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the Case of S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4, 2020년, pp.236 - 247  

강민수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소미현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 대학이 추구하는 인재상과 교육 목표에 적합한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려는 취지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S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 요인을 정의하고 둘째, 핵심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셋째, 향후 교육정책 및 교육과정 편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핵심역량지표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구성은 7개 역량의 영역, 16개의 소영역(하위능력), 46문항으로 구성하여 응답자의 동의수준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문항형식으로 개발하였다. 예비조사(pilot-test)는 220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항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내 교수 및 교육학 분야 전문 교수를 대상으로 자문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에서는 개발한 문항들이 각 역량의 의미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적절히 진술되었는지를 중심으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전문가 의견과 문항분석결과, 신뢰도, 타당도 등 통계적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하여 본조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본조사(Main-test)는 2,486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검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개발된 S 대학의 핵심역량 진단도구는 S 대학교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재학생들에게 적합한 역량을 향상시키는 핵심역량인증제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1단계 자료로써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inspection tools to select and measure human resource figures and appropriate core competency of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S universities. Therefore, key competency factors were defined consistent with concept of talented figures and educati...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1에 제시된 단계를 거쳐 S대학의 핵심역량 7가지가 최종 확정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9년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해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문항개발을 위한 수행절차는 [Fig.
  • 검사에 포함되어 있는 문항들이 핵심역량진단도구 모형에서 가정하고 있는 요인구조를 타당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조사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전체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총 2468명의 검사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마지막으로 대학 교육역량을 포함하여 대학의 질을 논의하는 가운데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교육의 책무성, 대학의 질, 대학 교육역량의 관점에서 대학생 역량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S 대학의 교육 목표와 추구하는 인재상에 적합한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려는 취지에서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S 대학의 인재상 및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요인을 정의하고, 둘째, 핵심역량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셋째, 향후 교육정책 및 교육과정 편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 따라서 학생차원에서는 핵심역량 기반 맞춤식 학습활동을 지원하여 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을 높이고,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학 차원에서는 핵심역량 기반 교육효과성 평가체제를 구축하고, 교육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둘째, 내용적 측면에서, 국제적 기준들을 참고하면서도 한국적 상황에 부응하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대학생역량 요소를 개발하고 주기적으로 대학생 역량을 측정하는 조사를 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제적 기준들을 참고하면서, S 대학의 학생들이 부족하다고 지적된 역량에 주목하며 핵심역량지수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S 대학의 교육 목표와 추구하는 인재상에 적합한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려는 취지에서 진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시대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S대학의 인재상 및 교육목표에 부합한 핵심역량 요인을 정의하고, 핵심역량 측정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향후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편성의 방향을 제시,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핵심역량 인증제는 대학이 정한 핵심역량 수준 성취에 대한 인증으로서 학생 개인별로 취약한 핵심역량 중심으로 ‘전공, 교양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추천받고, 추천 받은 프로그램을 이수한 핵심역량을 인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핵심역량 인증제는 4차 산업혁명시대 사회와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7가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운영체계를 정립하고 실천하기 위한 교육의 질 관리 체제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평가 수준은 전 세계와 비교했을 때 어떤 수준인가? 그러나, 이러한 대학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기준에 따른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평가 수준은 낮은 실정이다. 2018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주요국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IMD 국가경쟁력은 2017년에도 29위를 유지했으나, 교육경쟁력은 전년 대비 4단계 하락한 37위를 차지하였다. 특히, 교육경쟁력 순위는 2013년 25위에 오른 이후 에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경쟁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대학교육 순위는 53위,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경영교육 순위는 54위에 오르는 등 정성지표에서도 하위권에 위치해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9].
핵심역량이란? 핵심역량은 특정한 직업이나 직무에 포커스를 맞춘 역량과는 달리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몇 가지 핵심적인 역량을 의미한다. 즉, 핵심역량은 탁월한 성과와 성공 및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특성으로, 복합적이며 메타적으로 모델링이 필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5-7].
OECD에서는 핵심역량을 어떻게 정의하였나? OECD에서도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key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통해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까지도 함께 고려한 심리・사회적 필수 요건들을 갖추고 활용함으로써 주어진 특정한 상황에 대응해 낼 수 있는 능력을 핵심역량으로 정의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 H. Lee, M. S. Choi,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College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Diagnosis Tool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0, No 4, pp.561-588, 2014. 

  2. K. Ananiadou, M. Claro, 21st century skills and competences for new millennium learner in OECD countries, OECD, 2009, pp.4-33 DOI: http://doi.org/10.1787/218525261154 

  3. C. Lee, C. Y. Jung, S. I. Na, J. M. Kim, J. W. Lim, A. R. Baek,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for Next 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2, No 1, pp.155-176, 2010. 

  4. K. W. Lee, Y. S. Min, J. C. Jeon, M. Y. Kim, H. J. Kim, A study on developing key competencies i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II),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orea, pp. 426. DOI: http://doi.org/10.23840/agehrd.2010.42.1.155 

  5. H. M. Lee, Key Competence Key Personnel: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Core Capability Model and Evaluation,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2009, pp.1-228. 

  6. J. Goddard, "The architecture of core competence", Business Strategy Review, Vol 8, No 1, pp.43-52, 1997. DOI: http://doi.org/10.1111/1467-8616.00006 

  7. F. D. Le Deist, J. Winterton,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 8, No 1, pp.27-46, 2005. DOI: https://doi.org/10.1080/1367886042000338227 

  8. D.S. Rychen and L.H. Salganik,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Internet], OECD, Available From: https://pdfs.semanticscholar.org/0e68/bea4cdad0c35fad9c3fee9e586e2bba61204.pdf 

  9.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2018 Education Competitiveness Evaluation-The Status of Korea,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 

  10. Y. S. Noh, S. S. Lee, "Th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for Korean 4 Year University Students: A Case Study of D Women's University", A Study on Corporate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Vol 15, No 1, pp.79-101, 2013. 

  11. W. C. Jung, "Korea's Future and University Challenges", Available From: http://www.snu.ac.kr/presidents/23/speeches?bmv&bbsidx74668 

  12. S. M. Park,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as An Element of Vocational Abilit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0, No 3, pp.327-351, 2011. 

  13. C. H. Kim, M. Y. Eom, K. H. Kim, C. M. Kim, J. H. Park, H. J. Park, K. H. Lee, S. D. Lee. A Study for developing Student Competency Index.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pp.1-276. 

  14. U.S. Department of labor, What work requires of school(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The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gsn.org/web/_shared/SCANS2000.pdf 

  15. J. P.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pport of Job Foundation Skills in Major Countri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Employment Capacit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orea, pp.1-22 

  16. M. S. Jin, S. Y. Lee, C. K. Chae, H. G. Yu, C. S. Park, C. Lee, D. S. Choi, J. P. Ok, A Study on Selection of Basic Vocational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Development of Questions Comprehensive Diagnostic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Basic Vocational Skill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orea, pp.1-201. 

  17. M. S. Jin, Y. M. Son, E. Im, C. Y. Song, S. Y. Oh, Establishment of Assessment System for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Korea, pp.1-221. 

  18. OECD,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y) Executive Summary"[Internet], OECD, Available From: http://wwww.oecd.org/pisa/35070367.pdf 

  19. J. Y. Choi, J. M. Lee, J. C. Jeong, T. J. Seong, A Study on the Quality of Korean Universities (1).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pp.1-308. 

  20. J. Y. Choi, J. M. Lee, M. J. Rha, B. S. Lee, A Study on the Quality of Korean Universities(I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pp.1-339. 

  21. B. K. Lee, E. K. Kim, J. H. Kim, C. J. Kim, S. Y. Lee, J. S Lee. A Study on the State-level Support for the Strengthening of liberal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Korea, pp.1-121. 

  22. J. Y. Choi, B. S. Rhee, "Examining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Focusing Effects of Colleg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7, No 1, pp.199-222, 2009. 

  23. J. Y. Choi, J. E. Chae, S. Y. Park, K. S. Kim, OECD AHELO Project in Korea(I): Exploring strategies to participate in the OECD AHELO projec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pp.1-188. 

  24. M. S. Jin, Y. M. Sohn, H. J. Chu,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9, No 4, pp.461-486, 2011. 

  25. S. H. Bae, M. S. Kang, J. I. Hong, Validation of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NSSE) Model in the Korean contex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6, No.4, pp.77-104, 2015. 

  26. A. N. Kim, T. J. Kim, N. H. Kim, S. J. Lee, H. W. Jung. The 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Skill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I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pp.1-2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