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신구 활용에 적합한 3D프린팅 방법론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3D Printing Methodology suitable for Jewelr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225 - 230  

장진희 (원광대학교 귀금속보석공예과) ,  고승근 (원광대학교 귀금속보석공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D프린팅의 활용은 매우 혁신적이면서 유용한 기술이다. 하지만 장신구 분야에서는 3D프린팅 기술은 제작방법의 한 분야로서 한정적 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이러한 3D프린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3D프린팅 출력방식 중 가장 대중적이며 조형활동에 적합한 출력방식을 선정하고 출력시간, 조건을 한정하여 장신구에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비주조과정과 주조과정 각각의 방법을 통해 시제품까지 완성하고 이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FDM출력 방식은 비용과 시간적인 측명에서 매우 긍정적인 장점이 있지만 표면에 적층구조가 지워지지 않으며 출력과정시 발생되는 필라멘트의 잔여물로 인해 선 조형을 표면시 완성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DLP출력방식은 표면처리가 고르며 완성도가 높은 반면, 비용과 시간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두 출력방법 모두 장신구 활용 가능하며 향후 디자인에 맞는 다양한 출력방법연구가 이루어져 장신구에 3D 작품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3D printing method in the product manufacturing is a very innovative and useful technology. However, in the field of jewelry, it is a limited technology used only in a field of manufacturing process. To overcome this limitations in the jewelry production process, most popular and easy 3D p...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연구자는 장신구 제작에 있어 주조과정에 한정되지 않고 장신구를 직접적으로 표현의 한 수단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3D프린팅 방법론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주조과정을 생략하고 3D프린팅 이후 표현처리 과정만을 거쳐 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한 목적이다.
  • 둘째,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3D프린팅의 종류와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 예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3D프린팅 방법론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조사한다.
  • 하지만, 아직까지 장신구 제작에 있어 전반적인 제작 과정의 기계화가 아닌, 3D프린팅의 활용은 단순히 외형 제작에서의 한부부인 주조과정에만 머물고 있다[4,5]. 따라서 연구자는 장신구 제작에 있어 주조과정에 한정되지 않고 장신구를 직접적으로 표현의 한 수단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3D프린팅 방법론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주조과정을 생략하고 3D프린팅 이후 표현처리 과정만을 거쳐 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한 목적이다.
  • 본 논문에서는 장신구에 적합한 3D프린팅 방법을 비교 연구하기 위해 출력방법으로 FMD와 DLP 출력 방식을 선정하였다.
  • 조형 활동에서 3D프린터의 연구사례는 산업디자인, 공업디자인, 제품디자인 등 디자인 전반의 조형활동에 거쳐 매우 다양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장신구를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장신구와 같은 분류에 포함하는 신체 착용품에 대한 디자인 분야에서의 선행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김아름[10]은 3D프린팅을 활용하여 슈즈를 제작함으로서 기존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작업공정을 3D모델링-프린팅-마무리 공정 등으로 축소 하여 조형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프린팅 기술은 무엇인가? 3D 프린터의 용어는 CAM으로 처음 공학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1990년 RP(쾌속조형기:Rapid Prototypring) 의 등장과 2010년 들어 RP가 대중적으로 사용 되고,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이후 3D프린터 라는 용어가 쓰이고 있다[6]. 3D프린팅 기술은 컴퓨터로 설계된 3D모델링 또는 3차원 스캐너를 통해 솔리드 상태의 모델 데이터를 기계적 적층을 통해 한층 한층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리적 형상으로 빠르게 제조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7]. 기존의 Proto Type 출력을 위해서는 주물이나 금형 등의 제작으로 인하여 고비용이 들었으나 1986년 발명된 3D 프린팅 기술은 신속하고 저렴한 가격의 제품 생산이 가능한 장점으로 주로 Proto Type 출력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장신구 제작에 있어 현재 3D 프린팅의 활용은 어떠한가? 특히 장신구 분야는 제품디자인을 넘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활용되기 위해 다양한 3D프린팅 방법을 활용하여 외형제작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장신구 제작에 있어 전반적인 제작 과정의 기계화가 아닌, 3D프린팅의 활용은 단순히 외형 제작에서의 한부부인 주조과정에만 머물고 있다[4,5]. 따라서 연구자는 장신구 제작에 있어 주조과정에 한정되지 않고 장신구를 직접적으로 표현의 한 수단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3D프린팅 방법론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각각의 프린팅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프린팅 방법으로는 FDM, SLS, SLA등을 활용하였다. 비용 절감효과에서는 FDM 방식이 출력결과물에서는 SLS출력 방식이, 활용도에서는 SLA 출력방식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소연[11]은 3D프린팅을 활용하여 자연주의 의상디자인에 접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 J. Jung & T. W. Kim(2005). RP techniques and applications in the formative field. Seoul : Kookmin University Press. 

  2. Klaus Schbab.(2018). Shap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saelounhyeonjae. 

  3. G. E. Jo & S. I. Kim. (2019). A study on competencies of designer in fo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167-173. DOI:10.15207/JKCS.2019.10.2.167 

  4. K. H. Whi. (2014). A Comparative Study on 3-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ies Used in Jewelry Design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art&Design, 17(1), 137-161. 

  5. C. H. Chang. (2019).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3D-Printing- Focusing on Curved Form.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4), 189-194. DOI:10.15207/JKCS.2019.10.4.189 

  6. K. H. Ryu. (2018). A Study on Sensibility Communication in Custom Jewelry Using 3D Printing.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7. H. Lipson & M. Kurman. (2013b). New world of 3D printing. Seoul: Hans Media 

  8. S. H. Yi & K. Y. Joo.(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5), 113-119. DOI: 10.15207/JKCS.2018.9.5.113 

  9. S. Kalpakjian & S. R. Schmid. (2008). Industrial Materials Processing. Seoul: Book Publishing Young. 

  10. A. Kim. (2016).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Shoes.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11. S. Y. Lee. (2014). A study on Naturalistic Pattern Costume Design Utilizing 3D printing,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12. J. H. Choi. (2018). Study of bio plastic handbag design using 3D printing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surface shape inside the Antelope Canyon).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 H. Ryu & J. H. Seo. (2017). Utilization of 3D CAD and 3D Printer and UV Curavle resin Casting Defec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3), 169-176. DOI: 10.15207/JKCS.2017.8.3.169 

  14. I. H. Ahn. (2018). Estimation of Process Window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Process Parameters in FDM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171-177. DOI:10.15207/JKCS.2018.9.8.171 

  15. Y. H. Oh. (2018). Study of Developing Cell Image Jewelry by Using 3D Printer. Master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