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활동이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성인 남성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on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n Male Adul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4 no.1, 2020년, pp.35 - 47  

반지현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양영란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f adult Korean males on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the raw data from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494 men aged 19-64 years old. The data wa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 대상자가 특정 지역에서 임의 추출되어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표성 있는 표본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Community Health Survey, CHS)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 정도를 확인하고 신체활동이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당뇨병 유병률을 낮추고 성인 남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과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19-64세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정도(걷기 실천율,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수준)를 파악하고 신체활동이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신체활동수준은 걷기실천은 58.
  • 본 연구는 연구측면에서 대규모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성인 남성 인구 집단을 대표하여 신체활동이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무측면에서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당뇨병 예방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전국의 19-64세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이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KCDC, 2017) 자료를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역보건 의료계획 수립 및 평가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생산되는 자료로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남성의 신체활동이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WHO(2018)에 따르면 신체활동 부족은 뇌졸중, 당뇨, 암과 같은 NCDs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이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 신체활동 실천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의 신체활동 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당뇨병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본 연구에서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 실천의 정도를 파악하고 신체활동이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로 인한 고혈당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3%로 증가 추세이다(Korea Centers for Disease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7). 당뇨로 인한 고혈당증은 심뇌혈관질환, 뇌졸중, 만성신장질환,신경과 혈관 손상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조기 이환 및 사망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IDF, 2019).특히, 2009-2013년 5년간 국내 당뇨병 진료경향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으며 남성의 점유율이 점점 더 증가하였고 70세 미만에서는 남성이 더 많고 70세 이상에서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Cho, 2015).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중등도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이 매우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1%보다다소 상승하였지만 여전히 낮은 상태이며 특히 중등도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매우 낮다. 이는 일반적으로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경우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시기로 신체활동을 위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기 어렵기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실천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성인 남성이 당뇨병 위험이 높은 집단인 이유는 무엇인가? 70)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경우 흡연이나 식습관 같은 건강생활습관이 좋지 않고 특히 30대 이상에서 비만율이 가장 높으며 신체활동이 저조한 편으로(KCDC,2017), 이로 인한 당뇨병 위험이 높은 집단이다. 성인기의 건강문제는 노년기로 이어져 다양한 만성질환으로이어질 수 있으므로 건강한 노년기를 맞이하기 위한 성인기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및 이에 대한건강관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kter, S., Goto, A., & Mizoue, T. (2017).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Japa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Epidemiology, 27(12), 553-561. https://doi.org/10.1016/j.je.2016.12.017 

  2. Aune, D., Norat, T., Leitzmann, M., Tonstad, S., & Vatten, L. J. (2015). Physical activity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30(7), 529-542. https://doi.org/10.1007/s10654-015-0056-z 

  3. Baek, H., & Kim, J. (2013).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3), 75-86. 

  4.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Workplace health promotion: Environmental support'. Retrieved February 4, 2020, from https://www.cdc.gov/workplacehealthpromotion/health-strategies/physical-activity/interventions/environmental-support.html 

  5. Cho, D. Y. (2015). Diabetes car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olicy brief: Trend in recent 5 year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9(2), 67-74. 

  6. Chun, I., Ryu, S. Y., Park, J., Han, M. A., Choi, S. W., & Ko, D. S. (2014). The associations between discordance of body image and physical activities among adults aged 19 to 64 years: Based on the data from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n Journal of Obesity, 23(4), 274-280. 

  7. Dinca-Panaitescu, S., Dinca-Panaitescu, M., Bryant, T., Daiski, I., Pilkington, B., & Raphael, D. (2011). Diabetes prevalence and income: Results of the Canadian Community Health Survey. Health policy, 99(2), 116-123. https://doi.org/10.1016/j.healthpol.2010.07.018 

  8. Hwang, J., & Shon, C. (2014).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0-2012. BMJ Open, 4(8), e005710. https://doi.org/10.1136/bmjopen-2014-005710 

  9.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9). About diabetes. Retrieved February 4, 2020, from https://idf.org/aboutdiabetes/what-is-diabetes.html 

  10. Jeon, C. Y., Lokken, R. P., Hu, F. B., & Van Dam, R. M. (2007). Physical activity of moderate intensity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Diabetes Care, 30(3), 744-752. https://doi.org/10.2337/dc06-1842 

  11. Jeon, Y. K., & Cho, W. J. (2016).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shape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of middle-aged women by physical activity level.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4), 527-539. 

  12. Joung, I. M., Stronks, K., Van de Mheen, H., & Mackenbach, J. P. (1995). Health behaviours explain part of the differences in self reported health associated with partner/marital statu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49(5), 482-488. https://doi.org/10.1136/jech.49.5.482 

  13. Kim, B. (2016).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of Korean adults in some county areas: A multilevel analys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311-325. https://doi.org/10.5932/jkphn.2016.30.2.311 

  14. Kim, J., & Lee, G. (2012). The comparis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factors of the Korean male adult.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3), 166-173. https://doi.org/10.7586/jkbns.2012.14.3.166 

  15. Kim, N. I. (2012). The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Growth Development, 20(2), 101-109.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2017. Retrieved February 4, 2020, from https://chs.cdc.go.kr/chs/igm/igmMain.do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trieved July 15, 2019,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Physical activity. Retrieved July 15, 2019, from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1N3YZOBQ8V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Smoking and diabetes. Retrieved July 17, 2019, from https://www.cdc.gov/tobacco/campaign/tips/diseases/diabetes.html 

  20. Lee, Y. R., Kang, M. A., Moon, J. S., & Kim, M. K. (2001).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blood glucose level and motivation of exercise in the diabetes mellitus pat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5(1), 172-181. 

  21. Park, E. O, Choi, S. J., & Lee, H. Y. (2013).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based on the KNHANES V 2010.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8(1), 1-13. https://doi.org/10.5393/jamch.2013.38.1.001 

  22. Park, J. Y., & Kim, N. H. (2013).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53-165.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53 

  23. Schoeppe, S., Alley, S., Van Lippevelde, W., Bray, N. A., Williams, S. L., Duncan, M. J., & Vandelanotte, C. (2016). Efficacy of interventions that use apps to improve diet,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3(1), 127. https://doi.org/10.1186/s12966-016-0454-y 

  24. Sigal, R. J., Armstrong, M. J., Bacon, S. L., Boule, N. G., Dasgupta, K., Kenny, G. P., & Riddell, M. C. (2018). Physical activity and diabetes. Canadian Journal of Diabetes, 42, S54-S63. 

  25. Statistics Korea. (2018). 2018 Statistics of ageing. Retrieved July 15, 2019, from http://kosis.kr/publication/publicationWord.do 

  26. Umberson, D. (1992).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social control of health behavior. Social Science & Medicine, 34(8), 907-917. https://doi.org/10.1016/0277-9536(92)90259-s 

  27.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2nd edition. Retrieved July 20, 2019, from https://health.gov/paguidelines/second-edition/ 

  28. Virtanen, M., Jokela, M., Lallukka, T., Hanson, L. M., Pentti, J., Nyberg, S. T., et al. (2019). Long working hours and change in body weight: Analysis of individual-participant data from 19 cohort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8. https://doi.org/10.1038/s41366-019-0480-3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Global report on diabetes. Retrieved February 5, 2020, from https://www.who.int/diabetes/global-report/en/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Physical activity-key facts. Retrieved July 15, 2019,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physical-activ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