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시판되는 가정간편식 제품의 당류 함량 평가
Assessment of the Sugars Contents in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Sold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6 no.2, 2020년, pp.116 - 125  

김유미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ugars content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currently sold in Korea. This study surveyed and examined the sugars contents in 835 popular HMRs (294 ready-to-eat foods; RTE, 499 ready-to-cook foods; RTC, 42 fresh-cut vegetables; FCV) through th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한정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HMR을 조사하고 HMR을 임의 분류한후 제품 간 단순 비교함으로써 당류 함량의 편차가커서 도출한 결과를 해석하고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835종의 적지 않은 HMR 제품을 조사하였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과 선행연구를 기준으로 제품을 분류하고, 제품, 중량, 가격기준으로 당류 함량을 다각도로 평가한 첫 국내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HMR 시장이 크게 확대되면서 적절한 당류 섭취를 고려한 HMR 생산 및 소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은 상태에서 본 연구결과는 그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당류 섭취가 증가하고 HMR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시판되고 있는 HMR 제품을 시장조사하여 그 현황을 파악하고, HMR 제품 유형별당류 함량을 평가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류 섭취가 증가하고 HMR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HMR 제품을 시장조사하여 그 현황을 파악하고, HMR 제품 유형별 당류 함량을 평가함으로써 당 함량과 섭취를 고려한 바람직한 HMR 생산 및 소비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TE 9가지 제품군별 당류 함량을 평가했을 때 제품당 함량이 다른 제품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은 무엇이었는가? 2. RTE 9가지 제품군별 당류 함량을 평가했을 때 제품당 함량은 밑반찬류(34.3 g)와 선식류(22.5 g)가 다른 제품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량당 함량은 선식류(17.5 g/100 g), 밑반찬류(7.
본 고에서 14가지 제품군별 RTC의 당류 함량 평가 결과, 제품당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3. RTC의 14가지 제품군별 당류 함량을 평가했을 때 제품당 함량은 핫도그류가 52.9 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떡볶이류가 30.4 g, 국수류가 21.
본 고에서 조사한 HMR 제품의 범위는 어떠한가? 연구기관의 인접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한 서울, 경기, 충남, 충북의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을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판매되고 있는 HMR 제품을조사하였으며, 2019년 10월 5일부터 12월 1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범위는 식품공전(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b)에 의한 HMR 분류에 따라 즉석섭취식품(ready-to-eat foods, RTE), 즉석조리식품(ready-to-cook foods, RTC), 신선편의식품(ready-to-eatfresh-cut vegetables, FCV)으로 하였다. 조사된 HMR제품은 총 835개였으며, 유형별로는 RTE 294개, RTC 499개, FCV 42개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MK, Park ES, Kim MH (2019): Home meal replacement use and eating habits of adults in one-person households. Korean J Community Nutr 24(6):476-484 

  2. Costa AIA, Dekker M, Beumer RR, Rombouts FM, Jongen WMF (2001): A consumer-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home meal replacements. Food Qual Prefer 12(4):229-242 

  3. Ervin RB, Kit BK, Carroll MD, Ogden CL (2012): Consumption of added sugar among U.S. children and adolescents, 2005-2008. NCHS Data Brief (87):1-8 

  4. Ervin RB, Ogden CL (2013): Consumption of added sugars among U.S. adults, 2005-2010. NCHS Data Brief (122):1-8 

  5. Hong WS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home meal replacement in relation to the consumption trends. Food Sci Ind 50(3):2-32 

  6. Jung J (2016): Action plan for sugars reduction. Food Sci Ind 49(3):12-16 

  7. Kim SY, Kang MS, Kim SN, Kim JB, Cho YS, Park HJ, Kim JH (2011): Food composition tables and national information network for food nutrition in Korea. Food Sci Ind 44(1): 2-20 

  8. Kim YW (2017): Trends in markets for home meal replacemnets. Food Sci Ind 50(1):57-66 

  9. Langlois K, Garriguet D (2011): Sugar consumption among Canadians of all ages. Health Rep 22(3):23-27 

  10.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2014):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47(4):268-276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a). Food labeling system. Available from: https://mfds.go.kr/eng/wpge/m_14/denofile.do. Accessed August 28, 2019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b).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foodRvlv/foodRvlv.do. Accessed January 28, 2020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pp.82-100 

  14. Public Health England, Food Standards Agency (2014):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results from years 1, 2, 3 and 4 (combined) of the rolling programme (2008/2009-2011/2012). Public Health England and Food Standards Agency. London 

  1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0): Added-sugar intake on the rise. Agric Res 4(6):17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Guideline: sugars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p.20-26 

  17. Yoon EK (2018): Current status of Korean sugar intake and reduction policy. Food Ind Nutr 23(2):10-13 

  18. Yoon MO, Lee HS, Kim K, Shim JE, Hwang JY (2017):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database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50(5):504-5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