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과정보 활용행태 및 의사결정 행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formance Information Use and Decision Making on Organization Performanc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4, 2020년, pp.55 - 64  

조문석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  허다혜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  엄영호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이 연구는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성과정보의 활용 방식과 성과관리 과정에서 관리자의 의사결정 방식이 성과 달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정부부처 성과관리 총괄담당자를 대상으로 성과정보 활용 방식, 성과지표의 적절성, 성과정보의 다양성, 관리자의 개입 수준을 조사하고, 부처별 성과 보고서를 통해 성과달성 수준을 측정하여 퍼지셋 질적분석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경성적 활용과 연성적 활용은 성과지표의 적절성 및 다양성과 조합되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장급 관리자는 필요조건으로 사무관급은 성과지표의 적절성과 조합되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 및 공공조직의 성과창출에 대한 영향 요인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됨을 시사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의 왜곡 가능성과 시기별 편이의 한계를 극복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mpiricall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performance information use, decision making behaviors and performance of government organizations. We measured two types of using performance information, relevance of performance index, variety of performance information, and lev...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기관의 성과정보 활용행태와 의사결정 행태가 해당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1980년대 신자유주의적 이념과 신공공관리론에 기반을 둔 시장중심적 제도의 확산과 맞물려 전 세계 각국으로 확대되어 도입된 성과관리제도는 투입 중심에서 결과와 성과를 강조한다.
  • 이 연구는 퍼지셋 질적분석 모형을 활용하므로 먼저 퍼지셋 모형을 활용한 분석 방법을 논의하고 종속변수 및 독립변수의 측정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40개 중앙행정부처를 대상으로 하므로 소표본에 따른 자유도 문제로 일반적인 OLS 모형을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소표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정부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합과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성과정보 활용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학술적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이 설문조사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도하였다. 나아가 실무적 차원에서는 성과정보를 경성적·연성적 활용의 조건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성과정보의 활용과 관리자의 의사결정 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실증 연구는 주로 설문조사를 통한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 인과관계 조건이 충족되지 않거나 조직의 실제 성과와 연계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소표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정부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합과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성과정보 활용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학술적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이 설문조사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에 이 연구는 의사결정자의 성과정보 활용 방식을 연성적 활용과 경성적 활용으로 구분하고[4], 퍼지셋(Fuzzy-Set) 분석을 활용하여 정부조직의 사업 성과정보의 활용 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하고 때로는 상호 모순된 목표를 동시에 추구해야만 하는 정부기관의 성과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성과정보 활용 유형별로 의사결정자의 성과정보 활용 방식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나마 이루어져 왔으나[1-3],성과정보의 활용 방식의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의사결정자의 성과정보 활용 방식을 연성적 활용과 경성적 활용으로 구분하고[4], 퍼지셋(Fuzzy-Set) 분석을 활용하여 정부조직의 사업 성과정보의 활용 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하고 때로는 상호 모순된 목표를 동시에 추구해야만 하는 정부기관의 성과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퍼지셋 모형은 0과 1값 사이에서 각 정부부처의 변인별 소속의 정도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0과 1값만으로 소속 정도를 판단하는 불리언 방법(boolean method)의 한계를 일정 부분 해소해준다는 장점도 있다[17]. 이에 이 연구는 퍼지셋 모형을 이용하여 다음의 두 단계를 거쳐 공공관리자의 의사결정 개입 수준에 따른 성과정보의 활용 양태와, 성과정보 활용 방식에 따른 의사결정 방식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성과 달성률은 각 중앙행정부처가 성과보고서에 제시하는 성과달성 정도로 단위사업 전체의 성과 달성 수준을 의미한다. 중앙행정부처는 예산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략목표와 프로그램 목표별로 성과지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성과달성 여부를 제시하며, 이를 달성 및 초과달성과 미달성으로 표시하여 보고한다. 이 연구는 정부부처의 성과달성수준에 대해 Ragin이 제안한 직접눈금매기기[17] 방법을 활용하여 0과 1사이의 범주화된 퍼지점수를 표준화하여 산출하고 이를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성과정보가 다양하고 경성적 활용수준이 높을수록 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 가설2: 성과정보가 다양하고 연성적 활용수준이 높을수록 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 가설3: 성과정보가 다양하고 연성적 활용수준이 높으며, 관리자가 성과관리과정에 참여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정보 활용 방식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관리자는 조직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 등외부적인 환경보다 내부의 과정적 효율성과 책임성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할 수도 있고, 반대로 외부적 환경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과정보 활용 방식은 연성적 활용(soft use)과 경성적 활용(harduse)으로 구분할 수 있다[11]. 경성적인 방식으로 성과정보를 활용하는 관리자는 내부적 과정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고 사업성과 측정을 통해 도출된 성과정보를 예산, 인사, 조직 관리 과정에 직접적으로 연계하려고할 것이다.
신공공관리론 성과 평가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1980년대 이후 신보수주의 지향의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 NPM)은 민간기업의 경영원리와 고객을 중시하는 ‘시장적 정부모형’을 통하여 공공부문의 성과를 중시하고 민간기업의 경영기법을 행정에 접목시키고자 공공기관을 비롯한 정부조직의 사업에 대한 성과를 측정·평가하고 있다. 성과 평가의 궁극적 목적은 평가결과 및 성과정보의 활용에 있다.즉 평가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판단은 이러한 성과정보가 얼마나 잘 활용되는가에 달려있다[5].
성과학습과 성과정보의 이용양태에 따른 의사결정행태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성과학습과 성과정보의 이용양태에 따른 의사결정행태는 공공관리자가 이용하는 성과정보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성과정보 자체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보다 명확한 의사결정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 P. Moynihan & S. K. Pandey. (2010). The Big Question for Performance Management: Why Do Managers Use Performance Informatio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0(4), 849-866. DOI : 10.1093/jopart/muq004 

  2. M. S. Cho & J. S. Kim. (2018). Research on types of utilization form of public sector performance informatio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2(4), 2018.12, 155-177. DOI:10.24210/kapm.2018.32.4.007 

  3. D. P. Moynihan, (2009). Through a Glass Darkl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erformance Regimes.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32(4), 586-598. 

  4. Deschamps, C., & J. Mattijs. (2018). How Organizational Learning Is Supported b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Case Study.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41(3), 469-496. DOI:10.1080/15309576.2018.1462213 

  5. K. H. Lee & S, M Lee (2014). Study on utilizing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government business evaluation system, Factors affecting usage, factors of system trus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8(3), 205-226 

  6. C. Wanberg & J. Kameyer-Mueller. (2000). Prediction and Outcomes of Proactivity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3), 373-385. DOI:10.1037/0021-9010.85.3.373 

  7. S. Ashford, R. Blantt & D. Van de Walle. (2003). Reflections on the Looking Glass: A Review of Research on Feedback-seeking Behavioral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ment, 29(6), 773-799. DOI:10.1016/S0149-2063(03)00079-5 

  8. S. Korac, I. Saliterer, M. Sicilia & I. Steccolini. (2020). Contrasting and explaining purposeful and legitimizing uses of performance information: a mayor's perspective. Public Management Review, 22(4), 553-577, DOI:10.1080/14719037.2019.1599059 

  9. C. Deschamps & J. Mattijs. (2018). How Organizational Learning Is Supported b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Case Study.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41(3), 469-496. DOI:10.1080/15309576.2018.1462213 

  10. D. P. Moynihan. (2009). The Dynamics of Performance Management : Constructing Information and Reform.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1. W. Van Dooren, G. Bouchaert & J. Halligan. (2010).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Oxford: Routledge. 

  12. C. J. Heinrich & E. Fournier. (2004). Dimensions of Publicness and Performanc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Organization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3(1), 49-70. DOI:10.1002/pam.10178 

  13. P. H. Rossi & H. E. Freeman. (1985). Evaluation - A systematic approach. London: SAGE. 

  14. C. Bourdeaux & G. Chikoto. (2008). Legislative Influences on Performance Management Reform.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8(2), 253-265. DOI:10.1111/j.1540-6210.2007.00860.x 

  15. K. W. Park. (2013). The Effects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Public Sect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Decentraliz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Korean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105-126. 

  16. Y. N. Choi.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Government Evaluation Syste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n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The Korean Governance Review, 26(1), 111-140. 

  17. C. C. Ragin. (2008). Redesigning Social Inquiry: Fuzzy Sets and Beyo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Y. J. Choi. (2009). Application of fuzzy-set theory in social sciences. Journal of Government Studies. 15(3), 307-336. 

  19. M. S. Cho & J. W. Lee. (2015). A study of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i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Moder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6(1), 77-103. 

  20. J. G. March & J. P. Olsen. (1989). Rediscovering Institutions: The Organizational Basis of Politics. New York: The Free Press. 

  21. D. L. P. Julnes, (2008). Performance Measurement Beyond Instrumental Use. In Van de Walle, Steven, and Wouter Van Dooren, eds. (2008).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e Public Sector: How It Is Used. Houndsmills, UK : Palgrave Macmillan. 

  22. R. Lipshitz, M. Popper & S. Oz. (1996).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rganizational Learning Mechanism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2(3), 292-305. DOI:10.1177/0021886396323004 

  23. G. W. Park & S. Y. Yoon (2020).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 Focusing on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34(1), 091-112. 

  24. M. S. Cho & J. R. Oh. (2019). Halo Effect in Evaluating Government Funded Art Programs: The Case of Local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 Festival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8), 123-133. DOI : 10.22156/CS4SMB.2019.9.8.12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