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 성인의 가정간편식 이용과 식습관 실태
Home Meal Replacement Use and Eating Habits of Adults in One-Person Household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6, 2019년, pp.476 - 484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  박은선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미현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rise of one-person households may have consequences for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eating habi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use and eating habits among adults in their 20s-30s living in one-person households. Methods: A total of 247 adults aged 26-3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1인 가구 성인에서 높게 나타난 편식과 짜게 먹는 식습관이 HMR 섭취빈도나 기호도와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식품공전[9]에 의거하여 HMR을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성인은 HMR의 소비가 높고 식습관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가설 하에 이들의 HMR의 소비와 식습관을 평가하고 그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인 가구는 다양한 이질적인 특성 중 연령에 따라 20-30대의 청년 1인 가구, 40-50대의 장년 1인 가구, 60대 이상의 노인 1인 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의 HMR의 소비와 식습관을 평가하고 그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20-30대 1인 가구 성인(80명), 2인 가구 성인(49명), 다인 가구 성인(118명)의 HMR의 이용실태와 식습관을 비교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그 결과 편식과 짜게 먹는 식습관은 즉석섭취식품이나 즉석조리식품의 이용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신선편의식품 이용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1인 가구 성인에서 섭취빈도가 높았던 즉석조리식품은 즉석밥, 죽, 스프, 국·찌개류, 레토르트 파우치 제품 등 다양한 식품 및 음식으로 생산되므로 영양과 식사의 균형을 고려하지 않으면 개인의 기호에 편중된 선택으로 편식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신선편의식품은 샐러드, 새싹채소 등의 식품이 포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 가구의 증가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이유는 젊은 세대의 결혼관의 변화에 따른 비혼과 만혼의 증가, 이혼과 별거의 증가, 교육환경과 관련한 기러기 가족의 증가, 경제적 빈곤함에 기인한 해체된 가족들, 고령화에 따른 노인 독신가구의 증가 등 다양하다[3, 4]. 1인 가구는 혼자만의 독립된 공간에서 취사와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로 정의된다.
1인 가구의 정의는?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이유는 젊은 세대의 결혼관의 변화에 따른 비혼과 만혼의 증가, 이혼과 별거의 증가, 교육환경과 관련한 기러기 가족의 증가, 경제적 빈곤함에 기인한 해체된 가족들, 고령화에 따른 노인 독신가구의 증가 등 다양하다[3, 4]. 1인 가구는 혼자만의 독립된 공간에서 취사와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로 정의된다. 1인 가구는 자발적 선택일 수 있지만 비자발적인 결과일 수도 있으며, 또한 혼자만의 자유로움을 만끽하는 화려한 싱글일 수도 있지만 스스로의 삶을 책임지기에도 버거운 초라한 삶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간단한 정의만큼 동질적인 범주가 아니다[5].
선행연구에서 밝힌 1인 가구에서 이루어지는 혼자 식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1인 가구에서 이루어지는 혼자 식사는 다인 가구에서 나타나는 가족식사의 순기능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양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실제 선행연구에서 1인 가구 성인은 외식과 가공식품으로 식사를 해결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나트륨의 과잉 섭취 위험이 높고 아침 결식률 또한 높아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이 다인 가구 성인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5-17]. 그러나 1인 가구의 식사 및 영양문제뿐만 아니라 이들의 식품 소비 특성을 함께 분석하여 가족식사의 순기능을 대체하거나 역기능을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식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HY. Floating families in Korea: Focusing on one-person households. J Korean Soc Res 2014; 15(2): 255-292.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ousehold age/estimated households by household type-nationwide [internet]. 2019 [cited 2019 Sep 18].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Z0502&vw_cdMT_ZTITLE&list_idA42_1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3. Byun M, Sin S, Cho K, Park M. Single person household and urban policy in Seoul. Korean J Cult Soc Issues 2015; 21(3): 551-573. 

  4. Kang ET, Kang JK, Ma KR. Subjective well-being of one-person households: focus on non-married and married one-person households. J Soc Sci 2016; 27(1): 3-23. http://dx.doi.org/10.16881/jss.2016.01.27.1.3 

  5. Lee YB. One-person household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Welf Forum 2017; 252: 64-77. 

  6. Gerrior SA, Guthrie JF, Fox JJ, Lutz SM, Keane TP, Basiotis PP. Differences in the dietary quality of adults living in single versus multiperson households. J Nutr Educ 1995; 27(3): 113-119. https://doi.org/10.1016/S0022-3182(12)80800-4 

  7. Daniels S, Glorieux I. Convenience, food and family lives. A socio-typological study of household food expenditures in 21stcentury Belgium. Appetite 2015; 94: 54-61. https://doi.org/10.1016/j.appet.2015.04.074 

  8. Heo YK, Shim KH. Dietary attitude of single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 Korean J Food Nutr 2016; 29(5): 735-745. https://doi.org/10.9799/ksfan.2016.29.5.735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10. Chung RN, Lee HY, Yang IS. What's the consideration attribute on purchasing the HMR? J Korean Soc Food Cult 2007; 22(3): 315-322. 

  11. Ju SY.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11): 1639-1644. 

  12. Jeong YG, Lee IS. Importance-performance and willingness to purchase analyses of home meal replacement using ecofriendly food ingredients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gen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12): 1873-1880. https://doi.org/10.3746/jkfn.2015.44.12.1873 

  13. Fruh SM, Fulkerson JA, Mulekar MS, Kendrick LAJ, Clanton C. The surprising benefits of the family meal. J Nurs Pract 2011; 7(1): 18-22. https://doi.org/10.1016/j.nurpra.2010.04.017 

  14. Videon TM, Manning CK. Influences on adolescent eating patterns: the importance of family meals. J Adolesc Health 2003; 32(5): 365-373. https://doi.org/10.1016/S1054-139X(02)00711-5 

  15. Kwon YS, Ju SY. Trends in nutrient intakes and consumption while eating-out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data. Nutr Res Pract 2014; 8(6): 670-678. https://doi.org/10.4162/nrp.2014.8.6.670 

  16. Lee Y, Oh YJ, Cho W, Jo PK.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J Korean Diet Assoc 2015; 21(1): 57-71. https://doi.org/10.14373/JKDA.2015.21.1.57 

  17. Kang NY, Jung BM.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nutrients intake, dietary behaviors and food intake frequency of singleand no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4-2016. Korean J Community Nutr 2019; 24(1): 1-17. https://doi.org/10.5720/kjcn.2019.24.1.1 

  18. Jang YJ. Mature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and selection attributes regard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J Foodserv Manag 2009; 12(5): 97-119. 

  19. Choi JH, Yi NY. IPA on the choice attribute of HMR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focusing on the comparison among consumers aged between 20 and 40, or over 50. Korean J Food Nutr 2019; 32(1): 50-60. https://doi.org/10.9799/ksfan.2019.32.1.050 

  20. Kim HY.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 of HMR product on the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of an single household: centered on the regulation effect of consumer online review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6; 22(8): 109-120. https://doi.org/10.20878/cshr.2016.22.8.109 

  21. Kang HY, Jo MN. HMR current use and key buying factor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by college students. J Tour Sci 2015; 39(8): 87-106. https://doi.org/10.17086/JTS.2015.39.8.87.106 

  22. Lee KI, Hwang YJ, Ban HJ, Lim SJ, Jin HJ, Lee HS.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Oct. Report No. 762. 

  23. Lee JY, Choi SK, Seo JS. Evaluation of the nutrition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of the me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Korean J Community Nutr 2019; 24(3): 232-244. ttps://doi.org/10.5720/kjcn.2019.24.3.232 

  24. Lee J, Shin A. Vegetable and fruit intake in one person househol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 Nutr Health 2015; 48(3): 269-276. https://doi.org/10.4163/jnh.2015.48.3.269 

  25. Song SY, Jeong TH. Association between eating alone and metabolic syndrom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 Korean Diet Assoc 2019; 25(2): 142-155. https://doi.org/10.14373/JKDA.2019.25.2.142 

  26. Kim HS, Seo SH. Factors influencing on intention to intake fruit: moderating effect of fruit intake habit. J Nutr Health 2014; 47(2): 134-144. https://doi.org/10.4163/jnh.2014.47.2.134 

  27. Kwak S, Woo T, Lee KA, Lee KH.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4): 259-272. https://doi.org/10.5720/kjcn.2015.20.4.259 

  28. Kwon JH, Shim JE, Park MK, Paik HY. Evalu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using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n J Nutr 2009; 42(2): 146-157. https://doi.org/10.4163/kjn.2009.42.2.146 

  29. Shin GN, Kim YR, Kim MH. Nutritional evaluation of convenience meals in convenience stores near the univers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5): 375-386. https://doi.org/10.5720/kjcn.2017.22.5.375 

  30. Oh HI, Choi EK, Jeon EY, Cho MS, Oh JE. An exploratory research for reduction of sodium of Korean HMR product: analysis on labeling of Guk, Tang, Jjigae HMR products in Korea. J Korea Contents Assoc 2019; 19(3): 510-5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