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통합적 고찰을 통한 간호사들의 직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 유병률과 예측요인
Prevalence and Indica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on Nurses: An Integrated Review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7 no.1, 2020년, pp.1 - 11  

최은희 (영남이공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valence and causal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on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n integrated review. Documentations were searched through electric databases using SAGE journals, EBSCOhost, Pubmed, RISS, NDSL and KCI. Terminology for thi...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한 연구로는 Jeon과 Park (2008)이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발표 연도, 출처, 연구유형, 연구대상, 주요개념과 도구를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 있는 주요개념으로 근골격계 자각증상, 인체공학적 작업평가, 직무 스트레스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Jeon과 Park (2008)의 분석에서는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인체공학적 작업평가와 같은 개념들은 근골격계 질환의 관련요인이 아니라 중재 개념이라 할 수 있어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통계연구로는 부족하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의 통합적 고찰을 통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과 예측요인 현황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현황을 확인하고 근골격계 질환 유병률과 관련이 있는 변수들을 분석하는 통합적 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유병률과 예측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 검색을 하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SAGE journals, EBSCOhost, Pubmed,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및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를 사용하였으며, 검색어로 한국어 용어는 ‘간호사’와 ‘근골격계’이었으며 영어는 ‘Nurse’와 ‘Musculoskeletal’이었다.
  •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현황을 파악하고 관련원인 변수에 대한 OR 또는 RR을 분석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률과 관련 변수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가 12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이란 11편, 중국 6편의 순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 질환 중 직업과 관련된 증상은 무엇이 중요한가? 이로 인해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 문제는 대부분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할 간호사의 주요한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Lee & Kim, 2017). 특히, 직업과 관련된 증상은 예방이 중요하며 생산성 향상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통계 연구는 부족하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한 연구로는 Jeon과 Park (2008)이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발표 연도, 출처, 연구유형, 연구대상, 주요개념과 도구를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국외에서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파악한 통계연구의 실정은 어떠한가? 국외에서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파악한 통계연구로는 Azizpour, Delpisheh, Montaxeri와 Sayehmin (2017)가 이란 간호사를 대상으로 요통 발생률을 확인한 것과 Stolt, Suhonen, Virolainen과 Leino-Kilpi (2016)이 핀란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부 근골격계 질환을 확인한 연구가 있었으나 전반적인 근골격계 질환의 통계현황을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의 통합적 고찰을 통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과 예측요인 현황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 연도별, 국가별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출판현황을 파악한다. • 근골격계 질환의 신체 부위별 유병률을 국내와 국외로 분류하여 비교한다. • 미국 국립 산업안전 보건연구원에서 제시하는 안전 관련 근골격계 질환 호발 부위를 기준으로 관련원인들을 분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zizpour, Y., Delpishes, A., Montazeri, Z., & Sayehmin, K. (2017). Prevalence of low back pain in Iranian nurse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Nursing, 16(1). https://doi.org/10.1186/s12912-017-0243-1 

  2. Bernal, D., Campos-Serna, J., Tobias, A., Vargas-Prada, S., Benavides, F. G., & Serra, C. (2015). Work-related psychosocial risk factor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hospital nurses and nursing aid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2, 633-648.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4.11.003 

  3. Davis, K. G., & Kotowski, S. E. (2015).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nurses in hospitals,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home health care: A comprehensive review. Human Factors, 57(5), 754-792. https://doi.org/10.1177/0018720815581933 

  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2010). Absence from work. Retrieved November 26, 2019, from http://www.eurofound.europa.eu 

  5. Harcombe, H., McBride, D., Derrett, S., & Gray, A. (2010).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New Zealand nurses, postal workers and office workers. Injury Prevention, 16, 96-100. https://doi.org/10.1136/ip.2009.021766 

  6. Hartvigsen, J., Lings, S., Leboeuf-Yde, C., & Bakketeig, L. (2004).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in relation to low back pain and consequences of low back pain: A systemic, critical review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61(1), Retrieved November 20, 2019, from http://www.occenvmed.com/cgi/content/full/61/1/e2 

  7. Jang, S. M., & Kim, E. A. (2019). Factors influencing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in hemodialysis nurses in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5), 478-488.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5.478 

  8. Jeon, K. M., & Park, K. M. (2008). Trends of research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among nurses, reported in Korea.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2(1), 73-82. 

  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Industrial accidents status (2001-2006). Retrieved November 26, 2019,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 

  10. Lee, E. Y., & Kim, J. S. (2017).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fatigue, and musculoskeletal pain in nurs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351-359. https://doi.org/10.5762/kais.2017.18.1.351 

  11. Long, M. H., Johnston, V., & Bogossian, F. (2012). Work-related upper quadrant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midwives, nurses and physicians: A systemic review of risk factors and functional consequences. Applied Ergonomics, 43, 455-467. https://doi.org/10.1016/j.apergo.2011.07.002 

  1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Workshop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ease. Retrieved February 20, 2020, from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4438 

  13. Park, J. K. (2014).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 factors and 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4(3), 371-382. https://doi.org/10.15269/jksoeh.2014.24.3.371 

  14. Park, J. K., Jang, S. H., Kim, D. S., Hur, K. H., Lee, H. Y., Choi, E. Y., et al. (2010).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risk factors in general hospital nurses: Nursing task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at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0, 86-89. Retrieved November 17, 2019, from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544312 

  15. Shamsi, A. S. M., Izadi, N., Heydarpour, B., Samadzadeh, S., & Shahmohammadi, A. (2019). Musculoskeletal disorders as common problems among Iranian nurse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9, 1-9. https://doi.org/10.4103/ijpvm.ijpvm_235_16 

  16. Stolt, M., Suhonen, R., Virolainen, P., & Leino-Kilpi, H. (2016). Low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nurses: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4, 101-115. https://doi.org/10.1177/1403494815602989 

  17. Zhang, Q., Dong, H., Zhu, C., & Liu, G. (2019). Low back pain in emergency ambulance workers in tertiary hospitals in China and its risk factors among ambulance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BMJ, 9. https://doi.org/10.1136/bmjopen-2019-02926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