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원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이후 인공시설물 증가에 따른 두루미류 분포변화
Habitat Utilization Change of Crane Species against the Increasing Anthropogenic Structure after Released from Civilian Control Zone; CCZ in Cheorwon, Rep. of Ko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1, 2020년, pp.1 - 7  

유승화 (국립생태원) ,  주성배 (국립생태원) ,  이기섭 (한국물새네트워크) ,  김수호 (한국조류보호협회 철원지회) ,  김동원 (국립생물자원관) ,  김화정 (국립생물자원관) ,  김진한 (국립생물자원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철원에서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이후 시공된 인공시설물이 두루미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장소는 2012년에 민간인통제지역에서 해제되었고 2017년부터는 축사가 만들어진 장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루미의 평균 서식 개체수는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전(2009년-2012년)에는 9.3±4.3 개체 이었으며, 해제 이후 3.5±0.5 개체가 되어 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재두루미는 민간인통제지역 해제 전과 후에 각각 63.3±24.6 개체, 6.0±6.0 개체로 조사되어 90% 가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민간인통제지역의 해제 이후 비닐하우스, 축사의 건립이 전반적으로 두루미의 서식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두루미의 경우 축사가 건립된 지역으로부터 핵심지역이 멀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지역은 2012년 민간인통제지역이 개방된 시기부터 선호되는 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에 두루미의 분포범위 변화는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 재두루미의 경우 비닐하우스가 건립된 지역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지만, 축사가 집중적으로 건설된 2017년 이후에는 핵심서식지가 위축되고 파편화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축사의 신축으로 인한 서식환경 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민간인통제지역 개방 이후 비닐하우스가 건립되어 영향을 주었지만 축사의 건립은 핵심서식지에 대해 더 큰 변화를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람의 통행 등이 비닐하우스에 비해 축사가 더 빈번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artificial facilities constructed afterthe release of the civilian controlled zone (CCZ) in Cheorwon on the inhabitation of cranes. The study site was released from the CCZ in 2012, and several barns have been built since 2017. The average number of Red-crow...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도시개발 등에 의한 두루미류의 서식변화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인 통제지역이 해제되며 인공건축물이 증가한 지역에서 두루미류의 개체수와 분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밀도분석을 통해 가시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사 건립에 의한 영향이 생태계에 즉각적으로 발생하고 개간공사 등 교란 이후 원상태로 회복하는 일시적 교란요인에 비해 영향이 지속되는 양상을 보인 이유는? 하지만 본 연구에서 축사 건립에 의한 영향은 즉각적으로 발생하였으며 개간공사 등 교란 이후 원상태로 회복하는 일시적 교란요인에 비해 영향이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영향의 지속은 축사가 영농활동과는 달리 사료공급, 소독, 관리활동 등의 지속적인 교란행위를 수반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Yoo et al. 2015).
두루미(Grus japonensis)와 재두루미가 환경영향평가시 중요하게 다루어 지는 조류인 이유는? 두루미(Grus japonensis)와 재두루미(Grus vipio)는 서식범위가 제한되고 개체수가 적은 대형의 멸종 위기종이다(IUCN 2019). 또한 인간의 서식지에 대한 개발 및 직접적 행위에 의한 교란에 민감하기 때문에 환경영향평가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조류이다(Herr & Queen 1993; Pae 2000; Austin and Richert 2001; Lee et al. 2001; Su 2003; Cao andLiu 2008).
철원의 두루미류 월동지역이 민간인통제지역 내 농경지를 따라 동서방향으로 확장되고 있는 양상을 띄는 이유는? 2015). 지속적인 교란의 증가와 함께 민간인통제지역의 남북방향 축소로 인해 철원의 두루미류 월동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 내 농경지를 따라 동서방향으로 확장되고 있는 양상이다(Yoo et al.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ustin JE, Richert AL. 2001. A Comprehensive review of observational and site evaluation data of migrant Whooping Cranes in the United States, 1943-1999. US Geological Survey,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Center, Jamestown, ND, USA, 157p. 

  2. Brooks TM, Pimm SL, Oyugi JO. 1999. Time lag between deforestation and bird extinction in tropical forest fragments. Conservation Biology 13(5): 1140-1150. 

  3. Cao M, Liu G. 2008. Habitat suitability change of Red-crowed Crane in Yellow River Delta Nature Reserve.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9(2): 141-147. 

  4. Choi TY, Kwon HS, Woo DG, Park CH. 2012.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rural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 322-332. [Korean Literature] 

  5. Fleishman E, Murphy DD, Brussard PF. 2000. A new method for selection of umbrella species for conservation planning. Ecological Application 10: 569-579. 

  6. Gitzen RA, Millspaugh JJ, Kernohan BJ. 2006. Bandwidth selection for fixed-kernel analysis of animal utilization distribution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70(5): 1334-1344. 

  7. Herr AM, Queen LP. 1993. Crane habitat evalu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59(10): 1531-1538. 

  8. IUCN :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19.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Version 2018-2. [cited 2018 Feb 28]. Available from : http://www.iucnredlist.org 

  9. Kauhala K, Auttila M. 2010. Estimating habitat selection of Badgers: a test between different methods. Folia Zoologica 59: 16-25. 

  10. Lee WS, Rhim SJ, Park CR. 2001. Habitat use of cranes in Cheol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4(2): 77-80. 

  11. Pae SH. 2000. A study on habitat use of wintering cranes in DMZ, Korea: with carrying capac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using GIS. Dissertation of the Kyung Hee University. 77pp. [Korean Literature] 

  12. Park JY. 1993. Wintering ecology of the Whitefronted Geese on Junam Reservoirs, Korea. M. Sc. Thesis, Kyung Hee University, 57pp. [Korean Literature] 

  13. Roberge JM, Angelstam P. 2004. Usefulness of the umbrella species concept as a conservation tool. Conservation Biology 18: 76-5. 

  14. Roberge JM, Mikusinski G, Svensson S. 2008. The White-backed woodpecker: Umbrella species for forest conservation plann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17: 2479-2494. 

  15. Sawyer SC. 2012. Subpopulation range estimation for conservation planning: a case study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Cross River Gorilla. Biodiversity Conservation 21: 1589-1606. 

  16. Sekercioglu CH, Loarie SR, Brenes FO, Ehrich PR Daily GC. 2007. Persistence of forest birds in the Costarican agricultural countryside. Conservation Biology 21: 482-494. 

  17. Signer J, Balkenhol N. 2015. Reproducible home ranges (rhr): A new, user-friendly R package for analyses of wildlife telemetry data. Wildlife Society Bulletin 39(2): 358-363. 

  18. Su L. 2003. Habitat selection by Sandhill Cranes, Grus canadensis tabida, at multiple geographic scales in Wisconsin. Ph. D. Thesis of Univ. of Wisconsin-Madison, USA, 141p. 

  19. Worton BJ. 1989. Kernel methods for estimating the utilization distribution in home-range studies. Ecology 70: 164-168. 

  20. Yoo SH, Jung HY, Kim KS, Yu DS, Kim NS, Kim HJ, Hur WH, Kim JH, Lee KS. 2015. The change of core habitats of the cranes due to release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and construction disturbanc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4): 301-316. [Korean Literature] 

  21. Yoo SH, Lee KS, Yoo JC. 2008. Preference of the CCZ (Civilian Control Zone) in Cheorwon basin as a wintering site of Cranes: wintering season of 2002-2003.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5(1): 39-49. [Korean Literature] 

  22. Yoo SH, Lee KS, Kim IK, Kang TH, Lee HS. 2009. Research on the size, formation and tendency to evade the road of the feeding flocks of crane species: centering on the effect of road vs. traffic condi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1):41-49. [Korean Literature] 

  23. Yoo SH, Lee KS, Kim JH, Park JH. 2011. Longterm monitoring result and factors of the wintering crane’s population change in Cheorwon, Korea: historic change and impact assessment of weather change by the MODIS.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8(1): 59-71.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