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Healthy Lifestyle in the Community Elderly: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371 - 380  

이지수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수경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체계적고찰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RISS, KISS, DBpia, KoreaMed 를 사용하여 출판된 논문을 검색 후 총 10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자 2인이 코드화한 후 정리하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중재의 특성은 주 2회 이상의 중재 빈도, 1회 60분 정도의 중재 시간 12주 이상의 중재 기간을 적용한 경우가 많았다. 중재의 구성에서 운동과 교육을 함께 적용한 연구와 운동의 유형을 혼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대다수의 연구가 집단 운동 형태로 적용하였으며 과반수의 연구가 중재에 음악을 활용하였다. 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연구의 결과측정변수는 신체적 영역에서 근력, 유연성, 균형을 사용하였고, 신체조성에서는 체질량지수를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인지, 심리, 사회적 영역에서 가장 많이 측정된 변수는 우울, 자기 효능감, 건강증진생활양식, 삶의 질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삶에서 지속가능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study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e research method was to search for published papers using the domestic databases RISS, KISS, DBpia, and KoreaMed, analyze a total of 10 studies, and code them fo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0년에서 2019년 사이의 국내의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적용효과 연구 10편을 선정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하였다.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연구방법과 중재 프로그램의 결과를 확인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에 있어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설계가 많았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중재 적용연구의 방법론과 건강증진프로그램의 특성, 결과측정변수를 확인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고 중재의 효과 분석과 건강 증진프로그램 중재 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노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신체적, 사회심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노인의 실정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라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중재의 형태와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노년기의 노후생활양식 증진프로그램 개발과 노인의 건강지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 건강을 위한 방법은? 노년기 건강 문제의 약 75%가 건강증진행위와 생활양 식의 변화로 인해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데 건강증진행 위는 개인이 건강을 유지하고 향상하기 위해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가지고 질병의 치료와 관리에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써, 이는 건강한 생활양식과 통합될 때 전체적인 노년기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16]. 건강증진의 긍정적 인식은 건강과 관련된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7].
노년기의 특징은? 노년기는 신체적으로 기능이 감퇴하여 건강수준이 낮 아질 뿐만 아니라, 질병의 이환과 죽음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는 시기이고 가족관계의 변화로 인한 역할 변동 및 사회적 관계의 상실을 가져오는 시기로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끼게 되고 삶의 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6]. 현 상황에서 노인의 일생에 대한 전반적 관리는 특정 노인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문제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수명 연장이 아닌 행복하고 건강한 노후를 영위하고 노화에 대한 생각 을 긍정적 태도로 받아들이는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므로 노인의 건강 증진활동 참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7].
한국의 고령사회 진입예상 시기는? 의학기술과 과학문명이 발전됨에 따라 인간의 수명은 연장되고 사망률은 저하되어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증 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대한민국은 2019년 기준으로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후기고령사회 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2]. 이러한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을 급증시켰고[3] 이는 노년기에 접어든 노인들에게 단순한 삶의 연장이 아닌, 질적으로 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 게 도와줌으로써 정신,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보람찬 일상 을 유지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 S. Han et al. (2005). The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54-1062. DOI : 10.4040/jkan.2005.35.6.1054 

  2. Statistics Korea. (2018). A Population by Age.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3. B. T. Ji et al. (2010). Analysis of Health Exercise Effects by Elderly Lifestyle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2), 69-78. 

  4. M. H. Nam & H. J. Min. (2014).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Perceive Valu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Participationg in Rhythmic Exercise by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2(1), 61-78. UCI : I410-ECN-0102-2014-600-002019228 

  5. S. H. Kwon, J. H. An & Y. S. Kim. (2019).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 Elderly's Life Skills.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4(4), 37-68. DOI : 10.21194/KJGSW.74.4.201912.37 

  6. D. H. Kim. (2019). The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on Life Style and Resocialization of Elderly People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Program. Korea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6(3), 885-897. DOI : /10.12925/jkocs.2019.36.3.885 

  7. E. H. Kim, Y. E. Song & C. H. Kim. (2016). Difference in Elderly Womans Physical Strength, Exercise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omplex Exercise Program Including Laughter Therap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30(4), 217-229. 

  8. O. H. An, M. R. Nam, Y. J. Seo & E. O. Jung.(2005). The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derly.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7(2), 166-175. 

  9. Y. J. Park & K. J. Kim. (2017). The Effects of Meaning of Lif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Health Program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411-417. DOI : 10.14400/JDC.2017.15.5.411 

  10. N. C. Barengo, R. Antikainen, K. Harald & P. Jousilahti. (2019). Smoking and Cancer, Cardiovascular and Total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The Finrisk Study. Preventive Medicine Reports, 14(1), 100875-100880. DOI : 10.1016/j.pmedr.2019.100875 

  11. G. J. Sanders, L. M ,Boddy, S. A. Sparks, et al. (2019). Evaluation of Wrist and Hip Sedentary Behaviour and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Raw Acceleration Cutpoints in Older Adults. Journal of Sports Sciences, 37(11), 1270-1279. DOI : 10.1080/02640414.2018.1555904 

  12. W. S. Jung, H. S. Jo & M. K. Lee. (2017).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Indices of Lifestyle Disease, and Biochemical Property of Muscle According to Sarcopenia and Obesity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8(4), 808-823. DOI : 10.24985/kjss.2017.28.4.808. 

  13. Y. H. Choi & N. Y. Kim. (2013).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using a Resident Volunteer as a Lay Health Leader for Elders'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4(3), 346-357. DOI : 10.12799/jkachn.2013.24.3.346 

  14. T. Peralta & J. E. Hwang. (2011) Personal Factors Predictive of Health-related Lifestyles of Community-Welling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3), 329-337. DOI : 10.5014/ajot.2011.000505 

  15. J. S. Park & Y. J. Oh. (2018).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Empowerment Program Using a Resident Volunteer as a Lay Health Leader on Frail Elders' Health and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 29(3), 335-348. DOI : 10.12799/jkachn.2018.29.3.335 

  16. Y. R. Park & Y. K. Yoo. (2013). The Effects of a Health Management Program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Living at Home.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16(1), 71-78. DOI : 10.7587/kjrehn.2013.71 

  17. K. O. Jang & M. J. Oh. (2019). Effects of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f Oriental Nursing on Self-Health Perception Change, Health Behavior Change, Self-Care and Physiological Index of Adult and Elderly Peopl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 111-120. DOI : 10.5762/KAIS.2019.20.1.111 

  18. T. Hancock. (1986). Lalonde and beyond: Looking back at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1), 93-100. DOI : 10.1093/heapro/1.1.93 

  19. J. P. T. Higgins, D. G. Altman, P. C. Gotzsche, et al.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s Tool for Assessing Risk of Bias in Randomised Trials. British Medical Journal, 343(7829), 889-893. DOI : 10.1136/bmj.d5928 

  20. A. Liberati, D. G. Altman & J. Tetzlaff.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2(10), 1-34. 

  21. M. M Leeflang, J. J. Deeks, Y. Takwoingi, & P. Macaskill. (2013). Cochrane Diagnostic Test Accuracy Reviews, Systematic Reviews, 2(1), 82. DOI : 10.1186/2046-4053-2-82. 

  22. S. Y. Kim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3. J. H. Jang, J. C. Kim & S. H. Kang, et al. (2016). Changes of Physical Fitness Variables After 12-Week Health Promotion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 One-Year Follow-up,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30(2), 221-236. DOI : 10.16915/jkapesgw.2016.06.30.2.221 

  24. J. H. Oh, Y. J. Lee & C. J. Shin, et al. (2015). Effects of Silver-Care-Robo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3), 388-396. DOI : 10.4040/jkan.2015.45.3.388 

  25. H. J. Song, H. K. Park & S. H. Jwa, et al. (2017).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Muscle and Joint Self Management Program for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3), 191-197. DOI : 10.7586/jkbns.2017.19.3.191 

  26. H. J. Jang & M. H. Mo. (2019). Effect of the Music Therapy and Exercise Program for Home-Dwelling Elders. Convergent Research Society Among Humanities Sociology Science and Technology, 9(1), 305-312. DOI : 10.35873/ajmahs.2019.9.11.029 

  27. Y. J. Park & M, S. Kim. (2011). Effect of Tai Chi Exercise Program on Anxiety, Powerlessness, and Self-esteem in Elderly Women.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8(2), 147-157. UCI : G704-SER000009893.2011.18.2.003 

  28. Y. R. J. Park & K. A. Song. (2019). Effects of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Health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Community: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5), 515-525. DOI : 10.4040/jkan.2019.49.5.515 

  29. S. J. Han, Y. R. Lee, C. M. Cho & M. Y. Im. (2015).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on Community Health Center Exercise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6(1), 18-30. DOI : 10.12799/jkachn.2015.26.1.18 

  30. Y. S. Kim & S. K. Shin. (2012). The Effects of 16 Weeks of HSEP Intervention on Senior Fitness of Elderly Women. Journal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20(3), 177-183. 

  31. Medicine ACoS. (2012). ACSM's Resource anual for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2. H. Chae.(1999). Guideline of Exercise Prescription and Health. Seoul: Taegun Com. 

  33. W. S. Jung, H. S. Cho & M. G. Lee. (2017).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Indices of Lifestyle Disease, and Biochemical Property of Muscle According to Sarcopenia and Obesity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8(4), 808-823. DOI : 10.24985/kjss.2017.28.4.808 

  34. J. J. Bae & H. C. Park. (2014). The Effect of Exercise on Senior Depression in Local Area.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3(3), 549-557. 

  35. M. Stoutenberg, K. Stanzilis & A. Falcon. (2015). Translation of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s Focused on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Habits Delivered in Community Sett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2(3), 312-327. DOI : 10.1007/s12529-014-9438-y 

  36. K. A. Won, Y. C. Shin & S. M. Park et al. (2019).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for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8(2), 7-30. DOI : 10.22683/tsnr.2019.8.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