더십이 발휘되는 이면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변수로서 구성원의 조직 내 태도나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분배공정성 개념은 무엇인가? 분배공정성은 조직이 보유한 자원, 작게는 조직의 보상과 관련한 배분 결과에 대하여 지각된 공정성이다. 특히, 종사원의 보상에 대한 공정성 지각은 성과로부터 연유하는 금전적 이득이나 손실, 그리고 조직성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높고, 보상은 조직과 사회에서의 지위와 성공을 대변해주고 있을 뿐 아니라 개인 소득과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신규희, 2013: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경찰청 (2018). 정성을 다하는 수사경찰. 

  2. 김경민 (2018).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9, 67-94. 

  3. 김대수, 이종완 (2014).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응집력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6, 1-23. 

  4. 김순석 (2008). 경찰 조직 내 직속상관의 영향력행사유형과 조직 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노경섭 (2019).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6. 문채봉 (2014). 리더십유형 및 구성원의 역량확대가 리더십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민경호 (2005). 조직행동론. 무역경영사. 

  8. 성시한 (2014).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규희 (2013). 상사의 공정성이 종사원의 침묵 행위와 정서.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 F&B 조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양석곤, 김성용, 안성익 (2017). 상사신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8, 131-163. 

  11. 이경근, 박성수 (1999). 조직공정성과 임금만족간의 인과관계: 절차적 공정성, 상호작용적 공정성, 분배적 공정성간의 관계와 역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7, 191-229. 

  12. 이영석 (2004). 회사신뢰 및 상사신뢰의 결정요인과 효과성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재연 (2001). 조직 내 리더에 대한 신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재훈, 최익봉 (2004).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2, 93-132. 

  15. 이진규, 박지환 (2003). 부하가 인지한 상사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과 성과간 신뢰 및 가치일치의 매개효과 검증. 경영학연구, 32(4), 925-954. 

  16. 이철수 (2007). 상사와 부하 간의 신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효영 (2018). 지역사회 경찰공무원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재강, 권용섭 (2015). 경찰관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59(2), 217-239. 

  19. 임창호 (2012).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경찰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4(6), 309-334. 

  20. 최익봉, 이재훈 (2006). 리더의 임파워먼트 행위,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4, 215-247. 

  21. Adams, J. S.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 pp. 267-299). Academic Press. 

  22. Angle, H. L., & Perry, J. L. (1981). An empirical asses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1-14. 

  23. Bass, B. M. (1990).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s, 18(3), 19-31. 

  24. Baterman, T. S. (1984). SA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27(1). 

  25. Becker, H. S. (1960). Notes on the concept of commit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6(1), 32-40. 

  26. Buchanan, B. (1974).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33-546. 

  27. Butler Jr, J. K., & Cantrell, R. S. (1984). A behavioral decision theory approach to modeling dyadic trust in superiors and subordinates. Psychological Reports, 55(1), 19-28. 

  28. Doney, P., Cannon, J., & Mullen, M. (1998).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national 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601-620. 

  29. Folger, R., & Konovsky, M. A.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1), 115-130. 

  30. Greenberg, J. (1987).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1), 9-22. 

  31. Homans, G. C. (1961). Its elementary forms. Social Behavior, 488-531. 

  32. Konovsky, M. A., & Pugh, S. D. (1994). Citizenship behavior and social ex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656-669. 

  33. Laschinger, H. K. S., Finegan, J., & Shamian, J. (2001).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rganizational trust on staff nurses'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6(3), 7-23. 

  34. Lind, E. A., Walker, L., Kurtz, S., Musante, L., & Thibaut, J. W. (1980). Procedure and outcome effects on reactions to adjudicated resolu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4), 643. 

  35. Lind, E. A., & Tyler, T. R. (1988). Critical issues in social justice.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New York, NY, US. 

  36. Mathieu, J. E., & Zajac, D. (1990).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08(2), 171-194. 

  37. McAllister, D. J. (1995).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1), 24-59. 

  38. McEvily, B., Perrone, V., & Zaheer, A. (2003). Trust as an organizing principle. Organization Science, 14(1), 91-103. 

  39. Moorman, R. H. (1991).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6), 845. 

  40. Niehoff, B. P., & Moorman, R. H. (1993).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3), 527-556. 

  41. Podsakoff, P. M., MacKenzie, S. B., Moorman, R. H., & Fetter, R. (1990).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1(2), 107-142. 

  42. Thibaut, J. W., & Walker, L. (1975).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Hillsdale, NJ: Erlbaum. 

  43. Tyler, T. R., & Bies, R. J. (1990). Beyond formal procedures: The interpersonal context of procedural justice. Applied Soci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Settings, 77, 9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