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일 인기 유튜브 콘텐츠의 특징 -운영 주체와 콘텐츠 분야별 데이터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Japan Popular YouTube Content -Based on Social Statistical Approach-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167 - 174  

성윤아 (상명대학교 한일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유사한 한국과 일본에서 선호하는 유튜브 콘텐츠의 특징과 성향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며, 인기 콘텐츠 제작을 위한 힌트를 얻고자 양국의 인기 상위 250개의 유튜브 채널 콘텐츠를 조사, 분류하고 사회통계학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유튜브 채널 운영 주체의 유형, 콘텐츠 채널의 분야별 분포, 한일 양국의 개인 유튜브 가입경과일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은 방송사와 연예 기획사 등이 K-pop, 드라마, 예능 등의 한류 콘텐츠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을 목적으로 한 홍보 영상을 제작, 채널 개설, 운영하는데 반해, 일본은 도구나 물건, 행동과 관련된 실험, 토크쇼, 일상 등을 소재로 하는 개인 유튜브 채널의 운영이 많고 분야별 다양성 및 독창성이 인정된다. 이는 일본 개인 크리에이터들이 이른 시기부터 니코니코동화(ニコニコ動画)와 같은 콘텐츠 운영 활동을 통해 콘텐츠의 독창성과 다양성을 기르기 위한 시간 확보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향후, 유튜브 영향력의 증대를 고려하여 개인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감정적, 지식적, 경제적 가치에 기반한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하며, 사회적으로는 1인 미디어 제작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 홍보 그리고 경제적 지원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cial statistic was used to top 250 Korean and Japanese YouTube channels based on the number of subscribers examine its channel type (private/corporations/others), distribution of contents and private YouTube channels' date of registration. The channel examination was also used to provide prac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운영주체나 콘텐츠의 분야별 분포 등의 실제적 수치를 토대로 한 실증적 연구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의 채널 운영 주체, 콘텐츠의 분야, 가입 경과일과의 연관성 등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인기 콘텐츠의 특징 및 성향을 파악하도록 한다.
  • [5], 양국의 인기 콘텐츠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다소 상이점을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인기 유튜브 콘텐츠의 특징과 성향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양국의 주체별, 분야별 특징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며 향후 인기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실무적 힌트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형 유튜브는 무엇인가? 유튜브 운영 주체에 따라 한국과 일본 그리고 콘텐츠 분야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인기 상위 250개의 유튜브 채널을 대상으로 운영 주체별 분석을 기업, 개인, 기타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기업형 유튜브는 방송사, 연예 기획사, 음악 소속사 등 기업체가 운영하는 채널을 가리키며, 개인형 유튜브는 개인 혹은 소규모 그룹 등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이 이에 해당된다. 개인이 출연하지만 실질적으로 그 제작 및 운영을 소속 기획사가 담당하는 K-POP, J-POP 아티스트의 경우는 기업으로 분류하였으며, 유튜브 채널 운영 개시 후 제작자 본인의 유튜브 브랜드를 바탕으로 창업을 한 개인이나 그룹의 경우는 개인으로 분류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유튜브 콘텐츠와 관련된 현상이나 경향이 매우 비슷하게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한국과 일본은 문화적, 사회적 배경의 유사성으로 인해 유튜브 콘텐츠와 관련된 현상이나 경향 또한 매우 비슷하게 나타나지만2)[5], 양국의 인기 콘텐츠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다소 상이점을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인기 유튜브 콘텐츠의 특징과 성향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양국의 주체별, 분야별 특징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며 향후 인기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실무적 힌트를 얻고자 한다.
엔터테인먼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주체와 관련하여 한국은 기업이 개인보다 많은 반면 일본은 개인이 기업보다 월등히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양국의 콘텐츠적 차이를 잘 보여주었던 분야의 항목은 엔터테인먼트라 할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 기업(43)이 개인(38)보다 많은 엔터테인먼트 유튜브 채널을 운영했던 반면, 일본은 개인(73)이 기업(12)보다 엔터테인먼트 채널을 월등히 많이 운영하였다. 한국의 방송사와 연예 기획사 등이 K-POP, 드라마, 예능 등을 글로벌 마케팅 목적으로 하여 홍보 영상을 제작하여 채널을 개설하여 운영하는데 반해, 일본은 개인이 도구나 물건, 행동과 관련된 실험, 토크쇼, 일상 등을 소재로 하는 흥미와 호기심 위주의 엔터테인먼트 유튜브 채널을 제작, 운영하는 콘텐츠가 많기 때문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ouTube Press Team. (2019). YouTube Press. [Online]. www.youtube.com/intl/ko/about/press/ 

  2. Nelsen. (2019). Tops of 2019: Digital In JAPAN. [Online]. www.newsweekjapan.jp/press_release/2019/12/000000008000047896.php 

  3. Saramin.(2019). 63% of adult men and women dream, YouTubers [Online]. www.saraminhr.co.kr/open_content/pr/press_release.php 

  4. H. Watanaba. (2019). Attitude survey on the future envisioned b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2019. [Online]. https://www.sonylife.co.jp/company/news/2019/nr_190806.html 

  5. E. G. Jang, Q. Y, Liu & Jin-Myong Lee. (2019). Exploring University Student's Responses to Consumer Informationin Personal Media Using Critical Incident Technique: Focusing on YouTub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0), 127-139. DOI : 10.14400/JDC.2019.17.10.127 

  6. Mass Culture Research Group.(2019). Youtube K $\star$ Contents Revolution. Seoul : Book AGIT. 

  7. C. H. Cho & I. H. Cho. (2013). Study on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Entertainment Business: Focusing on Music Contents Production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7(3), 15-22. DOI : 10.21184/jkeia.2013.09.7.3.15 

  8. E. J. Ryu & J. M. Byun. (2019). Social Media Use for the Continuation of The Korean Wave of K-Pop : Focusing on BTS Activity Pattern, Culture and Convergence, 41(3), 167-218. DOI : 10.33645/cnc.2019.06.41.3.167 

  9. Daisuke Aiba. (2014). How to live on YouTube, Tokyo : KOBUNSYA. 

  10. T. Mori, T. Asaka & T. Takahashi. (2008). Analysis of popularity dynamics in YouTube-like VoD, Research report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s Network System, 108(286), 87-92. 

  11. K. Okimatsu & A. Matsumoto.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video-sharing sites and Youtube and NICONICO DOUGA, Open Creation Model With user particippa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Socio-Informatics, The 23rd national convention, (pp.112-117). Tokyo. 

  12. Y. Shikata. (2007). What questions are raised by YouTube?, The NHK monthly report on broadcast research. 57(6), 22-37. 

  13. S. H. Ju, M.Y. Song & B. K. Kim. (2018). The Effect of Personal on Perceived Valu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 on one-person media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12), 159-167. DOI : 10.15207/JKCS.2018.9.12.159 

  14. Noxinfluence. (2019). TOP 250 YouTube Channel. [Online]. kr.noxinfluencer.com/youtube-channel-rank/top-250-all-all-youtuber-sorted-by-subs-weekly 

  15. J. Y. Park, J. Lim & J. S. Hwang. (2018). Communication Strategies of YouTube Brand Channel Content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0(2), 95-151. DOI : 10.16914/kjapr.2018.20.2.95 

  16. N. Murakami & E. Ito. (2012). Emotional video ranking based on user comments, DEIM Forum 2012 (pp.1-8) Kyushu: Kyushu University Institute. 

  17. J. Seo. (2018). World Media Trend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