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프린팅 기술을 융합한 도자디자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eramic design that combines 3D printing technolog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4, 2019년, pp.309 - 317  

최정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디자인융합전공) ,  김원석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창의적으로 작품에 접목시킨 도자작품 사례분석을 통하여 3D 프린팅 기술이 도자작품의 조형성과, 예술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고자 하였다. 이에 작가 7인과 두 디자인팀의 도자작품 사례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3D 프린팅 기술을 작품에 접목시킨 디지털제작은 기존의 수작업 방식과 달리 데이터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하여 작가의 개성 있는 창작 예술품이 가능하다. 둘째, 새로운 소재와 방식, 첨단 디지털기술로 기존의 도자개념을 벗어난 보다 입체적이고 다채로운 조형물로 표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앞으로 3D 프린팅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활용으로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에 부합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찾아내고 실현하여, 미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가진 도자디자인의 새로운 가치가 재창조되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fluence of 3D printing technology on the formability and artistic value of ceramic work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3D printing technology and a case study of ceramic works that incorporate them creatively.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주제어

표/그림 (2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예술에서 예술과 디지털기술이 융합된 작품이 많아진 이유는 무엇인가? 실제로 현대예술에서는 예술과 디지털기술이 융합되어 연출되는 작품이 많아지는 또 다른 변화를 맞고 있다. 이는 그 동안의 전통적인 제조 방법의 많은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졌기 때문이다. 실용성과 아름다움이 결합된 도자예술 또한 시대의 변화와 함께 전통적 형식에 머물렀던 도자의 한계를 벗어나 작가들은 개성을 표출하는 창작 예술품의 제작과 더불어 도자의 전통적 개념과 3D 프린팅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기능, 형태, 재료 등 다채로운 발상으로 도자디자인의 범위에 대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3D 프린터의 장점은 무엇인가? 적층가공방식은 모델링 데이터를 3D프린터가 인식하고 분석한 뒤, 조형재료(소재)의 순차적인 분사, 레이어 (layer) 적층을 통해 형태가 만들어지는 가공방식의 하나 라고 할 수 있다[3]. 3D 프린터는 재료를 기계와 레이저 등으로 자르거나 깎아 입체물을 생산하는 절삭가공방식과 비교하여 필요한 만큼의 원재료만 이용하기 때문에 원재료의 절감이 가능하고 적층방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로 모델링하고 제어되는 부분의 공정이 자동화되어 있어 짧은 기간과 적은 비용으로 시제품 및 최종파트를 제작할 수 있다.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조형은 대량생산 보다는 개인 맞춤형 디자인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어 자동차, 선박, 항공, 의학, 가전, 패션, 주얼리, 가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CAD란 무엇인가? 3D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디자인을 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3D CAD이다. CAD란 Computer Aided Design의 뜻으로 컴퓨터를 활용하여 3차원 디지털 입체를 설계하는 것을 뜻한다. 즉 만들고자 하는 형상 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3차원 모델링하고 이를 프린터로 전송하여 소재를 쌓으면서 물체를 만들어내는 기술이다[2]. 이 외에도 Rhino와 3D Max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J. Sung & S. R. Kim. (2016). A Study on the Curriculum by the Process of Actual Use of 3Dprinter -Focus on the College of Desig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381-393. UCI : http://dx.doi.org/10.14400/JDC.2016.14.6.381 

  2. H. C. Kim. (2015). A Study on the socio-economic impact of 3D Print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23-31. DOI :10.14400/JDC.2015.13.7.23 

  3. J. H. Kim. (2002). Research Current CAD/CAM System Use and Possible Improvement of Jewelry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UCI : http://www.riss.kr/link?idT8948746 

  4. S. Y. Kim & S. R. Kim. (2018). The Proposal of a Small-Size Business Model based on a 3D Printer: Focused on Sunglasses for Childr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455-464. UCI: https://doi.org/10.14400/JDC.2018.16.11.455 

  5. Y. S. Kim & J. H. Ki. (2017). A Study on 3D Printing Fashion Materials Applying the Modeling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Focused on Basic Texture Application of Fashion Materials-. Journal of Fashion Design, 18(3), 111-134. UCI : I410-ECN-0102-2018-500-004268659 

  6. H. S. Kim & I. A. Kang. (2015). Study on Status of Utilizing 3D Printing in Fashion Field.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 Deaign Association, 17(2), 138. UCI : G704-001445.2015.17.2.013 

  7. J. S. Lee.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based on 3D Printing.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3(1), 147-162. DOI : 10.18852/bdak.2015.13.1.147 

  8. M. Aydin. (2015). 3D-printed gold collection aims to transform the jewellery industry. dezeen(online). https://www.dezeen.com/2015/09/08/3d-printed-gold-jewellery-18-carat-reshape-industry-lionel-t-dean/ 

  9. H. D. Kang. (2015). Analysis of Furniture Design Cases Using 3D Printing Techniqu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5(2), 184-185. DOI : 10.5392/JKCA.2015.15.02.177 

  10. M. Aydin. (2015). Use of 3D Printing in Furniture Production. ISITES, 3-5 June. 

  11. O. Van Herpt. (2017). Arcanum 3D Printed Porcelain Flower Pyramid. Olivier Van Herpt(online). http://oliviervanherpt.com/3d-printing-porcelain/ 

  12. C. Warnier, D. Verbruggen, S. Ehmann, R. Klanten. (2014). Printing things : visions and essentials for 3D printing. Berlin : Gestalten. 

  13. Jonathan Keep. (2016). Studio Journal. Jonathan Keep(online). http://www.keep-art.co.uk/journal_16.html. 

  14. E. H. V. Martinez. (2018. December). Emre Can : Artistic Touches on 3D-Printed Ceramic Artworks. Ceramic Monthly, 66(10), 48-51. 

  15. J. S. Hong. (2016).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Studio Pottery by a 3D Printer. Journal of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19(2), 153-170. 

  16.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2015). The Craft Trend Fair : Future in Hands. [Brochure]. Seoul : KCDF 

  17. L. Johnston. (2015). Digital handmade : craftsmanship in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 Thames & Hudson. 

  18. Kate Blacklock. (2016). 3D Printed Ceramics. Kate Blacklock(online). https://www.kateblacklock.com. 

  19. B. Krassenstein. (2015). 3D Systems Teams with 5 Artists to 3D Print Incredible Ceramic Sculptures. 3dprint.com(online). https://3dprint.com/56130/3d-printed-ceramics-3d-systems/ 

  20. C. Scott. (2018). Formlabs Releases Ceramic Resin, Nervous System 3D Prints. 3dprint.com(online). https://3dprint.com/213782/formlabs-ceramic-res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