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 유병률의 세계적인 증가추세로 치매예방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치매예방프로그램 논문을 수집, 분석,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문헌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위하여, 자료검색은 KoreaMed, Riss4u 및 9개의 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치매예방'과 '인지기능'을 키워드로 전체검색 하였다. 2000년부터 2014년 사이에 게재된 치매예방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50편의 연구 논문이 검색되었고 자료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29편의 논문이 선별되었다. 치매예방프로그램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운동프로그램이 전체 29편 중 11편(37.9%), 통합프로그램 9편(31.0%), 그리고 인지강화프로그램 4편(13.8%)이었다. 대부분의 연구(19편, 65.5%)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기노인에 대한 효과적인 치매예방과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Due to the increasing global prevalence of dementia, such as Alzheimer disease, there is a growing public health concern about its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for a narrative synthesis and critical appraisal of current published research related to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mong Korean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the data bases KoreaMed, Riss4u and 9 Nursing Journals were searched using the key words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function.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2014 and related to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were reviewed. Two hundred-fifty references were searched but only 29 studies met our inclusion criteria to review. We found that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cused on: exercise, 11 studies (37.9%); multi-therapy, 9 studies (31.0%); and cognitive enhancement activity, 4 studies(13.8%). The majority of studies (n=19, 65.5%) included adults over 65 while two studies targeted adults over 75. The current literature indicates that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nd provide appropriate and effectiv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mong Korean older adult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치매 | 치매는 어떤 장애를 불러일으키는가? |
치매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초기에는 기억력 장애를 시작으로, 언어 능력, 판단력,사고력 등의 지적, 인지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며, 독립적으로 식사하기, 옷 갈아입기, 대소변 가리기 등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장애가 생겨난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초기에는 기억력 장애를 시작으로, 언어 능력, 판단력,사고력 등의 지적, 인지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며, 독립적으로 식사하기, 옷 갈아입기, 대소변 가리기 등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장애가 생겨난다. 또한 인격변화, 망상, 불안, 우울, 의심, 공격행위, 욕설하기, 배회, 도벽,저항, 성적 이상행위 등 행동심리증상(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 of Dementia: BPSD)이 수반된다[7]. |
치매예방이 중요 | 치매예방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 있는가? |
치매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매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매환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치매예방이 중요하다[12]. 선행연구의 치매예방프로그램으로는 음악프로그램[13], 인지강화프로그램[14-16],운동프로그램[17-19], 통합프로그램[1][20] 등이 적용되어 연구되어졌다. |
치매예방프로그램 | 치매예방프로그램은 어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가? |
운동프로그램은 주로 인지기능에, 통합프로그램은 인지기능 및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치매예방프로그램은 예술, 작업치료, 실버케어로봇, 디지털매체를 이용한 프로그램들이 적용되었고 주로 신체활동과 인지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치매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면 운동프로그램은 주로 인지기능에, 통합프로그램은 인지기능 및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