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 M대학교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Diagnosing the Cor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M University Case Study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4 no.5, 2018년, pp.576 - 582  

이미라 (목포해양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학습지원센터) ,  김누리 (목포해양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학습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과 태도를 갖추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 중 많은 대학들이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교육성과를 확인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들을 개발하고 있다. 전문화된 해양인력을 양성하는 M대학의 경우에도 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대학의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둘째, 문항분석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검사를 실시하여 총 52개의 문항이 도출되었고 이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 도구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할 뿐만 아니라 개별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하여 프로그램을 연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해사 및 해양 특성화를 갖춘 대학의 차별화된 인재를 기르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present, universities in Korea are trying to raise th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by preparing them with abilities and attitudes required in society, and many universities are carrying out "core competency based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core competencies of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사 및 해양관련 분야의 영역 특수성을 고려한 M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M대학의 경우 ‘글로벌 인재, 실용적 전문인재, 공익인재’를 양성한다는 인재상을 중심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역량의 규명과 구체적인 행동기준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해사, 해양 대학의 특성화에 맞춘 M대학의 학부교육 질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 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현재 핵심역량 수준에 대한 기초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핵심역량 수준을 바탕으로 축적된 결과물은 궁극적으로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정보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 M대학의 경우 ‘글로벌 인재, 실용적 전문인재, 공익인재’를 양성한다는 인재상을 중심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역량의 규명과 구체적인 행동기준을 도출하였다. 즉, 역량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학부교육의 성과 및 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식, 기술, 특성(Lucia and Lepsinger, 1999)에 집중함으로써 사회 환경에 대한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변화를 추진 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M대학에서는 설정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얼마나 함양했는지에 대한 수준을 정확하게 측정,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과정의 개편 및 평가와 학내 주요 교육활동에 실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의 정의는 무엇인가? McClelland(1973)는 역량을 업무성과와 관련되는 지식, 기술, 행동, 사고, 가치관, 동기 등 심리적, 행동적 특성이라고 정의하였으며, Spencer and Spencer(1993)는 특정 상황이나 직무에서 준거에 따른 효율적이고 우수한 수행과 인과적으로 관련이 있는 개인의 내적인 특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대학생의 핵심역량은 대학 교육을 통해 향상시켜야 할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공통 능력을 의미한다(Back, 2013).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사업은 어떤 것을 제시하였는가? 국내의 체계적인 역량진단평가는 정부주도하에 이루어진 직업능력개발원의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사업을 시작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대학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핵심역량의 요소를 의사소통역량, 글로벌역량, 자원 정보 기술 활용 역량,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역량, 자기관리 역량으로 구성하고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밖에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생애능력 진단도구’(Yoo et al.
대학에서 미래의 변화에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 대학교육에서 육성되어야 할 주요 능력들을 규명한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세부 내용이나 분류 형태에는 차이가 있으나 결국 대학생 핵심역량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능력을 의미한다(Kim and Lee, 2003; Choi and Rhee 2009; Jones, 1996).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대학에서는 미래의 변화에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우선, 필요역량을 타당하게 규명하고 그에 따른 현 수준과 요구 수준과의 차이를 정확하게 진단·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학습지원체계 구축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곧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구체적으로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이고 이것을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가에 대한 접근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J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ek, P. G.(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nd Undergraduates' Individual Variant Factor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7, No. 3, pp. 349-387. 

  2. Choi, J. Y. and B. S. Rhee(2009), Examining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Focusing Effects of Colleg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7, No. 1, pp. 199-222. 

  3. Jeong, E. N.(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Scale,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7, No. 3, pp. 401-428. 

  4. Jin, M. S., Y. M. Sohn and H. J. Chu(2011),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9, No. 4, pp. 461-486. 

  5. Jones, E. A.(1996), Preparing competent college graduates: Setting new and higher expectations for student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6. Kim, A. N. and B. S. Rhee(2003), An Analytic Study of Identifying Personal and Institutional Influences on the Perceived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30, No. 1, pp. 367-392. 

  7. Kim, A. N., M. H. Kim, T. J. Kim, S. J. Lee and H. Y. Jeong(2003), 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competencies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 No 2, Seoul;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p. 223. 

  8. Lee, S. J., S. Y. Park and J. H. Yoo(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petence-based subject with educational methods-Centered around the college freshma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2, No. 2, pp. 65-87. 

  9. Lucia, A. D. and R. Lepsinge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an Organiz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Pfeiffer. 

  10.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No. 28, pp. 1-14. 

  11. Park, S. M.(2011),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as An Element of Vocational Abilit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Vol. 30, No. 3, pp. 327-351. 

  12. Spencer, L. M. and S. M. Spencer(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13. Yoo, H. S., T. J. Kim, S. J. Lee and Y. S. Soong(2004), 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competencies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 No 3, Seoul;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p. 283. 

  14. Yoo, H. S., M. H. Kim, A. N. Kim, T. J. Kim, M. H. Lee, S. M. Jang and Y. S. Soong(2002), 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competencies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 No 1, Seoul;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p. 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