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Evaluation of root and root canal morphology of elderly Korean patients maxillary molar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8 no.2, 2020년, pp.95 - 102  

이태용 (한국의료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존과) ,  김미연 (한국의료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존과) ,  김선호 (한국의료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존과) ,  김정희 (한국의료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상악 제1대구치(MM1), 제2대구치(MM2)에서 제2근심협측(MB2) 근관, 치근 융합 및 C형 근관의 발생률에 대해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술 전 평가를 위해 CBCT 촬영을 한 환자를 선택했다. 1658명의 환자로부터 1498개의 MM1과 1742개의 MM2의 CBCT 영상이 획득되었고, MB2 근관, 치근융합 및 C형 근관을 분석했다. 연령, 성별 및 치아위치와 MB2 근관 발생률간의 관계도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표본은 비교적 고령(평균연령: 66.1세)이었다. MB2 근관의 발생률은 MM1, MM2 각각 60.1%, 28.0% 였고, MM1, MM2에서 각각 Weine Type III, Type II가 우세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MB2 근관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M1에서는 남성에서 MB2 근관이 더 많이 발견되었다. 치근융합은 MM1에서 2.3%, MM2에서 26.2%, C형 근관은 MM1에서 0.4%, MM2에서 2.7%로 모두 MM2에서 발생률이 더 높았다. 결론: MB2 근관은 MM2보다 MM1에서 더 발생률이 높았다. 치근융합과 C형 근관은 모두 MM2에서 더 발생률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the second mesiobuccal (MB2) canal, root fusion, and C-shaped root canal configuration in the Korean maxillary first (MM1) and second (MM2) molars by analyz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의 목적은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하여 한국인 상악 제1대구치, 제2대구치에서 연령, 성별, 치아위치에 따른 근십협측 치근에서 MB2 근관의 발생률, 치근융합 및 C형 근관의 발생률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관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근관치료의 주요한 목적은 근관와동의 형성과 근관계의 모든 치수 공간의 완전한 세정 및 형성을 통하여, 근관계를 삼차원적으로 완벽하게 충전하는 것이다.1 따라서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서는 치근 및 근관 형태의 완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서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근관치료의 주요한 목적은 근관와동의 형성과 근관계의 모든 치수 공간의 완전한 세정 및 형성을 통하여, 근관계를 삼차원적으로 완벽하게 충전하는 것이다.1 따라서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서는 치근 및 근관 형태의 완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C형 근관 형태는 어느 부위에서 발견되는가? 또한 해부학적 변이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C형 근관 형태이다. 대부분의 C형 근관은 하악 제2대구치에서 발견되나,20 하악 제1대구치,21 상악 제1, 2대구치,14,22-26 하악 제1, 2소구치27 에서도 발견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두 명의 연구자가 상악 대구치에서 C형 근관을 보이는 증례를 처음 보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Vertucci FJ. Root canal anatomy of the human permanent tee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4;58:589-99. 

  2. Zheng QH, Wang Y, Zhou XD, Wang Q, Zheng GN, Huang DM.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of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root and canal morphology in a Chinese population. J Endod 2010;36:1480-4. 

  3. Badole GP, Bahadure RN, Warhadpande MM, Kubde R. A rare root canal configuration of maxillary second molar: a case report. Case Rep Dent 2012;2012:767582. 

  4. Zhang R, Yang H, Yu X, Wang H, Hu T, Dummer PM. Use of CBCT to identify the morphology of maxillary permanent molar teeth in a Chinese subpopulation. Int Endod J 2011;44:162-9. 

  5. Stropko JJ. Canal morphology of maxillary molars: clinical observations of canal configurations. J Endod 1999;25:446-50. 

  6. Weine FS, Hayami S, Hata G, Toda T. Canal configuration of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of a Japanese sub-population. Int Endod J 1999;32:79-87. 

  7. Park JW, Lee JK, Ha BH, Choi JH, Perinpanayagam H.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ary first molar mesiobuccal root canal configuration and curvature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9;108:437-42. 

  8. Gilles J, Reader A. An SEM investigation of the mesiolingual canal in human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0;70:638-43. 

  9. Wasti F, Shearer AC, Wilson NH. Root canal systems of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teeth of south Asian Pakistanis. Int Endod J 2001;34:263-6. 

  10. Smadi L, Khraisat A. Detection of a second mesiobuccal canal in the mesiobuccal roots of maxillary first molar tee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e77-81. 

  11. Imura N, Hata GI, Toda T, Otani SM, Fagundes MI. Two canals in mesiobuccal roots of maxillary molars. Int Endod J 1998;31:410-4. 

  12. Caliskan MK, Pehlivan Y, Sepetcioglu F, Turkun M, Tuncer SS.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permanent teeth in a Turkish population. J Endod 1995;21:200-4. 

  13. Alavi AM, Opasanon A, Ng YL, Gulabivala K. Root and canal morphology of Thai maxillary molars. Int Endod J 2002;35:478-85. 

  14. Tian XM, Yang XW, Qian L, Wei B, Gong Y. Analysis of the root and canal morphologies in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in a chinese popula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J Endod 2016;42:696-701. 

  15. Wang H, Ci B, Zhang Xuanning, Ning T, Yan Y, Ma DD, Wu BL. Analysis of patients with a second canal in mesiobuccal root of maxillary molars in Southern China: A retrospective study. Int J Clin Exp Med 2017;10:13678-86. 

  16. Lee JH, Kim KD, Lee JK, Park W, Jeong JS, Lee Y, Gu Y, Chang SW, Son WJ, Lee WC, Baek SH, Bae KS, Kum KY. Mesiobuccal root canal anatomy of Korean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1;111:785-91. 

  17. Fogel HM, Peikoff MD, Christie WH. Canal configuration in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 clinical study. J Endod 1994;20:135-7. 

  18. Betancourt P, Navarro P, Munoz G, Fuentes R. Prevalence and location of the secondary mesiobuccal canal in 1,100 maxillary molar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BMC Med Imaging 2016;16:66. 

  19. Eskoz N, Weine FS. Canal configuration of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J Endod 1995;21:38-42. 

  20. Melton DC, Krell KV, Fuller MW. Anatom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C-shaped canals in mandibular second molars. J Endod 1991;17:384-8. 

  21. Bolger WL, Schindler WG. A mandibular first molar with a C-shaped root configuration. J Endod 1988;14:515-9. 

  22. Martins JN, Mata A, Marques D, Anderson C, Carames J.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xillary c-shaped molar. J Endod 2016;42:383-9. 

  23. Jo HH, Min JB, Hwang HK. Analysis of C-shaped root canal configuration in maxillary molars in a Korean popula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Restor Dent Endod 2016;41:55-62. 

  24. De Moor RJ. C-shaped root canal configuration in maxillary first molars. Int Endod J 2002;35:200-8. 

  25. Yang ZP, Yang SF, Lee G. The root and root canal anatomy of maxillary molars in a Chinese population. Endod Dent Traumatol 1988;4:215-8. 

  26. Newton CW, McDonald S. A C-shaped canal configuration in maxillary first molar. J Endod 1984;10;397. 

  27. Kottoor J, Albuquerque D, Velmurugan N, Kuruvilla J. Root anatomy and root canal configuration of human permanent mandibular premolars: A systematic review. Anat Res Int 2013;2013:254250. 

  28. Weine FS, Healey HJ, Gerstein H, Evanson L. Canal configuration in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its endodontic significanc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9;28:419-25. 

  29. Hildebolt CF. Osteoporosis and oral bone loss. Dentomaxillofac Radiol 1997;26:3-15. 

  30. Benson BW, Prihoda TJ, Glass BJ. Variations in adult cortical bone mass as measured by a panoramic mandibular index.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1:349-56. 

  31. Kim Y, Lee SJ, Woo J. Morphology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analyzed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a korean population: variations in the number of roots and canals and the incidence of fusion. J Endod 2012;38:1063-8. 

  32. al Shalabi RM, Omer OE, Glennon J, Jennings M, Claffey NM. Root canal anatomy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permanent molars. Int Endod J 2000;33:405-14. 

  33. Wu D, Zhang G, Liang R, Zhou G, Wu Y, Sun C, Fan W. Root and canal morphology of maxillary second molars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a native Chinese population. J Int Med Res 2017;45:830-842. 

  34. Ross IF, Evanchik PA. Root fusion in molars: incidence and sex linkage. J Periodontol 1981;52:663-7. 

  35. Tachibana H, Matsumoto K. Applicability of X-ray computerized tomography in endodontics. Endod Dent Traumatol 1990;6:16-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