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aofen-1 WFV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대형 부유조류 분류
Deep Learning Based Floating Macroalgae Classification Using Gaofen-1 WFV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2 pt.2, 2020년, pp.293 - 307  

김의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김근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김수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ICT융합연구센터) ,  (중국 제1해양연구소 자연자원부) ,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년 황해와 동중국해에서는 대형 부유조류인 녹조와 갈조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부유조류는 연안의 양식 시설물이나 해변으로 유입되며, 제거하는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킨다. 현재는 연안으로 유입되는 대형 부유조류를 탐지하기 위해 원격탐사 방법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부유조류는 해양의 다양한 대상들과 중첩되는 파장이 존재하기에 이를 정확하게 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녹조와 갈조는 유사한 스펙트럼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구분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 영상에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녹조와 갈조를 효과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해 최적의 학습 조건을 찾아 AlexNet 신경망을 전이 학습하였으며, 학습과 검증을 위해 Gaofen-1 WFV 영상을 이용하여 데이터셋을 구성하였다. 최적의 학습 조건으로 학습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험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험 데이터에 대한 정확도는 88.89%를 보였으며, 녹조와 갈조에 대해 각각 66.67%와 100%의 정밀도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는 전이 학습된 AlexNet 신경망이 녹조와 갈조의 미세한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해양의 다양한 대상으로부터 녹조와 갈조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각각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ry year, the floating macroalgae, green and golden tide, are massively detected at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After influx of them to the aquaculture facility or beach, it occurs enormous economic losses to remove them. Currently, remote sensing is used effectively to detect the floating ...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lexNet 신경망은 무엇으로 구성된 구조인가? AlexNet 신경망은 Input layer, Convolution layer, Pooling layer, ReLU layer, Fully connected layer, Softmax layer, Output layer 등 25개의 계층(layer)으로 구성된 구조(architecture)이다. 계층을 구성하는 뉴런(neuron)은 전이 학습 과정에서 입력된 학습 데이터에 대해 얼마나 일치하는지 가중치를 결정하며, 이에 따른 오차를 결정하여 학습하게 된다.
황해와 동중국해 연안은 원격탐사 영상에서 부유조류를 정확하게 탐지하는데 제약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양자강 하구 유출수로 인하여 탁도가 매우 높으며, 어업활동이 활발하여 크고 작은 선박이 존재한다. 높은 탁도와 복잡한 탐지 대상들이 혼재되어 있어 원격탐사 영상에서 부유조류를 정확하게 탐지하는데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부유조류 탐지 및 구분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 해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Gaofen-1 위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Gaofen-1 위성에 탑재된 WFV 센서영상을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 및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셋을 구성하였다. Gaofen-1 위성은 중국우주국(China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CNSA)에서 2013년 4월에 발사한 위성이며, 탑재된 WFV 센서의 촬영 영상은 16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3개의 가시광선 밴드(적색, 녹색, 청색)와 1개의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en, Y.L., J.H. Wan, J. Zhang, Y.J. Ma, L. Wang, J.H. Zhao, and Z.Z. Wang, 2019.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golden tide based on high-resolution satellite remote sensing in the South Yellow S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90(sp1): 221-227. 

  2. Cui, T., F. Li, Y. Wei, X. Yang, Y. Xiao, X. Chen, R. Liu, Y. Ma, and J. Zhang, 2020. Super-resolution optical mapping of floating macroalgae from geostationary orbit, Applied Optics, 59(10): C70-C77. 

  3. Cui, T., J. Zhang, L.E. Sun, Y.J. Jia, W. Zhao, Z.L. Wang, and J.M. Meng, 2012. Satellite monitoring of massive green macroalgae bloom (GMB): imaging ability comparison of multi-source data and drifting velocity esti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3(17): 5513-5527. 

  4. Dhillon, A. and G.K. Verma, 2019.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review of models, methodologies and applications to object detection, Progress in Artificial Intelligence, 1-28. 

  5. Garcia, R.A., P. Fearns, J.K. Keesing, and D. Liu, 2013. Quantification of floating macroalgae blooms using the scaled algae index,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8(1): 26-42. 

  6. Hu, C., 2009. A novel ocean color index to detect floating algae in the global ocea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10): 2118-2129. 

  7. Hu, C., L. Feng, R.F. Hardy, and E.J. Hochberg, 2015. Spectral and spatial requirements of remote measurements of pelagic Sargassum macroalga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67: 229-246. 

  8. Hu, L., C. Hu, and H.E. Ming-Xia, 2017. Remote estimation of biomass of Ulva prolifera macroalgae in the Yellow S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2: 217-227. 

  9. Hwang, E.K., S.J. Lee, D.S. Ha, and C.S. Park, 2016. Sargassum golden tides in the Shinan-gun and Jeju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9(5): 689-693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K., J. Shin, and J.H. Ryu, 2018. Application of multi-satellite sensors to estimate the green-tide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2-2): 339-3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K., J. Shin, K.Y. Kim, and J.H. Ryu, 2019. Long-term trend of green and golden tides in the eastern Yellow S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17-323. 

  12. Krizhevsky, A., I. Sutskever, and G.E. Hinton, 2012.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Proc. of 26th Annu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Siem Reap, Cambodia, Dec. 3-8, vol. 1, pp. 1097-1105. 

  13. Kwon, H.K., H. Kang, Y.H. Oh, S.R. Park, and G. Kim, 2017. Green tide development associated wit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a coastal harbor, Jeju, Korea, Scientific Reports, 7(1): 1-9. 

  14. Kwon, K., B.J. Choi, K.Y. Kim, and K. Kim, 2019. Tracing the trajectory of pelagic Sargassum using satellite monitoring and Lagrangian transport simulations in the East China Sea and Yellow Sea, Algae, 34(4): 315-326. 

  15. Lee, J.H., I.C. Pang, I.J. Moon, and J.H. Ryu, 2011. On physical factors that controlled the massive green tide occurrence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Shandong Peninsula in 2008: A numerical study using a particle-tracking experi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6(C12). 

  16. Liang, X.J., P. Qin, Y.F. Xiao, K.Y. Kim, R.J. Liu, X.Y. Chen, and Q.B. Wang, 2019. Automatic remote sensing detection of floating macroalgae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using extreme learning machine,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72-281. 

  17. Liu, D., J.K. Keesing, P. He, Z. Wang, Y. Shi, and Y. Wang, 2013. The world's largest macroalgal bloom in the Yellow Sea, China: formation and implication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29: 2-10. 

  18. Min, S.H., J.D. Hwang, H.J. Oh, and Y.B. Son, 2019. Refle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nd golden tides from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10-316. 

  19. Mordvintsev, A., C. Olah, and M. Tyka, 2015. Deepdream-a code example for visualizing neural networks, Google Research, 2(5). 

  20. Qi, L., C. Hu, M. Wang, S. Shang, and C. Wilson, 2017. Floating algae blooms in the East China Se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4(22): 11-501. 

  21. Smetacek, V. and A. Zingone, 2013. Green and golden seaweed tides on the rise, Nature, 504(7478): 84-88. 

  22. Son, Y.B., B.J. Choi, Y.H. Kim, and Y.G. Park, 2015. Tracing floating green algae bloom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using GOCI satellite data and Lagrangian transport simula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56: 21-33. 

  23. Son, Y.B., J.E. Min, and J.H. Ryu, 2012. Detecting massive green algae (Ulva prolifera) bloom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using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data, Ocean Science Journal, 47(3): 359-375. 

  24. Wang, S., L. Liu, L. Qu, C. Yu, Y. Sun, F. Gao, and J. Dong, 2019. Accurate Ulva prolifera regions extraction of UAV images with superpixel and CNNs for ocean environment monitoring, Neurocomputing, 348: 158-168. 

  25. Xiao, J., Z. Wang, H. Song, S. Fan, C. Yuan, M. Fu, X. Miao, X. Zhang, R. Su, and C. Hu, 2020. An anomalous bi-macroalgal bloom caused by Ulva and Sargassum seaweeds during spring to summer of 2017 in the western Yellow Sea, China, Harmful Algae, 93: 101760. 

  26. Xiao, Y., J. Zhang, T. Cui, J. Gong, R. Liu, X. Chen, and X. Liang, 2019. Remote sensing estimation of the biomass of floating Ulva prolifera and analysis of the main factors driving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biomass in the Yellow Sea, Marine Pollution Bulletin, 140: 330-340. 

  27. Xing, Q., R. Guo, L. Wu, D. An, M. Cong, S. Qin, and X. Li, 2017. High-resolution satellite observations of a new hazard of golden tides caused by floating Sargassum in winter in the Yellow Sea,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14(10): 1815-1819. 

  28. Ye, N.H., X.W. Zhang, Y.Z. Mao, C.W. Liang, D. Xu, J. Zou, Z.M. Zhuang, and Q.Y. Wang, 2011. 'Green tides' are overwhelming the coastline of our blue planet: taking the world's largest example, Ecological Research, 26(3): 477. 

  29. Zhang, J., J. Shi, S. Gao, Y. Huo, J. Cui, H. Shen, G. Liu, and P. He, 2019. Annual patterns of macroalgal blooms in the Yellow Sea during 2007-2017, PloS One, 14(1). 

  30. Zhang, J., Y. Huo, H. Wu, K. Yu, J.K. Kim, C. Yarish, Y. Qin, C. Liu, R. Xu, and P. He, 2014. The origin of the Ulva macroalgal blooms in the Yellow Sea in 2013, Marine Pollution Bulletin, 89: 276-2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