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빈곤노인의 유급노동과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 Study on Paid Work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Poor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4, 2020년, pp.115 - 123  

강미희 (성운대학교 스마트평생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급노동이 빈곤한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빈곤한 노년기 삶에서 유급노동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신적·사회적 실효성에 대해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은 유급노동의 질이 빈곤한 노인의 대인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고, 또한 자기효능감은 유급노동의 질과 빈곤노인의 대인관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는 빈곤한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65부의 최종 표본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급노동의 질은 빈곤한 노인들의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의 유의한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빈곤노인의 유급노동의 질을 향상시킬 정책의 필요성과 사회복지 현장에서 노인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aid work affect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poor elderl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ivenes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paid work in poor life. This survey was conduct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빈곤노인의 유급노동,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의 영향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빈곤한 노년기 삶의 만족을 위해 필요한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의 긍정적 증진을 위해 그들 스스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의 필요성 및 국가의 제도적 보완의 중요성을 밝히는 데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갖는 노인빈곤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바탕으로 유급노동과 빈곤노인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 자기효능감이 갖는 대인관계에 대한 긍정적 기능을 유급노동을 하는 노인의 대인관계에 적용하여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급노동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른 통해 빈곤한 노인이 유급노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앞에서 빈곤한 노인과 관련된 유급노동,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 빠른 인구고령화를 직면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노령인구의 유급노동 참여를 통해 사회적 생산활동이 지속되도록 하는 것은, 노년기에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하는 동시에 자기효능감이나 대인관계 등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도 건강한 생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빈곤노인을 대상으로 유급노동이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차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의 노동정책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빈곤노인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여러 이슈들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유급노동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른 통해 빈곤한 노인이 유급노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앞에서 빈곤한 노인과 관련된 유급노동,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유급노동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설계되었다. 유급노동 척도는 Mirowsky & Ross(2007)가 사용했던 문항을 평균화하여 변수를 구성하고 임인숙(2012) 등이 사용한 유급노동의 질에 관한 3가지 하위변수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29,3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동이론은 무엇인가? 활동이론은 사회활동의 참여가 높을수록 노년기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으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적 관점에 입각해서 Leomon 등에 의해 공식화되었으며[4],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현대사회에서 노년기 삶을 다루는 하나의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빈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빈곤은 단순히 경제적 문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및 문화적 측면의 결핍을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로 사회적 가치, 분배불평등, 문화적 가치로부터의 소외, 심리적 박탈감 등 심리사회적 박탈까지도 의미한다[8]. 또한 빈곤은 개인의 건강이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대외관계, 역할이나 활동 등의 문제를 통해 정신적, 신체적 및 사회적으로 나쁜 결과를 이끌 수 있다[9].
인간은 노동을 함으로써 많은 기회를 얻는데, 노인에게는 노동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인간은 노동을 함으로써 많은 기회를 얻게 된다. 노인들의 유급노동은 일상생활 만족이나 결혼생활 만족 및 정신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동을 하지 않는 노인과의 비교분석 연구에서도 심리적으로 더욱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 Williams. (2007). The impact of time online: Social capital and cyber balkanization. Cyber Psychology & Behavior, 10(3), 398-406. 

  2. M. H. Kim & J. I. Lee. (2017). Influence of Activity Engagement of Late Adulthood on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Mediating Effect of Life Mea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100-113. DOI : 10.5392/JKCA.2017.17.05.100 

  3. J. Mirowsky & C. E. Ross. (2007). Creative Work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8(4), 385-403. 

  4. J. D. Kwon. (2026). The Elderly welfare. Hakjisa. 

  5. B. Lemom, V. Bengtson & J Peterson. (1972).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in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 511-523. 

  6. Y. S. Park. (2012). A study on determinants affecting continuity of activity among Participants in Job Creation Project for Older Adults-focused on market oriented type.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7. M. O. Park. (2017). The Effect of Job Type of Elderly on the Satisfaction of Lif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 esteem. Doctor's thesis, Hansei University, Gunpo. 

  8. H. S. Lee. (2008).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to Self-Esteem among Children from Needy Families. Students Journal of Social Welfare, 2(1), 104-161. 

  9. J. S. House.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0. M. H. KANG. (2019). A Study of the Public Pension and Happiness of Older Women in Pover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regul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octo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1. R. Bosse, C. Alwin, M. Levenson & D. Ekerdt. (1987). Mental Health Differences among Retirees and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Psycholgy and Aging, 2, 383-389. 

  12. Mirowsky, John and Catherine E. Ross. (2007). Creative Work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8(4), 385-403. 

  13. C. E. Bird and Catherine E. Ross. (1993). Houseworkers and Paid Workers: Qualities of the Work and Effects on Personal Control.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4), 913-925. 

  14. L. K. George. (1993) "ociological Perspectives on Life Transi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 353-373. 

  15. J. E. Maddux. (1995). Self-efficacy Theory: An Introduction. Self-efficacy theory. In Self-efficacy, adaptation, and adjustment (pp. 3-33). Boston : Plenum Press. 

  16. O. H. Kweon & J. W. Moon. (2018).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on daily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327-333. DOI : 10.22156/CS4SMB.2018.8.6.327 

  17. J. H. Lee. (2019). The influence of economic capability and physical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22(1), 1-22. 

  18. H. R. KIM. (2015). Effects of Income Level of Baby Boomer Generation on Life Satisfaction. Doctor's thesis. Hansei University, Gunpo. 

  19. J. T. Monsen, K. A. Hagtvet, O. E. Havik, & D. E. Eilertsen. (2006). Circumplex structure and personality disorder correlates ofthe interpersonal problems model(IIP-C): Construct validity and clinical implications. Psychological assessment, 18(2), 165-173. 

  20. P. Salovey & J. D. Mayer.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21. G. W. Brown & T. O. Harris. (1978). Social Origins of Depression. London: Free Press 

  22. J. E. Song & F. S. Mark. (2007).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Retirement Status on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A Longitudinal U.S. National Study. Korean Demography, 30(1), 25-47. 

  23.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and Co. 

  24. J. H. Lee. (2013). The Influence of the Meaning of Work Perceived by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Employment Project on Their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Chungju University. 

  25. M. Rebli. & B. N. Uchino. (2008).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and its Implication for Health.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21(2). 201-5 

  26. J. E. Yoon. & J. S. Hur. (2009).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Mental Health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income Level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9(2), 743-759. 

  27. J. S. Hur & S. H. Cho. (2017).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erson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 673-691. DOI : 10.5392/JKCA.2017.17.01.673 

  28. J. Mirowsky & C. E. Ross. (2001). Age and the Effect of Economic Hardship on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2, 132-150. 

  29. J. Mirowsky & C. E. Ross. (2007). Creative Work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8(4), 385-403. 

  30. I. S. Lim, S. W. Han & J. y. Park. (2012). The Effect of Paid Work and Unpaid Housework Quality on Depression of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6(2). 176-202. 

  31. J. E. Cha. (1997).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Master's thesis, Ewah Womans University, Seoul. 

  32. S. M. Moon. (1980).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2), 195-203. 

  33. M. H. Kim & J. Rie (2017). Influence of Activity Engagement of Late Adulthood on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Mediating Effect of Life Mea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100-113. DOI : 10.5392/JKCA.2017.17.05.1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