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사건충격, 건강신념 및 자가치료지침 수행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act of Event, Health Beliefs and Adherence to Self-Care Guideline for COVID-19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337 - 348  

신선화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  백온전 (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경북지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사건충격과 건강신념이 자가치료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사건충격과 자가치료지침 수행 간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331명의 성인이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Procedure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건충격은 건강신념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건강신념은 자가치료지침 수행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건강신념은 사건충격과 자가치료지침 수행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교육을 적용함에 있어서 코로나-19와 같은 신종전염병에 관한 건강신념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필요하며, 자가치료지침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impact of event and health beliefs affect adherence to self-care guidelines in the general public. The participants were 331 adults living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면 개인이 가진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지각된 장애 정도에 따라 건강신념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정도가 변화하기 때문에[13,14], 바람직한 건강신념을 형성하여 건강한 행동을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일반 성인의 건강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살펴보았기에 의미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사건충격이 자가치료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건강신념과 사건충격이 자가치료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대구/경북지역은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인만큼,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충격이 크고, 일상생활에서의 자가치료지침 수행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인식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경북지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와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고,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사건충격과 건강신념이 자가치료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으로 현대인들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경험하는 가운데, 평소 가지고 있는 신종감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이 자가치료지침 수행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염병 위기를 경험한 대구/경북지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사건충격 정도를 살펴보고, 코로나-19로 인한 사건충격과 건강신념이 자가치료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일반 대중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가? 현재 코로나바이러스-19 (이후 코로나-19) 감염병의 유행은 전 세계 공중보건을 위협하고 있으며[2,3], 신종감염병의 확산은 일반 대중들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4-6].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인해 일반 대중들은 외출에 지장을 받았고(86.2%), 계획한 일에 차질이 발생했으며(85.6%), 병원 방문이 어렵거나(79.3%), 대중교통 이용이 망설여지는(77.9%) 등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4]. 또한, 외출을 삼가고 여가활동을 자제하는 등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대처 행동에 변화를 경험하였다[5].
대구/경북지역의 주민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심리적 충격을 입게 되었다. 이러한 충격을 무엇이라 하며, 그 뜻은? 이처럼 신종감염병의 유행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보다 극심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통제할 수 없는 디스트레스를 유발하는데[20], 실제로 올해 코로나-19 상황에서 대구/경북지역의 주민들은 많은 수의 확진자로 인하여 심리적 충격을 경험하였다[21,22]. 사건충격이란 ‘일상적인 인간의 경험 범위를 넘어서는 사건’을 경험한 후 1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의미한다[23]. 2020년 7월 7일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의 지역별 확진자 수를 보면, 대구지역 6,925명, 경북지역 1,393명으로 전국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하였다[24].
코로나바이러스-19는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하는가? 최근 코로나바이러스-19 (Coronavirus disease2019, COVID-19),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신종인플루엔자 A(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등과 같은 신종감염병이 만연해지면서 감염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은 단순히 의료적 문제가 아닌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문제이다[1]. 현재 코로나바이러스-19 (이후 코로나-19) 감염병의 유행은 전 세계 공중보건을 위협하고 있으며[2,3], 신종감염병의 확산은 일반 대중들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4-6].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인해 일반 대중들은 외출에 지장을 받았고(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F. M. Cheung. (2004). Commentary: reintegrating psychology into an expanded biopsychosocial model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Asia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7(1), 83-88. DOI : 10.1111/j.1467-839X.2004.00136.x 

  2. K. Shimizu. (2020) 2019-nCoV, fake news, and racism. The Lancet, 395(10225), 685-686. DOI : 10.1016/s0140-6736(20)30357-3 

  3. T. G. L. A. van der Meer & Y. Jin. (2020). Seeking formula for misinformation treatment in public health crises: The effects of corrective information type and source. Health Communication, 35(5), 560-575. 

  4. J. A. Jeon & J. H. Lee. (2020. March). COVID-19 Mental Health Care Status and Tasks.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375, 1-8. 

  5. D. H. Lee, J. Y. Kim & H. S. Kang. (2016). The emotional distress and fear of contagion related to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n general public in Korea.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5(2), 355-383. DOI : 10.22257/kjp.2016.06.35.2.355 

  6. H. I. Son, G. W. Kim, J. B. Heo & C. H. Park. (2020). Busan city's policy response to overcoming COVID-19. BDI Policy Focus, 372, 1-12. http://www.dbpia.co.kr.libproxy.syu.ac.kr:8080/pdf/pdfView.do?nodeIdNODE09316602&mark0&bookmarkCnt7&ipRangeN&languageko_KR 

  7. J. H. Park, J. H. Kang & I. J. Kim. (2011). Stress and self care guideline adherence in students with influenza A (H1N1).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7(2), 277-286. 

  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9). Influenza A (H1A1) Prevention and Patient Care Guidelines (revision 6th). Seoul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flu.cdc.go.kr/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20). COVID 19 response-distance in life. Information on the work of the quarantine manager. Cheongju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ncov.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591232925735_20200604100845.pdf&rs/upload/viewer/result/202006/ 

  10. B. J. Cowling et al. (2009). Facemasks and hand hygiene to prevent influenza transmission in households: a cluster randomized trial. Annals Internal Medicine, 151(7), 437-446. DOI : 10.7326/0003-4819-151-7-200910060-00142 

  11. D. F. Jang et al. (2015). Relationship between hand washing practices and infectious diseases in Korean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Community Health, 40(4), 206-220. DOI : 10.5393/JAMCH.2015.40.4.206 

  12. A. E. Aiello, E. L. Larson & R. Sedlak. (2008). Personal health bringing good hygiene hom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10 Suppl), 152-165. DOI : 10.1016/j.ajic.2008.09.009. 

  13.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 (2002).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14. B. K. Lee, Y. K. Sohn, S. L. Lee, M. Y. Yoon, M. H. Kim & C. R. Kim. (2014).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edict health behavior: a meta-analysis on the Health Belief Model studies in Korea.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8(2), 163-206. DOI : 10.15814/jpr.2014.18.2.163 

  15. S. H. Shin. (2019).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belief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hygien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4), 285-293. DOI : 10.15207/JKCS.2019.10.4.285 

  16. O. Erkin & S. Ozsoy. (201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ealth belief model applied to influenza. Academic Research International, 2(3), 31-40. 

  17. G. Guvanc, A. Akyuz & C. H. Acikel. (2011). Health belief model scale for cervical cancer and pap smear test: Psychometric tes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2), 428-437. DOI : 10.1111/j.1365-2648.2010.05450.x 

  18. S. Y. Kim. (2020). A convergence study of stress caused by the epidemic of COVID-19,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6), 423-431. DOI : 10.15207/JKCS.2020.11.6.423 

  19. S. M. Park, J. Y. Lee & J. S. Choi. (2010).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pandemic influenza A (H1N1).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6(2), 249-256. DOI : 10.5977/JKASNE.2010.16.2.249 

  20. A. Main, Q. Zhou, Y. Ma, L. J. Leucken & X. Liu. (2011). Relations of SARS-related stressors and coping to Chine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the 2003 Beijing SARS epidemic.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3), 410-423. DOI : 10.1037/a0023632. 

  21. N. S. Kim. (2020. March). COVID-19 current status and tasks.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373, 1-14. 

  22. E. W. Lee. (2020). Corona 19 generation, How are mental health! Issue&Analysis, 414, 1-25. 

  23. H. J. Eun, T. W. Kwon, S. M. Lee, T. H. Kim, M. R. Choi & S. J. Cho. (2005).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3), 303-310. 

  2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20. 7. 7.).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Outbreak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kr/board/board.es?mida20501000000&bid0015 

  25.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 R. E. Anderson.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London: Pearson Education. 

  26. D. S. Weiss & C. R. Marmar.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7. A. F. Hayes.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28. G. Y. Cho & M. N. Ha. (2019).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on the correlations among disease-related knowledge, eHealth literacy, and self-care behaviors in out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6), 638-649. DOI : 10.7475/kjan.2019.31.6.638 

  29. J. H. Kim & Y. M. Yoon. (2010).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experiences as negative cues to action on attitude toward drug abuse: modifying health belief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4(5), 5-31. 

  30. Y. Bao, Y. Sun, S. Meng, J. Shi & L. Lu. (2020). 2019-nCoV epidemic: address mental health care to empower society. The Lancet, 395(10224), e37-e38. DOI : 10.1016/S0140-6736(20)30309-3 

  31. M. Househ. (2015). Communicating Ebola through social media and electronic news media outlets: a cross-sectional study. Health Informatics Journal, 22(3), 470-478. DOI : 10.1177/1460458214568037 

  32. L. Tang, B. Bie, S. E. Park & D. Zhi. (2018). Social media and outbreak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6(9), 962-972. DOI : 10.1016/j.ajic.2018.02.010 

  33. P. Geldsetzer. (2020).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among the general public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 cross-sectional online survey. medRxiv 2020 [Online]. www.medrxiv.org DOI : 10.1101/2020.03.13.20035568 

  34. S. Tasnim, M. M. Hossain & H. Mazumder. (2020). Impact of rumors and misinformation on COVID-19 in social medi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53(3), 171-174. DOI : 10.3961/jpmph.20.0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