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가상모형을 이용한 하악 제2소구치 교두 변이 대칭성에 대한 융복합적 분석 - 전북지역 일부 대학생을 중심으로
Convergence analysis of cusp variation symmetry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using 3-dimensional virtual models -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in Jeollabuk-do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2, 2022년, pp.317 - 323  

남신은 (원광보건대학교 치기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차원 가상모형을 이용하여 하악 제2소구치 교두 변이 양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교두 변이에 따른 치아 표면적의 정량적 분석과 함께 좌·우측 대칭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27개의 하악 제2소구치 가상치아를 준비한 후, RapidForm2004(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각 교두의 절대적/상대적 단면적, 전체 치관 단면적, 교합면의 중심구 형태 등을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은 Independent t-test, Kruskal-Wallis test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구의 형태는 양측간 높은 대칭성을 보였다. 좌측에서 U 형태이면 우측도 100.0% U 형태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H 형태와 Y 형태는 각각 73.7%, 78.9% 비율로 양측간 동일한 중심구 형태를 나타냈다(p<.001).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CAM/CAM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 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향후 맹출 직후의 하악 제2소구치를 포함한 더 많은 샘플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 analyze the cusp varia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models, and to analyze the left-right bilateral symmetry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ooth surface area according to the cusp variation. 127 virtual mandibu...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8)

  1. S. Y. Kim, Y. J. Lim, S. H. Lee, N. Y. Lee & M. G. Jih. (2019). Comparison of crown shape and amount of yooth reduction for primary anterior prefabricated crown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uc Dententistry, 46(1), 64-75. DOI : 10.5933/JKAPD.2019.46.1.64 

  2. T. Y. Lee, M. Y. Kim, S. H. Kim & J. H. Kim. (2020). Evaluation of root and root canal morphology of elderly Korean patients maxillary molar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uc Dententistry 58(2), 95-102. DOI : 10.4047/jkap.2020.58.2.95 

  3. C. G. NCT II & G. R. Scott. (1991). Scoring procedure for key morphological traits of the permanent dentition: The arizona state university dental anthroplolgy system. New York : Wiley-Liss. 

  4. M. K. Pang. (2018). The Dent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nority Natives in the Arctic Coast. Korean Journal of Siberian studies, 22(2), 181-207. 

  5. Y. Kitagawa. (2000). Nonmetric morphological characters of deciduous teeth in Japan; diachronic evidence of the past 4000 years. Internation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10(4), 242-253. DOI : 10.1002/1099-1212(200007/08)10:4 3.0.CO;2-A 

  6. L. Aguirre, D. Castillo, D. Solarte & F. Moreno. (2006). Frequency and Variability of Five Non-Metric Dental Crown Traits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s of a Racially Mixed Population from Cali, Colombia. Dental Anthropology, 19(2), 39-48. DOI : 10.4103/jomfp.JOMFP_144_18 

  7. M. F. Khamis, J. A. Taylor, A. R. Samsudin & G. C. Townsend. (2018). Variation in dental crown morphology in Malaysian populations. Dental Anthropology, 19(2), 49-60. DOI : 10.26575/daj.v19i2.120 

  8. H. Y. Park. (2013). Variation of mandibular premolars in Koreans. Mas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9. H. I. Yoo, D. W. Yang, M. Y. Lee, M. S. Kim & S. H. Kim. (2016).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occlusal surface of maxillary molars in Koreans. Archives of Oral Biology, 67, 15-21. DOI : 10.1016/j.archoralbio.2016.02.020 

  10. H. I. Yoo, J. H. Kim & S. H. Kim. (2014). Variation in the cusps of mandibular molars in Koreans.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27(3), 155-163. DOI : 10.11637/kjpa.2014.27.3.155 

  11. S. E. Nam. (2020).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cusp variation patterns of mandibular second premolar in Koreans.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42(3), 220-227. DOI : 10.14347/jtd.2020.42.3.220 

  12. O. S. Yoo. (2008).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standardization and the mechanical behaviors of the mandibular teeth. Master'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13. S. P. Lee. (2016). Dental anatomy: teeth, a beautiful harmony between function and shape. Paju : Soomoonsa. 

  14. R. C. Wheeler. (1958). A textbook of dental anatomy and physiology. 3rd ed. Philadelphia : W. B. Saunders Company. 

  15. E. J. Kwon et al. (2019). Dental Morphology. Seoul : Jisung. 

  16. H. I. Yoo, S. H. Kim & H. Y. Pak. (2015). Occlusal surface analysis of mandibular promlars in Koreans.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28(3), 145-153. DOI : 10.11637/kjpa.2015.28.3.145 

  17. K. Nojima, R. P. McLaughlin, Y. Isshiki & P. M. Sinclair. (2001). A comparative study of Caucasian and Japanese mandibular clinical arch forms. The Angle Orthodontist, 71(3), 195-200. 

  18. D. L. Robinson, P. G. Blackwell, E. C. Stillman & A. H. Brook. (2002). Impact of landmark reliability on the planar Procrustes analysis of tooth shape. Archives of Oral Biology, 47(7), 545-554. DOI : 10.1016/S0003-9969(02)00038-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