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시스템에 기반한 아동 그림과 양육스트레스 분석을 통한 정서 관리 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hildren's Emotional Care Program in Combining Analysis between Children's drawings and Parenting Stress based on Web Syste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201 - 209  

이성옥 (주식회사 나무와숲) ,  김병철 (백석대학교 ICT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동의 그림을 통하여 정서 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심층 검사 대상자를 선별하여 전문 기관에 연계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공간적·시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아동 그림 분석의 신청부터 최종 결과의 피드백까지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결과에 따라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기 위해 연결된다. 온라인 플랫폼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1차 스크니링 목적으로 관찰을 실시하고, 이후 결과를 토대로 오프라인의 2차케어 연계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함께 분석하여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고 문제의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보육기관에 다니는 만 3세에서 만 5세 사이의 아동 2,532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아동 중 564명과 부모 중 223명이 2차 기관 케어 지원대상으로 분석되었고, 학부모 311명에 대한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erform a case study of children's emotional care program that analyzes the emotional status through the drawings of children based on web system. In order to overcome spatial and temporal environment constraints, we have developed based on web system that performs to support the w...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분산되어 있는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분석하는데 따른 공간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아동 그림 분석의 일관성 확보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동시에 많은 그림 분석을 하기 위하여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컴퓨터 기술을 아동 그림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5]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도 이것이다.
  • 이 시스템은 부모의 관리하에 그려진 아동 그림을 모바일을 이용하여 업로드 하도록 하였고, 업로드된 그림은 전문가에 의하여 분석되어 진다. 또한 분석한 결과는 다시 모바일을 이용하여 부모에게 피드백되도록 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는 양육의 주체인 젊은 학부모 세대의 특성을 감안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대면, 자가 테스트, 자기선택에 의한 자발적 참여등의 방법과 방편을 적용하여 자기 스스로 아동과 부모자신의 정서현황을 관찰하고 점검하고 관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 본 연구는 그림을 통하여 아동의 정서심리 및 행동특성을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검사를 병행하여 부모와 아동의 정서심리 및 행동특성을 복합적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단계는 만 3・ 4・5세 아동에게 각각의 연령에 따라 제시된 주제로 부모의 감독 하에 그림을 그리게 하고, 부모는 그림을 촬영하여 업로드 하고, 동시에 부모는 양육스트레스 검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 정서심리 케어 분야에서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심리적・경제적・공간적 부담을 줄이고 쉽고 편리하게 부모자신과 아동의 정서현황을 스크리닝 하여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를 우선 발굴하고, 집중 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대상자에 대해 오프라인의 민간, 공공의 전문기관에서 부모교육 및 양육코칭 심층상담 및 치료 등 2차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대응함으로써 효율적인 아동 정서심리를 지원하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 심리적 안정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아동정서행동관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아동과 부모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지자체별로 관내 만 3세에서 만 5세 사이의 아동으로 D시에서 1,530명과 S시에서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 그림 분석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 플랫폼을 갖추어 정해진 기간 동안에 많은 수의 아동을 대상으로 간단 관찰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은 부모의 관리하에 그려진 아동 그림을 모바일을 이용하여 업로드 하도록 하였고, 업로드된 그림은 전문가에 의하여 분석되어 진다.
  • 즉, 신속하고 간단한 1차 관찰로써 아동의 정서행동을 파악하여 심층 진단 대상자를 찾아내기 위한 스크리닝 차원의 아동그림관찰과 부모에 대한 온라인 양육스트레스 검사를 병행하여 기본진단을 진행 한 후, 여기에서 문제의 징후가 발견된 아동 및 부모를 2차로 전문기관에 연계하여 심층 진단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아동 정서심리 케어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 정서 행동문제 파악을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아동 정서 행동문제 파악을 위한 방법은 보통 인지평가(아동의 지적 기능, 환경에 대한 이해, 적응적인 행동을할 수 있는 능력, 기본 지식 수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 투사검사(애매모호하거나 비구조적인 자료를 사용하는데, 잉크반점처럼 아무런 의미를 가지고있지 않은 자극이나 또는 이야기에 기초한 그림과 같은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자료로 구성), 증상평정척도(다른 심리평가도구들과는 달리 증상평정척도(symptom checklist)들은 아동의 외부 행동에 초점을 두는 평가방법), 신경심리평가(신경심리학은 뇌와 인간의 행동, 정서 및 인지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임상장면에서는 뇌의 구조적, 기능적 문제가 행동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평가)등으로 구분한다[7].
아동의 그림이 수천 마디 말과 같은 가치를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아동의 그림은 그들의 심리진단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아동들은 내면의 감정을 그림을 통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아동의 그림은 수천 마디 말과 같은 가치를 가진다[1].
전문가들의 그림 진단이 다분히 주관적인 지식, 경험 또는 노하우에 의하므로 그 결과가 매우 다양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관성이 없고, 심지어 상충적인 결과가 나오기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러나 그림의 특징은 개인적 환경에 대한 다른 자료들과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난다[2]. 환자와 비환자를 구별하는 정도가 가능할지는 몰라도, 많은 연구가 그림의 투사 기능에 의한 진단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고, 그림만으로 진단하는 데에는 상당히 주의해야 함을 경고하고있다[3,4]. 따라서 설사 전문가가 진단하더라도, 전문가들의 그림 진단은 다분히 주관적인 지식, 경험 또는 노하우(knpw-how)에 의하므로 그 결과가 매우 다양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관성이 없고, 심지어 상충적인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ppitz. E. (1969). Psychological Evaluation of Children's Human Figure Drawings, Grune & Stratton, Net York, NY. 

  2. Cohen-Liebman. MS. (1994). The Art Therapist as Expert Witness in Child Sexual Abuse Litigation, ART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1.. 

  3. Lev-Wiesel. R. and T. Shvero. (2003). An Exploratory Study of Self-figure Drawings of Individual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The Arts in Psychotherapy, 30. 

  4. Veltman. M.W.M. and K.D. Browne. (2003). Trained Raters' Evalution of Kinetic Family Drawings of Physically Abused Children, The Arts in Psychotherapy, 30, 3-12. 

  5. S. I. Kim. (2004). The Knowledge system of new diagnosis expert system by pic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11-1, 65-93. 

  6. S. H. Lee. (2009). Possibil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Art Therapy, HCI2009 Conference. 

  7. M. S. Jang. (2012). Psychology-oriented support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onference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Emotional Learning Disabilities, Vol. 2012. 

  8. L. A. Ju. (2004).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olors used in the picture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9. W. A. La. (2001). Theme, color, form expression analysis shown in picture of 5 years old .7 years old .9 years old child. Master's Thesis, Seowon University. 

  10. Palmer. L, Farrar. A. R, Valle. M, Ghahary. N, Panella. M, & DeGraw. D.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use of the house-tree-person projective drawings in the psychological evaluation of child sexual abuse, Child Maltreatment, 5, 169-175. 

  11. Stoddard, D. A. (2003). A comparison of the emotional indicators on the house-tree-person drawings and the kinetic-house-tree-person drawing, Dissertations Publishing, Andrews University. 

  12. S. H. Choi. (2005).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TP Response,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13. Y. J. Kim. (2000).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Child Psychological Therapy through Picture Pla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J. U. Kim & S. J. Park. (2012).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Picture Fairy Tale on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Child education, 21-3, 203-217. 

  15. H. J. Seok (2011).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Improving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of Children Violating Domestic Violence, Child Art Education, 10/1, 93-117. 

  16. Rabin, A. I. (1986). Concerning projective techniques. In A. I. Rabin (Ed.), Projective techniques for adolescents and children (pp. 3-13). New York: Springer. 

  17. Levitt, E. E., & French, J. (1992). Projective testing of children. In C. E. Walker & M. C. Roberts (Eds.), Handbook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nd ed. 149-162. New York: Wiley. 

  18. Malchiodi, C. A. (2000). Art therapy & computer technology. London: Jessica Kingsley. 

  19. S. H. Lee, K. Y. Weon & S. J. Woo. (2009). Possibil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Art Therapy, HCI 2009 Conference. 

  20. Cohen-Liebman, MS. (1994). The Art Therapist as Expert Witness in Child Sexual Abuse Litigation, ART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