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탄올 농도 조건이 개똥쑥 추출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ying ethanol concentrations on the extraction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rtemisia annua 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2, 2020년, pp.130 - 137  

김경철 (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 ,  김주성 (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물과 다양한 에탄올 농도로 추출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페놀성 성분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용매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phenol과 flavonoid 함량에서 4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후 에탄올의 농도를 높이더라도 총 phenol 및 flavonoid 함량에 대한 긍정적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인위적으로 생성시킨 DPPH, superoxide, nitric oxide 및 hydroxyl 라디칼소거능 실험 결과는 20,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반면 TEAC, FRAPORAC 분석을 통해 얻어진 총 항산화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개똥쑥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물과 2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생장저해효과가 없었지만, 40%에서 99.5% 에탄올 추출물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효소 저해 활성의 경우 항당뇨와 관련이 있는 α-glucosidase 실험에서 99.5% 에탄올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acarbose보다 비슷하거나 높은 저해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60% 에탄올이 가장 높은 활성을 가졌다. Elastase 실험은 40%와 60% 에탄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는 용매로 사용된 에탄올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능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각 추출물에 대한 flavonoid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주요 flavonoid는 rutin, hesperidin, myricetin, nobiletin이었다. 또한 추출 용매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flavonoid의 성분이 달랐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똥쑥 잎의 페놀성 성분은 극성-비극성의 넓은 범위를 가지며 중간 극성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개똥쑥 추출물의 생리활성은 강력한 활성을 가진 특정 flavonoid에 의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똥쑥의 flavonoid 성분 추출 시 사용되는 용매 농도 설정에서 기초 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effects exerted by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on the extraction of active components, such as polyphenols and flavonoids, from the dried leaves of Artemisia annua L. Different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a heating mantle. The extraction solvents u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페놀성 성분이 있으며 생리활성이 뛰어난 개똥쑥 잎을 에탄올과 물로 조성된 농도별 용매를 이용할 경우 추출된 성분의 차이와 그에 따른 생리활성에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똥쑥 잎의 생리활성에 따른 추출 용매 선택을 위하여 에탄올의 농도를 다르게 한 6종류의 용매로 시료를 각각 추출한 뒤 추출물의 총 phenol 및 flavonoid 함량, 항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효소 활성을 조사하여 개똥쑥 잎의 기능성 성분 최적 추출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 FRAP은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에 대한 철의 환원 능력을 측정하여 항산화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다(Benzie와Strain, 1996). 이를 응용하여 추출물의 환원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추출물 5 μL에 10 mM 2,4,6-tripyridyls-triazine (TPTZ)와 20 mM FeCl3를 0.

가설 설정

  • 1) RC50: means is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required for scavenging radical by 50%.
  • 1)TEAC: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alues are expressed as mM trolox/g of extract.
  • 2)Values are means of triplicate determination±standard deviation.
  • 3)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values are expressed as mM trolox/g of extract.
  • 3)Values are means of triplicate determination±standard deviation.
  • 4)Values are means of triplicate determination±standard devi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똥쑥이란 무엇인가? 또한 엽록체, 효소, 섬유질,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물이다. 쑥속 식물 중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개똥쑥의 경우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국내에서는 들판과 길에 자생하고 있다(Ryu 등, 2011). 약재명으로 ‘청호’라고 불리며 개똥쑥의 지상부는 지혈제, 살충제와 피부 처방에 쓰이고 있다. 개똥쑥은 terpenoids, flavonoids, streroids, coumarins 등 다양한 2차 대사산물을 함유하고 있다(Bhakuni 등, 2001).
개똥쑥 잎 추출물의 페놀성 성분을 극대화 시키는 에탄올 농도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물과 다양한 에탄올 농도로 추출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페놀성 성분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용매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phenol과 flavonoid 함량에서 4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후 에탄올의 농도를 높이더라도 총 phenol 및 flavonoid 함량에 대한 긍정적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개똥쑥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추출 용매 조건은 무엇인가? 반면 TEAC, FRAP 및 ORAC 분석을 통해 얻어진 총 항산화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개똥쑥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물과 2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생장저해효과가 없었지만, 40%에서 99.5% 에탄올 추출물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효소 저해 활성의 경우 항당뇨와 관련이 있는 α-glucosidase 실험에서 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anda A, Sequedo L, Tolosa L, Quintas G, Burello E, Castell JV, Gombau L.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 assay: a quantitative method for oxidative stress assessment of nanoparticle-treated cells. Toxicol. In Vitro. 27: 954-963 (2013) 

  2. Benzie I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3. Bhakuni RS, Jain DC, Sharma RP, Kumar S. Secondary metabolites of Artemisia annua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Curr. Sci. 80: 35-48 (2001) 

  4. Cai Y, Luo Q, Sun M, Corke H.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74: 2157-2184 (2004) 

  5.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912) 

  6. Goli AH, Barzegar M, Sahari MA.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pistachio (Pistachia vera) hull extracts. Food Chem. 92: 521-525 (2005) 

  7. Hayouni EA, Abedrabba M, Bouix M, Hamdi M. The effects of solvents and extraction method on the phenolic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in vitro of Tunisian Quercus coccifera L. and Juniperus phoenicea L. fruit extracts. Food Chem. 105: 1126-1134 (2007) 

  8. Juteau F, Masotti V, Bessiere JM, Dherbomez M, Viano J.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essential oil. Fitoterapia 73: 532-535 (2002) 

  9. Kang J, Li Z, Wu T, Jensen GS, Schauss AG, Wu X. Anti-oxidant capacities of flavonoid compounds isolated from acai pulp (Euterpe oleracea Mart.). Food Chem. 122: 610-617 (2010) 

  10. Kim KC, Kim JS.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leaves tea by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J. Plant Biotechnol. 46: 37-44 (2019) 

  11. Ko HM, Eom TK, Kim KC, Yoo JH, Lim JD, Yoo CY, Kim JS. Biological activity investigation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 of fermented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 J. Adv. Eng. and Tech. 11: 115-121 (2018) 

  12. Kwak JH, Seo UK, Han YH. Inhibitory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220-223 (2001) 

  13. Lee SD.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Nutr. 13: 490-505 (2000) 

  14. Lodari C, Hattori K, Futsuhara Y. Morphological difference on leaf surface and pollen grains in genus Artemisia. Jpn. J. Breed. 39: 9-12 (1989) 

  15. Majorie MC. Plant products as antimicrobial agents. Cli. Microbiol. Rev. 12: 564-582 (1999) 

  16. Nishikimi M, Rao NA, Yagi K.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un. 46: 849-854 (1972) 

  17. Paixao N, Perestrelo R, Marques JC, Camara JS.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red, rose and white wines. Food Chem. 105: 204-214 (2007) 

  18. Patel R, Patel 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umarin compounds by DPPH, super oxide and nitric oxide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s. J. Adv. Pharm. Educ. Res. 1: 52-68 (2011) 

  19. Prior RL, Hoang HA,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 $ORAC_{FL}$ ))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1: 3273-3279 (2003)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21. Romero MR, Serrano MA, Vallejo M, Efferth T, Alvarez M, Marin JJ. Antiviral effect of artemisinin from Artemisia annua against a model member of the Flaviviridae family, the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BVDV). Planta Med. 72: 1169-1174 (2006) 

  22. Ryu JH, Kim RJ, Lee SJ, Kim IS, Lee HJ, Sung NJ. Nutri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3-170 (2011) 

  23. Sharma B, Balomajumder C, Roy P.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flavonoid rich extract from Eugenia jambolana seeds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Food Chem. Toxicol. 46: 2376-2383 (2008) 

  24. Tu Y. The discovery of artemisinin (qinghaosu) and gifts from Chinese medicine. Nat. Med. 17: 17 (2011) 

  25.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Effects of extraction solvents on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and black mate tea polyphenols determined by ferrous tartrate and Folin-Ciocalteu methods. Food Chem. 99: 835-841 (2006) 

  26. Wang H, Du YJ, Song HC.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ies of guava leaves. Food Chem. 123: 6-13 (2010) 

  27. Xie D, Wang L, Ye H, Li G. Isolation and production of artemisinin and stigmasterol in hairy root cultures of Artemisia annua.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63: 161-166 (2000). 

  28. Yang Y, Zhang 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rutin and quercetin from Euonymus alatus (Thunb.) Sieb. Ultrason. Sonochem. 15: 308-313 (2008) 

  29. Zhang M, Chen H, Li J, Pei Y, Liang, Y. Antioxidant properties of tartary buckwheat extracts as affected by different thermal processing methods. LWT-Food Sci. Technol. 43: 181-185 (2010) 

  30. Zhang ZS, Li D, Wang LJ, Ozkan N, Chen XD, Mao ZH, Yang HZ. Optimization of ethanol-water extraction of lignans from flaxseed. Sep. Purif. Technol. 57: 17-24 (2007) 

  31. Zheng GQ. Cytotoxic terpenoids and flavonoids from Artemisia annua. Planta Med. 60: 54-57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